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초보골퍼가 은근히 많이 겪는다는 이 질병

방아쇠수지증후군, 손가락 많이 사용한 날에 통증 심하고 야간통증 더해



골프는 어느덧 '대중 스포츠'로 자리를 잡았다. 과거에는 부유층이 즐기는 고급 스포츠로 인식되었던 골프가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 특히 TV에도 골프를 주제로 한 예능프로그램도 다수 방송되면서 골프의 인기는 점점 더 올라가고 있다.

사람들이 골프를 선호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여러 사람이 같이 모여서 즐기는 스포츠가 사실상 금지되었는데, 골프는 야외에서 진행되고 신체 접촉이 덜하다는 인식이 있다.

부상이 적다는 이유도 한 몫 한다. 축구나 농구 같은 운동처럼 격렬하지도 않고 마라톤이나 수영처럼 엄청난 지구력을 요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골프에는 숨겨진 위험요소가 있다. 바로 '클럽'이다.

초보 골퍼들이 보통 골프를 치고난 뒤 손가락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골프 클럽은 묵직한 무게를 지니고 있어 손에 힘을 주어 클럽을 쥐는 동작만으로도 손가락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는데 초보 골퍼들은 그립을 잡는 강도를 조절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데다가, 힘을 주기 위해 골프채를 꽉 잡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골프를 치고 난 뒤 생기는 손가락통증은 대부분 휴식을 취하면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손가락 통증이 지속된다면 ‘방아쇠 수지 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을 굽히는 굴곡건이, 활차라고 하는 조직에 마찰되면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가락을 구부리고 폈을 때 총의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딸깍거리는 느낌과 소리가 난다고 해서 방아쇠수지증후군이라고 불린다.

이상윤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을 많이 사용한 날에 통증이 심해지며 특히 야간통증이 심하다”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호전되기도 하지만 방치할 경우 손가락 관절강직과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상윤 원장은 그러면서 “초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초기에는 간단한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통해 회복이 가능하다. 소염진통제를 이용한 약물치료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증상이 더 진행된 경우에는 주사치료와 체외충격파 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 할 수 있다”면서 “만약 방치를 하게 돼 치료 시기를 놓쳐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 보존적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만약 골프를 치고난 뒤 손가락이 아프다면 골프를 치는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 골프 연습이 끝난 후에는 손가락 스트레칭과 함께 따뜻한 물에 손을 담그고 마사지를 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간호전문대학원 신설 ...국내 첫 간호학 분야의 전문대학원 연세대학교는 28일 교육부로부터 간호전문대학원 신설 승인을 받았다. 국내 첫 간호학 분야의 전문대학원으로, 이번 신설에 따라 보건의료 현장을 선도할 실무중심 전문 간호인력 양성 체계의 고도화와 확장이 기대되고 있다. 연세대학교는 2026년 3월 1일부터 간호전문대학원을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간호전문대학원은 임상현장에서 바로 적용이 가능한 실무기반 교육과 리더십 개발을 결합한 새로운 대학원 모델이다. 연세대 간호대학은 일반대학원 간호학과와 더불어 직장인의 계속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특수대학원인 간호대학원을 통해 간호인력을 육성해왔다. 이번 간호전문대학원 승인에 따라 실무 중심의 연구와 리더십에 초점을 둔 전문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개설할 수 있게 됐다. 간호전문대학원의 석사과정에는 노인·아동·임상·종양전문간호, 간호관리와 교육전공이 개설돼 임상현장 중심의 실무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을 다룬다. 박사과정에는 간호실무리더십 전공이 개설돼 임상현장의 문제를 연구 주제로 전환해 실무 혁신을 이끌 리더형 간호인재를 양성한다. 연간 모집 인원은 석사과정 60명, 박사과정 10명으로 총 70명이며, 제 1기 입학생은 2026년 3월 1일 입학한다. 3월 입학 예정인 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