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들뜨기 쉬운 연말연시에 피임은 잊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12월은 송년 모임과 연인과의 이벤트 등으로 젊은이들이 들뜨기 쉬운 때이다. 그래서 12월은 응급피임약 처방이 바캉스철인 7~8월 다음으로 많다. 최근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5년간 응급피임약 처방 건수는 총 98만건 중 2017년 17만9672건에서 2018년 20만3316건으로 크게 늘어나 여성 건강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2014년 17만1921건에서 2015년 16만1277건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해 2017년부터는 응급피임약 처방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응급피임약은 복용 시점에 따라 피임 효과가 다르고, 피임 성공률도 평균 약 85%에 그쳐 신뢰도가 충분히 높지 않다. 뿐만 아니라 먹는 피임약 대비 8배 이상의 고용량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어 부작용 우려도 큰 편이다. 같은 기간 응급피임약의 연령별 처방을 보면, 20대가 51.6%, 19세 이하 9.3%로 30대 이하 비율이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성생활 시작 연령은 낮아지는 반면, 30세 미만 젊은이들에게서는 성생활에 반드시 따라야 할 사전 피임계획 및 피임 실천이 충분하지 않
3D로 생생한 지방흡입 수술법을 전수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대한지방흡입학회(회장 이선호)는 다음달 1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3D로 여는 지방흡입의 미래’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3D로 촬영한 지방흡입 수술과 지방흡입 주사 람스(LAMS)의 시술 장면을 VR고글을 통해 생생히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국제적 위상을 보유한 전세계 비만 의학 석학들이 대거 모여 지방흡입 수술 노하우와 학술적 담론을 나눈다. 좌장은 대한지방흡입학회 이선호 회장이 맡는다. 특히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리카르드 코르세르(Ricard Corcelles) 교수를 비롯해 서울의대 분당서울병원 허창훈 교수의 특별강연이 주목된다.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미국 4대병원으로 손꼽히며 비만의학 분야에서도 명성이 자자하다. 분당서울병원 허창훈 교수 역시 피부과 명의로 손꼽힌다. 학회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지방세포의 과거, 현재, 미래(허창훈 교수) ▲When is the best time to recommend body contouring to a patient who has an bariatric surgery?(리카르드 코르세르 교수) ▲3D/V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이사장 조주영)는 ‘2019 장(腸)주행 캠페인’의 일환으로 올바른 대장내시경 검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을 학회 공식 유튜브채널(링크)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2019 장(腸)주행 캠페인’은 대장암 확진 검사로 사용되는 대장내시경 검사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보다 건강하고 효과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에 공개한 유튜브 영상은 ‘제1편: 나에게 알맞은 대장내시경 검사 주기는?’과 ‘제2편: 정확한 대장내시경 검사를 위한 '장정결' 완전정복’ 내용으로 구성됐다. ‘제 1편: 나에게 알맞은 대장내시경 검사 주기는?’(링크 클릭)는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태일 교수가 출연하여 효과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위해서는 언제부터 얼마나 자주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영상에 따르면, 가족력 등의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에는50세부터 국가가 무료로 제공하는 국가대장암 검진 (분변잠혈 검사. 양성 시 무료 대장내시경 검사 제공)을 받고, 가족력 등 위험인자가 있으면 50세 이전이라도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대장내시경 검사 시
방송 플랫폼 서비스 기업 크레너 채널즈(대표 송주혜)는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와 온라인 학술 방송 플랫폼 사업을 추진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18일 체결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지난 20년간 헬스케어 마케팅 분야에서 명성을 쌓아온 크레너 헬스컴의 노하우가 접목된 크레너채널즈의 방송 플랫폼 서비스를 기반으로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회원들에게 양질의 학술 교육과 정보 전달은 물론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다양한 헬스 서비스도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관련 사업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오는 2020년부터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회원 대상 학술 온라인 방송 실행. 둘째, 의사회 회원 의료기관의 환자와 가족을 위한 헬스 서비스 제공 등이다. 먼저, 회원 대상 학술 온라인 방송 진행의 주요 내용은 2020년부터 2년 동안 의사회의 춘,추계 학술대회 및 연수 교육의 강좌가 크레너 채널즈를 통해서 라이브 방송 혹은 다시보기서비스가 제공된다. 또한, 온라인 학술방송도 정기적으로 진행 예정이며, 온라인 학술 및 연수교육 등 특집 학술방송도 상호 협의하에 수시 진행 계획이다. 더불어, 회원 의료기관의 환자와 가족을 위한 헬스 서비스로는 소속 의료기관의 진료에 도움이 될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김태유)가 오늘(21일)세계 췌장암의 날을 맞아 췌장암 환우와 보호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2019 췌장암 췌인지’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번 대한종양내과학회 ‘2019 췌장암 췌인지’ 캠페인은 췌장암에 대한 인식을 변화(Change)시키고 질환 인지(認知)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췌장암에 대해 온라인 상에 만연한 부정확한 정보를 바로잡는 것이 목적으로, 대한종양내과학회는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전달해 췌장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고취시키고 적극적인 치료의 중요성을 전달할 예정이다. 대한종양내과학회는 췌장암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종양내과 전문의들이 직접 ‘팩트췌크’ 영상을 제작한다. △천재경 울산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이국진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유창훈 서울아산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전홍재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가 총 3개의 영상을 통해 췌장암의 증상과 진단, 췌장암 병기와 치료 등에 대한 Q&A를 진행할 예정이다. ‘팩트췌크’ 영상은 대한종양내과학회 공식 유튜브 ‘KSMO TV’, 페이스북 등에 업로드된다. 