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대한심장학회 심근경색연구회장 연임

임기 2021년 12월까지 2년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가 최근 대한심장학회 심근경색연구회 회장에 연임됐다.

지난 2018년 1월 회장에 새로 취임했던 정명호 회장은 10일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 심근경색연구회 임원회의에서 차기회장으로 재선출 됐다. 임기는 2021년 12월까지 2년이다.

지난 2013년 설립된 심근경색연구회는 심근경색증의 연구·치료·예방을 위해 심근경색증에 대한 등록·자료수집 및 치료지침 발간 그리고 학술대회 개최 등의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국내 의료수준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정명호 회장은 지난 임기 동안 심근경색증 교과서 편찬과 현재 한국 심근경색증 가이드라인을 추진하는 등 연구회의 핵심적인 사업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연임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정명호 회장은 지난 2005년부터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이하 KAMIR)를 진행하면서 지금까지 총 74,035명의 환자를 등록했고, SCI급 논문 240편을 포함한 총 261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하는 등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일본과 중국 심장학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지난 2013년부터 KAMIR을 본받아 JAMIR 연구를 시작한 일본과는 양국을 오가며 매년 KAMIR-JAMIR 공동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으며, 중국과도 KAMIR-CHAMIR 심포지엄을 진행하고 있다.

또 정명호 회장은 지난 1996년 전남대학교병원에 국낸 최초로 동물 심도자실을 설립해 심근경색증 기초 연구에 매진해왔다.

그 결과 심근경색증 환자의 시술을 위한 심혈관 스텐트 개발과 미국 특허 등록 등 놀라운 성과와 함께 전국에서 가장 많은 심근경색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KAMIR 연구결과가 국내외 학회에 소개되면서 정명호 회장은 유럽심장학회 최우수상, 국립보건연구원 우수연구자상, 한국지질동맥경화 최우수 논문상, 대한내과학회 우수논문상, 대한심장학회 피인용지수 우수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다.

또 지금까지 국내외 학회지에 총 1,613편의 논문과 76건의 특허·81편의 저서를 발표하고, 현재 한국혈전지혈학회 및 한국중재의료기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악성 복수 동반한 진행성 암 환자 ..."장·방광·복수액 미생물 및 면역 환경" 규명 암이 진행됨에 따라 일부 환자에서는 복강 내에 체액이 축적되는 ‘악성 복수’가 발생한다. 복수가 과도하게 쌓이면 복부 팽만, 통증, 호흡곤란 등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뿐 아니라 예후도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악성 복수의 발생 원인과 그에 따른 미생물학적·면역학적 특성은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종양혈액내과 윤진아 교수 연구팀은 장, 방광, 복수액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악성 복수의 미생물 군집과 면역 환경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총 66명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악성 복수가 있는 환자군(20명)과 없는 환자군(46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환자의 장, 방광, 복수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해 16S rRNA 유전자 시퀀싱과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시행하여 미생물 다양성과 면역세포 분포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복수액 내 미생물 부하는 매우 낮아 대부분이 무균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장 및 방광 내 미생물 군집은 복수 유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복막 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염증 유발 세균으로 알려진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 및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Gam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