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맑음동두천 16.6℃
  • 흐림강릉 14.7℃
  • 맑음서울 18.2℃
  • 맑음대전 15.8℃
  • 구름많음대구 17.0℃
  • 흐림울산 16.6℃
  • 맑음광주 16.5℃
  • 구름조금부산 18.0℃
  • 구름많음고창 15.8℃
  • 흐림제주 17.9℃
  • 맑음강화 17.8℃
  • 맑음보은 13.4℃
  • 맑음금산 14.3℃
  • 구름많음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6.6℃
  • 맑음거제 17.6℃
기상청 제공

국회

“터널 내 교통사고 1위는 ‘부산 황령터널’ ”

전혜숙의원 “교통공단, 사고 우려 지점 집중점검해 선제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최근 5년간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 터널은 ‘부산 황령터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4년 539건였던 터널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해 781건으로 44.9% 급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인 전혜숙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광진갑)이 10일(목)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도별 터널 교통사고 현황에 따르면 2014년 539건인 터널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해 781건으로 44.9% 급증했다. 

2016년에는 535건으로 다소 감소했던 사고 건수는 이듬해인 2017년 725건으로 다시 35.5%나 증가했다.

2014년 1,173명이던 부상자 수도 2018년 1,769명으로 50.8% 급증했다. 2016년 1,224명으로 줄어들었던 부상자 수는 2017년 1,581명으로 다시 29.2% 증가했고, 그 이듬해인 2018년에는 1,769명으로 11.9% 늘어났다.

특히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터널은 ‘부산 황령터널(58건)’로 사상자는 124명(사망 1명)에 달했다. 공동 2위는 ‘경남 안민터널(32건/76명)’과 ‘부산 백양터널(32건/60명명)’이 차지했다. 뒤를 이어 ‘서울 남산1호터널(28건/53명/사망 1명)’, ‘서울 홍지문터널(28건/63명)’, ‘부산 만덕2터널(27건/61명)’, ‘충북 진천터널(26건/55명)’ 등 순이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도로교통공단이 원인 분석과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은 국민권익위원회,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함께 2017년에 실시한 합동점검 한 차례 뿐이었다.

도로교통공단은 터널 사고 증가 원인에 대해서도 '터널 길이가 늘어났기 때문에 사고 건수도 증가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2017년 1626㎞이던 터널 연장(길이)이 2018년 1811㎞로 10.7% 증가할 동안 사고 건수는 725건에서 781건으로 9.7% 증가하는데 그쳤다며 100㎞ 당 사고건수는 오히려 0.9%가 감소했다고 말했다. 

전혜숙 위원장은 "터널 내 사고는 구조적 취약성 등으로 인해 연쇄추돌 등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특정한 장소에서 비슷한 유형의 교통사고가 이어진다면 이 곳에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는 경고인 만큼, 도로교통공단은 사고 우려 지점을 집중점검해 선제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산모 고령화와 인공수정 등 영향, 저체중. 조산아 증가..."신생아중환자실 의료 질 관리 지속 필요" 우리나라는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산모의 고령화, 인공수정의 증가 등으로 조산아(이른둥이) 분만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영아 사망의 반 이상이 28일 미만 신생아기에 발생하고 있어 신생아중환자실의 진료환경 개선 및 환자안전 중심의 관리체계 강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심사평가원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신생아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8년부터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를 진행했다. 이번 3차 평가대상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3월까지의 6개월 진료 분으로, 신생아중환자실을 보유한 86기관(상급종합병원 44기관, 종합병원 42기관)이었다. 지난 2차 평가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퇴원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입원했지만 퇴원하지 않고 계속 입원 중인 환자’는 제외됐으나, 이번 평가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전체를 포함하여 평가의 사각지대를 해소했다. 평가결과, 종합점수 전체 평균이 90.71점이었으며 상급종합병원이 92.32점, 종합병원이 89.02점이었다.종합점수에 따라 1~5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1등급은 64기관(상급종합병원 37기관, 종합병원 27기관)이고 전국 모든 권역에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내가 지방간? 알코올만큼 치명적인 '이것' 중독 “술은 마시지도 않는데, 지방간이 심하다니 너무 억울한데요.” 건강검진 결과 나이, 음주 습관에 상관없이 ‘지방간’ 진단을 받고 당황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술을 마시지도 않는데, 젊은 나이인데도 지방간을 주의해야 한다거나 이미 지방간이 축적됐다는 소견을 듣는 사례는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흔히 지방간은 ‘애주가의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전문가들은 이제는 현대병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지적한다. 실제 알코올과 상관없이 발생하는 지방간은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이라고 한다. 이는 가볍게 여길 요소가 아니다. NAFLD를 방치하면 지방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섬유증, 최악의 경우 간경변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술만큼이나 지방간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소는 무엇일까? 조민영 가정의학과 전문의 도움말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하는 요소에 대해 알아봤다. ◆단맛 유난히 즐긴다면 지방간 의심해 봐야지방간의 첫 번째 체크요소는 바로 식습관이다. 특히 달콤한 음식이나 정제당을 선호해 왔다면 내 간 상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조 대표원장에 따르면 설탕은 음주만큼이나 간에 부담을 주는 요소다. 설탕 역시 알코올과 마찬가지로 간에서 처리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