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내 의료기기 시장...수입 '줄고' 제조'늘고'

의료기기 국내 제조 매년 증가 추세 식약처,2016년 의료기기 허가 보고서 발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해 허가 및 인증‧신고된 의료기기는 8,236개 품목으로 `15년 9,247개 대비 10.9% 감소하였지만 국내 제조는 42%로 전년(39%) 대비 늘어났으며 국내 제조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지난해 허가된 의료기기는 1,570건(19%)으로 전년 대비 52%(3,270건) 줄었고, 인증은 1,646건(20%)으로 `15년 대비 122%(741건) 증가하였으며, 신고는 5,020건(61%)으로 4.1%(5,236건) 감소하였다.
 

인증 건수가 증가한 이유는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가 거의 없거나 낮은 1‧2등급 의료기기 허가를 신속한 제품화를 위해서 `15년 7월부터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가 인증 해주는 위탁인증제 운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의료기기는 위해도에 따라 1∼4등급으로 구분하여 허가, 인증, 신고로 관리하고 있으며, 위해도가 높은 3‧4등급 의료기기는 허가, 2등급 의료기기는 인증, 위해도가 낮은 1등급은 신고로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개발되어 허가‧인증‧신고된 의료기기는 ▲국내 제조 증가 ▲첨단 의료기기 꾸준한 제품화 ▲의료기기 허가‧신의료기술평가 통합심사로 허가‧심사 기간 단축 등이다.


 <국내 제조 증가>
국내에서 제조되거나 수입되는 의료기기는 `16년 국내 제조 3,467건, 수입 4,769건으로 국내 제조가 수입 대비 42%를 차지하였으며, 최근 4년간 수입은 감소하는 반면 국내 제조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등급별로는 1등급 의료기기는 국내 제조가 1,540건, 수입이 3,482건으로 수입이 많은 반면 2등급의 경우에는 국내 제조 1,139건, 수입 912건, 3등급은 국내 제조 542건, 수입 285건, 4등급은 국내 제조 246건, 수입 90건으로 2‧3‧4등급은 수입 대비 국내 제조가 더 많았다.
  .

-제조‧수입, 연도별‧등급별 신고·인증·허가 현황
                                                                                                                                  (단위 : 건수)

연도

제조

수입

총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2011

921

920

403

89

2,666

1,037

287

161

6,484

2012

1,047

1,070

524

140

2,916

1,117

912

246

7,972

2013

1,418

1,269

692

143

3,944

2,834

767

112

11,179

2014

1,574

1,906

1,075

326

4,191

3,046

351

143

12,612

2015

1,563

1,258

622

176

3,673

1,421

414

120

9,247

2016

1,540

1,139

542

246

3,482

912

285

90

8,236

총계

8,063

7,562

3,858

1,120

20,872

10,367

3,016

872

55,730


국내 제조 비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국내 의료기기 개발‧생산 기술력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첨단 의료기기 꾸준한 제품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뼈나 관절 등을 맞춤으로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팅 의료기기는 `16년 3건 허가되었으며, 해마다 꾸준히 개발‧허가되어 지난해까지 총 12건이 허가되었다.
  

모바일 앱 등 유무선 기술을 통해 혈당‧혈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확인하여 장소에 제약 없이 건강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허가·신고 건수는 지난해 7건이었으며, `16년까지 총 17건이 허가‧신고되었다. 특히 제조의 경우에는 15건, 수입은 2건으로 과학 기술 발달과 함께 국내 제조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허가·신고 현황


’16년도 허가

연번

업체명

품목명

(품목분류번호

(등급))

허가일자

사용목적

1

국민건강

보험공단

1등급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1))

2016.09.20

만성질환(고혈압,당뇨)재진환자가 자가혈압계 및 혈당계로 측정한 수치 값을 모바일 앱(M건강보험)을 통하여 자동 및 수동 전송

2

메드트로닉 코리아()

1등급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1))

2016.10.10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정보를 암호화하여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

3

메디플러스솔루션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2))

2015.12.21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여 서버로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4

비트컴퓨터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2))

2013.02.28

U헬스케어 게이트웨이는 표준(Continua) 인증 및 비표준 PHD(Personal Health Device)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를 블루투스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수신한 후 블루투스 및 이더넷을 통해 가공된 생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중계 기구 또는 소프트웨어이다

5

2015.05.07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혈당, 혈압값)를 유무선 기술을 통해 수집하여 의료기관으로 중계하는 의료기기(소프트웨어)

6

2016.06.24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혈압계에서 측정된 혈압정보를 유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한 혈압정보를 의료기관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7

씨어스

테크놀로지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2))

2010.11.03.

