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푸스한국(대표 오카다 나오키)은 새로운 3D 복강경 플렉시블 스코프 (Flexible Scope, 모델명: LTF-S300-10-3D ENDOEYE FLEX)를 국내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올림푸스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스코프 팁(복강경 끝 구부러진 부분)이 상·하·좌·우, 대각선으로 구부러지는 3D 복강경 플렉시블 스코프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한 모델은 해당 라인업의 최신 제품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자유롭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일반적인 일자형 복강경으로는 보기 힘든 장기 뒤쪽까지 관찰이 가능하다. 신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세계 최초로 조작부에 조이스틱을 도입해 스코프 팁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전 모델의 경우 상-하, 좌-우를 조작하는 레버가 각각 따로 있었지만 이번 모델은 조이스틱 하나로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여 의료진이 초정밀 수술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지원한다. 기존 모델의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먼저 상-하 레버를 조작 후, 좌-우 레버를 추가로 조작해야 했다. 반면, 조이스틱을 사용하면 한 번에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닥터지(Dr.G, www.dr-g.co.kr)’가 피부 건강 필수 성분인 프로 비타민D를 함유한 보습 라인 ‘더모이스처 배리어D’ 3종을 새롭게 선보인다. 닥터지 ‘더모이스처 배리어D’는 약해진 피부의 기초 체력 및 피부 건강력을 키울 수 있도록 바르는 프로 비타민D 성분을 담은 더마 보습 솔루션이다. 프로 비타민D 콤플렉스(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를 함유해 피부 건강을 위한 에너지를 균형 있게 채워주고, 각종 외부 자극으로부터 맞설 수 있도록 튼튼한 피부로 가꿔준다. 특히 피부 장벽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성분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피부 장벽과 근접한 3:1:1 성분 배합으로 구성했으며, 체내 보습 성분을 생성해주는 ‘필라그린’ 성분을 더해 닥터지만의 독자 배합 기술로 피부 장벽을 탄탄하게 가꿔준다. 또 실제 피부와 유사한 지질인 ‘인라멜라 구조’를 적용해 유효 성분들의 깊은 흡수는 물론, 높은 보습 유지력으로 외부 자극이 쉽게 침투할 수 없도록 피부를 보호해준다.
AI 기반 의료솔루션 기업 비플러스랩은 14일 서울부민병원 사이언스홀에서 지앤넷과 보험청구솔루션 도입과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양사는 보험청구솔루션 개발 및 도입에 협력한다. 특히, AI 기반 의료정보서비스인 ‘어디아파’ 앱에 지앤넷의 실손보험 빠른 청구 솔루션을 적용해 이용자 편의를 강화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구디 AI 기술도 탑재돼 출력물 없이 사진만 찍어도 인공지능이 보험사에 청구하여 보험 청구가 편리해진다. 이외에도 스마트 호스피털(Smart Hospital), 한국판 뉴딜 IT·헬스케어 분야, 의료 Big DATA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정부지원 사업에도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비플러스랩은 국내 AI 의료솔루션 기업으로서 대표 서비스인 ‘어디아파’를 통해 비대면 AI 문진, 질환백과 등을 제공하며 이용자의 편리하고 정확한 의료 정보 위해 노력해왔다. 올 상반기까지 어디아파 앱에 실손보험 빠른 청구 솔루션을 적용하고, 이후에도 보험 청구 기업 ‘지앤넷’와 지속 교류하며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필로시스헬스케어(대표이사 최인환 / 057880)의 관계사인 ㈜필로시스(대표이사 이인)는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브라질 등 5개국에 대해 의료기기 품질 심사제도인 MDSAP(의료기기 단일 심사 프로그램) 인증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MDSAP(The Medical Device Single Audit Program)은 국제 의료기기 규제 당국자 포럼(IMDRF)에서의료기기 안전과 품질관리를 위해 만든 인증제도다. 