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녹십자, 2천만불 규모 의약품 수출...글로벌 전략 시동?

2천만불 규모의 백신(수두, 독감)과 면역글로불린 제제(수두, B형간염, 파상풍) 중남미로 수출

녹십자(대표 趙淳泰)는 세계보건기구 WHO의 산하기관인 PAHO(범美보건기구)의 2012년도 입찰에서 미화 약 2천만불 규모의 백신 및 면역글로불린을 수주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녹십자는 올해안으로 약 1천4백만불 규모의 수두백신 및 독감백신과 6백만불 규모의 수두, B형 간염, 파상풍 면역글로불린을 중남미국가에 수출하게 됐다.

 

특히 이번 입찰에서 녹십자는 수두백신 전량을 수주하여 약 1,070만불 규모의 제품을 독점 공급하게 됐다.

 

또한 이번 입찰을 통해 수출되는 약 310만불 규모의 독감백신은 남반구 공급용으로, 곧 이어질 3~4월 경 북반구용 입찰에서는 그 규모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녹십자 해외사업본부장 김영호 전무는 “이번 입찰 수주는 국제 입찰을 통한 녹십자의 의약품 수출 중 역대 최대 규모”라며, “2000년대 들어 매년 약 4백만불에 그쳤던 국제입찰 수주 실적은 지난 2010년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상승해 올해 최대규모의 수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김영호 전무는 이에 대해 "2009년 신종플루 백신 개발 이후 국제 사회에서 높아진 녹십자 제품의 위상과 남미 지역의 수요 증가 예측이 적중했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연간 8천만불 수출을 달성한 녹십자는 이번 수주를 기반으로 올해 연간 1억불 수출에 도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녹십자는 이 같은 혈액제제와 백신 등 주력제품을 글로벌 전략품목으로 선정,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세계시장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다.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어 개발 진입 장벽이 높은 수두백신은 전세계적으로 녹십자와 다국적 제약사 등 3곳의 기업만이 생산하고 있으며, 녹십자가 개발한 것을 포함한 2가지 균주가 사용되고 있다.

 

수두백신은 세계적으로 25억불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시장의 일부만 점유하더라도 수천억원에 가까운 매출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녹십자는 독감백신의 품목 다변화를 통한 국제 입찰 수주 및 개별 국가 수출 확대를 위해 10명 분의 백신 원액을 담은 다인용 백신을 추가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녹십자는 그간의 수출실적과 함께 이미 1인용 신종플루 백신과 독감백신 제품으로 WHO 산하기관의 국제입찰 참가 및 공급자격인 PQ[1]승인을 받은 바 있어, 내년 안에 WHO로부터 다인용 독감백신의 PQ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약 30억불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독감백신의 WHO PQ승인을 받은 제조사는 전세계적으로 녹십자를 포함하여 노바티스(Norvartis), GSK, 사노피 파스퇴르(Sanofi-Pasteur) 등 단 4곳에 불과하다.

 

한편, 연초 시무식을 통해 ‘건강산업의 글로벌 리더’라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한 녹십자는 2020년 국내 2조원, 해외 2조원의 매출목표에 따라 향후 수출 비중을 연매출의 50%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끝>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