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유한양행 렉라자, 1차 치료의 한국인 하위 그룹 분석 결과 공개

유한양행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가 지난 6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1차 치료제로 허가확대되면서  새 전기를 맞았다. 그 가운데 다수의 한국인을 포함한 LASER301 임상 결과로 자신감을 내비추고 있다.

EGFR 활성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에서 렉라자의 1차 치료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LASER301 다국가 임상 3상 시험 전체 결과는 지난 6월 28일 임상종양학회지(Journal of Clinical Oncology, JCO) 저널에 게재됐다.  이에 앞서 LASER301 임상 내 한국인 하위그룹 분석 결과가 대한암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CRT(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저널에도 게재됐다. 

LASER301 임상시험은 13개국 96개 기관에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활성 EGFR 돌연변이(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393명(아시아인 258명, 비아시아인 135명)을 대상으로 게피티니브 투여 대비 렉라자 투여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다국가 임상 3상 시험이다.

이중 한국인 하위그룹에는 국내 22개 기관에서 총 172명이 포함, 평가됐다. 임상에 등록된 한국 환자 중 삼분의 일은 임상 시작 전에 이미 뇌전이(Brain Metastases, BM)이 있던 것으로 확인됐고 렉라자 투여군에 87명, 게피티니브 투여군에 85명 무작위 배정됐다.

한국인 하위그룹 임상 결과, 렉라자 투여군은 1차 평가변수인 시험자 평가 기반 무진행 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의 중앙값을 20.8개월로 게피티니브 투여군의 결과인 9.6개월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2배 이상의 연장된 결과를 보였다.

LASER301 임상에서 글로벌 전체 환자군과 아시아인 하위그룹의 렉라자 투여 시 PFS 중앙값(시험자 평가기반)이 각각 20.6개월이었음을 고려할 때,2 한국인에서도 일관된 PFS 혜택을 보인 점이 상당히 고무적이라는 평이다.

2차 평가변수인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렉라자 투여군 80.5% 게피티니브 투여군 80.0%로 유사했고, 질병통제률(Disease Control Rate, DCR)도 렉라자 투여군 97.7% 게피티니브 투여군 94.1%로 두 치료군 간 비슷했다. 반면 반응지속기간 중앙값(Median Duration of Response, mDoR) 면에서는 렉라자 투여군이 19.6개월로 게피티니브 치료군의 9.0개월 보다 2배 이상 더 길게 나타났다. 최우수 전반적 반응(Best Overall Response) 프로파일은 두 치료군에서 비슷했지만 모든 시점에서 렉라자 투여군이 게피티니브 투여군보다 반응이 유지된 환자의 비율이 일관되게 더 높았다.

특히 렉라자의 한국인 1차 치료 데이터에서 주목할 점으로 뇌전이 환자와 L858R 치환 변이 환자에서도 상당한 PFS 혜택이 확인됐다는 점이 꼽힌다.

임상 시작 시점에 이미 뇌전이를 보인 환자 대상으로 렉라자 투여군의 시험자 평가 기반 PFS의 중앙값은 26.1개월로 게피티니브 투여군의 9.4개월보다 약 3배에 육박하는 개선을 보였다.

또한 엑손19 결손 돌연변이(Ex19del)를 가진 환자군의 PFS는 약 2년(23.3개월, 95% CI, 17.8-26.7) 정도로 길었고 엑손19 결손(Ex19del) 변이를 가진 환자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L858R 치환 변이를 가진 환자군에서도 렉라자 투여군의 시험자 평가 기반 PFS의 중앙값은 17.8 개월을 보였다. 게피티니브 투여군의 결과인 9.6개월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3 글로벌 전체 환자와 동일하게 EGFR 돌연변이 종류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는 효과를 보인 것이다.

이외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 값은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 렉라자 안전성 프로파일은 이전에 보고된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관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두 투여군 모두에서 흔하게 나타난 이상반응으로는 발진, 가려움증, 설사 등이 있고 렉라자 투여군은 게피티니브 투여군에 비해 3등급(Grade 3) 이상의 이상반응이 수치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LASER301 임상의 한국인 하위그룹 분석 논문(CRT)의 교신저자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종양내과 강진형 교수는 “폐암 전문가 사이에서도 가장 효과가 좋은 치료 옵션을 가능한 조기에 사용해야 한다는 치료 전략에 의견이 모이고 있다.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 선상에서 가장 진보했다고 볼 수 있는 3세대 EGFR TKI 옵션은 최근 렉라자까지 1차 치료를 허가받게 되면서 2개 확보된 셈”이라며 “3세대 EGFR TKI 중에서도 렉라자의 LASER301 임상은 다수의 한국인이 포함됐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