현재 MDSAP에 가입된 국가는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브라질 총 5개국으로, 제조사의 생산공정과 제품의 품질이 5개국의 의료기기 기준에 적합한지 단일 심사를 한 뒤 MDSAP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MDSAP 인증을 획득 한 업체는 미국(FDA), 캐나다(Health Canada), 일본(MHLW), 호주(TGA), 브라질(ANVISA) 5개국의 의료기기 인증심사를 전면 또는 일부 면제받는다. 인허가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DSAP은 의료기기 분야에서 가장 엄격한 인증제도이기 때문에 품질에 대한 공신력 입증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B2E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파인헬스케어(대표 신현경)는 지난 14일, 자체 기술로 개발한 의료정보시스템 “Lime(이하 ‘라임’)” 솔루션으로 국가 표준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파인헬스케어의 이번 인증 획득으로 라임 솔루션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서 국가 표준 적합성을 공식적으로 확보하게 되었다. 라임 솔루션은 이미 최초 기획 단계에서부터 EMR 인증 규격에 상회한 수준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는 EMR 인증과는 별개로 라임 솔루션이 이미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의료 서비스 품질 평가 제도인 “의료기관 인증” 과정에 있어서 고객사 병원이 의료기관 인증을 획득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당사의 고객사 병원들에게는 다가올 글로벌 의료시장의 기준에 까지도 부합하는 글로벌 표준, 글로벌 리딩 시스템을 먼저 제공하는 높은 고객 가치를 선사할 수 있도록 불철주야 노력하겠다.”며 ‘글로벌, 표준화, 고도화’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파인헬스케어의 라임 솔루션 개발 방향을 밝혔다. 이번 인증은 파인헬스케어가 라임 솔루션을 통해 고객사 병원에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해왔던 기존의 경험이 솔루션에 대한 자
겨울철 찬바람과 급격하게 떨어지는 기온은 피부를 점점 메마르게 한다. 더군다나 마스크가 일상이 된 요즘, 눈에 띄게 피부가 칙칙해지는 느낌을 받기 쉽다. 젠더 뉴트럴 스킨케어 브랜드 ‘리듀어(Réduire)’가 이러한 환경 속 예민한 피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자극 피부 케어를 제안했다. 리듀어의 스킨케어 ‘트러블 릴리빙 라인(Trouble Relieving Line)’은 편백잎추출물과 마킬루스 콤플렉스 함유로 손상된 피부에 생기를 충전해 주며, 티트리와 터피네올 성분은 강력한 진정 효과를 줘 요즘 같은 때에 적합한 제품이다. ‘트러블 릴리빙 토너(Trouble relieving toner/250ml /*18,000)’를 화장솜에 충분히 적신 후 피부 결을 따라 안에서 밖으로 닦아내고 ‘트러블 릴리빙 에센스(Trouble relieving essence/50ml * 32,000)’를 얼굴 전체에 흡수시켜주면 피부 본연의 힘을 길러주는 노니 추출물로 인해 매일 더 탄탄해지는 피부 장벽을 느낄 수 있다. 8중 히알루론산이 들어간 ‘트러블 릴리빙 젤 크림(Trouble relieving gel cream/80g * 28,000)’으로 마무리해 주면, 깊고 촘촘
프레제니우스메디칼케어코리아 (대표이사: 김희경)는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복막 투석액 비카베라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4월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비카베라는 임상적 유효성을 바탕으로 2019년 10월 1일자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었다. 2020년에 발표된 국제복막투석학회(ISPD,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의 가이드라인에서는 12개월 이상 복막투석 시 장기 복막투석 환자의 잔여신기능 개선을 위해 포도당 분해산물(GDP, Glucose Degradation Products)이 낮은 중성 pH 복막투석액 사용을 고려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만성콩팥병 환자의 복막 투석치료에 사용되는 투석액인 비카베라는 기존 복막투석액에 비해 생리학적 pH에 더 근접하다. 또한 자연적으로 만성 대사성 산증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는 최초의100% 중탄산염(bicarbonate) 완충액(buffer)으로, 간이나 다른 장기를 통해 전환되지 않는다. 비카베라는 임상 연구를 통해 복막투석환자의 만성 대사성 산증을 개선시키는 임상적 이점을 입증했다. 중탄산염 함유량을 달리하면 복막투석 환자의 맞춤 치료가
