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제네릭 의약품 면역원성 평가 간소화: EpiVax의 "PANDA" 접근 방식

EpiVax Inc이 제네릭 의약품 평가 간소화를 목적으로 한 식품의약국(FDA)과의 연구 협력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2018년에 100만 달러의 계약으로 시작된 2년에 걸친 이 연구(HHSF223018186C)는 약식 신약 신청서(Abbreviated New Drug Application, ANDA) 접수를 위한 활성 의약품 성분 및 불순물의 면역원성 평가를 위한 모범 사례를 개발하기 위해 맺어졌습니다. 2020년에 이 프로그램에 대해 110만 달러의 추가 자금이 확보되었습니다(75F40120C00157). 전임상 평가 이니셔티브의 결과는 'Drug Discovery Today'에 "합성 펩타이드 의약품 및 그 불순물의 면역원성 위험성 평가"라는 제목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이번 협업은 2018년에 발표된 제네릭 펩타이드 ANDA에 대한 지침 초안에 의해 촉발되었으며 이후 2021년에 최종 확정되었습니다(FDA-2017-D-5767). 이 지침은 승인 전에 의약품의 제형에 존재하는 주요 불순물을 식별하고 특성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참조 목록에 있는 의약품과 다른 새로운 또는 '더 높은 수준의' 불순물이 제품에 새로운 T 세포 에피토프 함량을 도입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평가를 받을 것을 제안합니다. 광범위한 기관 공고(Broad Agency Announcement, BAA)는 기관과 함께 이러한 평가를 탐색하기 위해 잠재적인 협력자를 초대했습니다. T 세포 면역원성에 대한 EpiVax의 전문 지식 덕분에 회사가 이 프로젝트의 경쟁 후보로 선정되었습니다.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EpiVax는 제네릭 의약품 불순물의 면역원성을 평가하는 데 이전에 백신 및 생물학적 평가에 활용되었던 가상(in silico) 및 생체외(in vitro) 면역원성 위험 평가 방법을 채택했습니다. 이 출판물은 사례 연구를 특징으로 하는 EpiVax의 권장 "PANDA" 접근 방식을 설명합니다.

2018년부터 EpiVax의 과학자들은 다양한 글로벌 규제 기관에 대한 ANDA 제출에 대한 면역원성 평가를 통해 의약품 제조업체를 지원하는 데 광범위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EpiVax 팀은 이 영역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에 감사하며, 제네릭 펩타이드 시장이 계속 성장함에 따라 전문 지식과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미래의 기회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80개 이상의 승인된 펩타이드 의약품에 대한 특허 만료에 가까워지고 제네릭의 문이 열리면서 EpiVax는 이 확장되는 환경에서 역할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