네이버 지식인에서도 췌장암에 대한 정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김태유)는 오늘 제 3회 항암치료의 날을 맞아 ‘암 치료의 미래, 정밀의학’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항암치료를 위해 필요한 정밀의학이 무엇인지, 암 치료 환경에서 정밀의학의 갖는 필요성에 대해 소개하고,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정밀의료 연구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했다. 기자간담회는 김태유 이사장(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오도연 총무이사(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가 ‘정밀종양학 시대의 종양내과 의사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해 발표하고, ‘암 정밀의료를 진료실로: 현실화를 위한 제언’을 주제로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현 교수가, ‘암 정밀의학 구현의 시작: K-MASTER’를 주제로 고려대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 박경화 교수가 발표를 이어갔다. ◆정밀의료가 가장 먼저 발전 연구되는 분야는 종양학 의학 발전에 따라 정밀진단을 위해 형성된 환자의 빅데이터, 즉 각종 인체 유래물과 유전체에서 얻은 정보는 개인의 질병, 예방 치료까지 모든 단계에 맞춤형으로 적용되고 있다. 개인별 생체 유래 정보를 수집해서 연구에 활용하고, 방대한 임상 데이터를 검색해 수백개의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젊은 의학자들에게 심장혈관 중재시술의 기초지식부터 중재 시술에 대한 세계 석학들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전문가 양성 과정이 서울에서 열린다. 심장혈관연구재단(이사장 박승정)이 주최하고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후원하는 ‘제 4회 COMPLEX PCI 2019: Make it Simple’ 학회가 오는 28일(목)부터 29일(금)까지 양일간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개최된다. 올해 네 번째를 맞는 이번 학회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심장혈관 중재시술을 시행하고 있는 의사와 관련 의료 전문가들에게 20여개 이상의 실시간 라이브 시연을 통해 임상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학회에는 미국, 일본, 인도, 중국, 대만 등 35개국 800여 명의 심장 전문의와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특히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콜롬보(Antonio Colombo) 교수를 비롯하여 미국의 알란 씨. 영(Alan C. Yeung) 교수, 프랑스의 띠에리 르페브르(Thierry Lefevre) 교수, 일본의 토시야 무라마츠(Toshiya Muramatsu) 교수,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박승정 석좌교수, 박덕우 교수, 안정민 교수 등 심장혈관
대한종양내과학회(이사장 김태유)와 대한항암요법연구회(회장 강진형)는 오는 20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제 3회 항암치료의 날’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암 치료 분야 전문의가 환자에게 한발짝 더 가까이 다가가는 환우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으며, 암 환우 및 가족들과 전문의가 한자리에 모여 서로를 격려하고 암 극복의 희망을 다질 예정이다. 2017년부터 시작해 올해 3회째 맞이하는 ‘항암치료의 날’ 캠페인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항암치료 기술의 현주소를 알리고 항암치료 바로알기를 통해 암 극복을 위한 희망 메시지를 전달하자는 의미로 기획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 5대암으로 꼽히는 ‘위암’과 ‘폐암’ 치료 명의들이 나서 ‘진료실에서 못다한 암 이야기’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강연을 맡은 방영주 교수(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와 김상위 교수(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는 암종별 발병 원인 및 진단, 치료법 과 투병에 도움이 되는 전문정보 등을 공유한다. 뒤이어 대한항암요법연구회 강진형 회장이 임상시험을 통한 항암치료와 비전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대한종양내과학회 김태유 이사장은 “항암치료의 발전에 비해 이에 대한 대중의 인식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박경수)는 지난 12일 화요일 서울시청에서 세계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2019 세계당뇨병의 날 기념식 및 모범당뇨인상 시상’을 진행했다. 기념식에는 모범당뇨인과 그 가족들을 비롯하여 당뇨병 환자단체인 한국당뇨협회, 한국소아당뇨인협회와 서울시 시민건강국 및 대한당뇨병학회 소속 의료 전문가 등 약 200여명이 참석했다. 세계당뇨병의 날 캠페인을 주도하는 국제당뇨병연맹(IDF,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은 올해 주제를 ‘가족과 당뇨병’으로 지정해 당뇨병 관리에 있어 가족의 협력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했다. IDF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는 비당뇨인에 비해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3배 이상 높고, 만성콩팥질환 발생률은 10배 더 높다. 또한 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은 시력 감소를 경험하고, 전 세계적으로 30초마다 1명씩 당뇨병으로 인한 하지절단 환자가 발생한다. 하지만 가족의 협력을 바탕으로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과 적극적인 관리를 한다면 심각한 합병증을 피하고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당뇨병학회 이형우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전 세계 당뇨인구가 4억 3천만명에 달해 당뇨병은 개인이
최근 몇 년간 인공지능 기술의 의료 적용에 관한 많은 소식들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 진료현장에서 아직 적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구글, 인공지능기술 의료적용 관련 현 수준과 의료 도입 등 종합적 설명 이런 가운데 구글이 지난 10월 29일 BMC Medicine 이라는 학술저널을 통하여 관련 내용을 발표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Kelly CJ, Karthikesalingam A, Suleyman M, Corrado G, King D. Key challenges for delivering clinical impac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BMC Med. 2019 Oct29;17(1):195]. 이번 발표에 관심이 높은 이유는 ▲많은 전문가들이 인정하는 인공지능 분야 세계 최고 회사에서 발표한 논문이라는 점, ▲인공지능기술의 의료 적용 관련 현 수준과 의료 도입을 위해 풀어 나가야 할 여러 어려움들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는 논문이라는 점 등 때문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구글은 인공지능 기술의 의료적용에 있어 대표적인 어려움으로 다음의 15가지를 꼽았다.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