뷰노(대표 김현준)는 자사의 뇌 MRI 기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 보조 인공지능 솔루션인 뷰노메드 딥브레인 AD™ (VUNO Med®-DeepBrain AD™)가 식품의약품안전처 3등급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뇌 MRI 영상을 기반으로 알츠하이머 질환 가능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로서, 의료진의 새로운 치매 진단 보조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뷰노메드 딥브레인 AD™는 인공지능이 뇌 MRI를 자동분석해 알츠하이머 질환 가능성을 수치화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솔루션은 국내 대형 의료기관에서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AUC(곡선하면적) 0.88 이상의 알츠하이머 질환 진단 정확도를 입증했다. 임상 현장에서 알츠하이머 질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검사와 뇌척수액 검사, MRI 검사 등이 이뤄진다. PET 검사는 비용이 많이 들고 장비의 접근성이 낮으며, 뇌척수액 검사는 침습적이고 결과 해석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뇌 MRI 검사는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해마, 측두엽 등 관련 뇌 부위의 위축 등 구조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이지만, 판독 정확도 차이로 의료진의 풍부한
스타트업 두잉랩이 메드트로닉코리아와 당뇨병 환자의 식습관 관리를 돕는 인공지능(AI) 기반 식단 코칭 서비스 개발을 위한 상호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8일 두잉랩 사무실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두잉랩 진송백 대표, 메드트로닉코리아 김동우 당뇨사업부 총괄 및 사업개발 상무를 비롯한 양 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사는 두잉랩의 식습관 컨설팅 서비스 ‘상식’에 기반해 당뇨병 환자에 특화된 개인맞춤형 식단 코칭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개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두잉랩은 당뇨병 환자들이 직접 이용하게 될 ‘상식’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담당하고, 당뇨병 환자를 위한 연속혈당측정기 및 인슐린 펌프 등의 국내 유통과 판매를 담당하는 메드트로닉코리아가 당뇨병 관리기기 사용자의 시각에서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위한 자문을 지원한다. 당뇨병 환자가 두잉랩의 식습관 컨설팅 서비스 ‘상식’을 이용하면 매 끼 마다 음식 사진을 찍어 어플리케이션에 식사를 기록하는 것만으로도 하루에 섭취한 열량과 영양소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다. 두잉랩이 개발한 기술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사진 속 음식들을 인식하고 영양 정보를 분석하며, 어플리케이
AI 의료영상 솔루션 기업 클라리파이(대표 김종효, 박현숙)는 자사 주력 제품인 ClariCT.AI의 핵심 기술에 관한 미국 특허가 등록허가 통지를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ClariCT.AI는 CT 검사에서 대두되어온 방사선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제품으로서, 기존 CT 장치를 이용하면서 극소량의 방사선량만을 가지고도 진단에 적합한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하는 혁신 제품이다. 클라리파이 박현숙 대표는 “이번 미국특허 등록허가로 클라리파이 기술의 독창성이 다시 한번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됐다”며 “FDA와 CE 허가를 통해 제품의 성능과 안정성을 이미 인정받은 바 있고, 규모 있는 해외 의료기기 업체와의 시험 검증을 통해 제품의 우수성이 확인된 바 있었는데, 이번 미국 특허 확보로 기술 보호 장벽까지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클라리파이의 미국 특허 확보는 선진국 독점형 첨단산업분야인 영상진단기기 시장에서 글로벌기업의 특허출원 선점한 가운데 얻어낸 유의미한 성과로 여겨진다. 실제 CT 검사에서 초저선량 고화질을 얻기 위한 AI 기술은 미래 CT 시장의 장악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서 GE, Siemens, Canon 등 글로벌 CT 기업들에서는 특허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