다른 진단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기기, 혈압의 간접적 측정에 사용하는 기기

8

우먼스캐어

유헬스케어 혈당측정기

(A90040.01(3))

2005.04.20.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

9

유신그린팩글로벌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2))

2015.10.05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혈당, 혈압)를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유헬스케어 진단지원시스템(서버)으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

10

유신씨앤씨

유헬스케어

진단지원

시스템

2016.03.30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를 통해 얻어진 혈당 및 혈압 등의 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자와 의료진에게 알람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11

오픈잇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2))

2015.04.06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여 서버로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12

이오아시스

유헬스케어

진단지원

시스템

2015.10.15

유헬스케어 의료기기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혈당, 혈압)를 기반으로 환자의 ASCVD(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 위험도) 평가 등 원격진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13

인성정보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2))

2014.12.03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여 서버로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14

2015.03.16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수집된 생체정보를 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여 서버로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15

한국로슈진단()

유헬스케어 혈당측정기

(A90040.01(3))

2016.03.07

자가검사용으로 혈중 글루코즈를 개인이 스스로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측정기 및 혈당측정검사지, 일회용자동랜싯, 채혈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원격진료를 위해 수집된 정보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16

후헬스케어

1등급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1))

2016.09.12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정보를 암호화하여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

17

헬스커넥트()

1등급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A90010.01(1))

2016.09.20

원격진료를 위해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유무선 기술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정보를 암호화하여 의료기관으로 전송하는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허가‧신의료기술평가 통합심사로 허가‧심사 기간 단축>

지난해 7월부터 운영하고 있는 의료기기 허가‧신의료기술평가 통합심사를 통해 7건이 허가(`16년 2월 시범사업 포함)되었으며, 신개발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기간이 최대 13개월(최대 470일에서 70~275일)로 대폭 감소되었다.


허가된 의료기기로는 면역‧화학검사용 시약, 분자유전검사용 시약 등의 질병 진단에 사용하는 체외진단용 시약이 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식형심장박동기, 혈관내색전촉진용보철재인 기구가 2건이었다.


의료기기 허가‧신의료기술평가 통합심사는 `16년 7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허가(식약처), 신의료기술평가(한국보건의료연구원), 요양(비)급여대상 확인(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필요한 자료 제출을 식약처로 일원화하여 동시에 심사를 진행하는 제도이다.


식약처는 매년 ‘의료기기 허가보고서’ 발간을 통해 국내 의료기기업체, 의료기기 연구‧개발자, 연구기관 등 관련 종사자가 의료기기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첨단 제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국내 의료기기 분석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우유, 발효유 등 유가공품 중... 거짓보고·원재료 일부 미표시 등으로 적발 된 6곳은 어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여름철 유가공품 안전관리를 위해 우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등을 제조하는 유가공업체와 우유류 판매업체(우유 대리점 등의 형태로 직접 마실 수 있는 유가공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영업) 등 총 846곳을 대상으로 7월 7일부터 25일까지 17개 지자체와 집중 점검한 결과,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을 위반한 6곳을 적발하여 관할 지자체에 행정처분 등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에는 영유아가 섭취하는 분유 생산업체와 부적합 이력이 있는 업체도 포함했으며, 점검과 함께 유통 중인 유가공품을 수거하여 살모넬라 오염 여부와 잔류물질 및 영양성분 함량 검사를 실시했다. 위반 사항은 품목제조 거짓보고와 원재료 일부 미표시 1곳, 원료 출납서류 일부 허위 작성 등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2곳, 자가품질검사 미실시 1곳, 건강진단 미실시 1곳, 소재지 변경 미신고 1곳이다. 위반 업체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가 행정처분 후 6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해 개선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유, 아이스크림 등 유가공품 642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대장균군이 초과 검출된 8개 제품(농후발효유 5건, 발효유 1건, 가공치즈 1건, 가공버터 1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 자녀 위한 ‘피닉스 슈퍼캠프’ 실시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임직원 자녀 대상 피닉스 슈퍼캠프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피닉스 슈퍼캠프는 동아제약, 동아에스티, 동아쏘시오홀딩스 등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을 위한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은 ▲건강 ▲가족 ▲여가 ▲재무 ▲은퇴 등 생애 기초 5대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그룹 구성원 각자의 삶의 단계에 맞춘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가족 친화 대표 프로그램인 피닉스 슈퍼캠프는 임직원 자녀의 자신감과 학습 동기를 북돋우고, 부모와 자녀의 유대감 형성을 위해 마련했다. 피닉스 슈퍼캠프는 동아쏘시오그룹 상주 인재개발원에서 진행했다. 임직원 초등학생 자녀는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2박 3일간, 중학생 자녀는 13일부터 16일까지 3박 4일간 교육을 받았다. 동아쏘시오그룹은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이끄는 피닉스 슈퍼캠프’를 슬로건으로 ▲인성 ▲학습법 ▲삶의 기술 세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인성 영역에서는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지는 자세, 배움을 위한 태도 형성을 목표로 하며, 학습법 영역에서는 재미를 느끼며 스스로 공부하는 능동적인 학습법을 지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헬리코박터균 제거했더니,"골다공증 예방"...당뇨·고지혈증 등 전신 질환에도 영향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김예진 전문의, 최용훈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 교수)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을 시 골다공증 발병률이 크게 감소하며, 특히 50세 이상 여성에서 예방 효과가 뚜렷하다고 밝혔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위에 서식하며 만성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을 유발하는 유해균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구강을 통해 주로 전파되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이 보균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유병률은 2017년 기준 16세 이상에서 44%에 이른다. 과거 헬리코박터균은 소화기계에 국한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됐으나, 최근에는 △전신 염증 △산화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교란 등을 유발해 전신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따라 제균 치료에 대한 인식도 크게 바뀌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김나영 교수 연구팀이 헬리코박터 감염과 당뇨병·고지혈증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의 연관성을 규명했으며, 제균 치료가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골다공증과 헬리코박터균 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골다공증은 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