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2.6℃
  • 흐림강릉 7.8℃
  • 구름많음서울 16.6℃
  • 구름조금대전 20.9℃
  • 맑음대구 17.4℃
  • 구름많음울산 20.0℃
  • 흐림광주 20.3℃
  • 흐림부산 17.7℃
  • 흐림고창 21.3℃
  • 구름조금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2.0℃
  • 맑음보은 11.0℃
  • 구름많음금산 21.3℃
  • 구름많음강진군 17.1℃
  • 구름많음경주시 15.7℃
  • 흐림거제 18.2℃
기상청 제공

염증성장질환, "장내 미생물 간 기능적 불균형 높다"

경희대병원 이창균 교수, 유럽염증성장질환학회서 구연 발표

경희대학교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이창균 교수는 2월 19()부터 4일간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염증성장질환학회(ECCO 2025)에서 염증성장질환 진단을 위한 장내 미생물 바이오마커 발굴’ 이라는 주제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특히국내 유일 구연 발표자로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총 3,760(염증성장질환자 1,293건강인 2,467)의 분변 샘플 데이터를 통해 장내 미생물의 시퀀싱 데이터(16s rRNA data)를 분석하고 비교·연구했다그 결과염증성장질환자의 장내 미생물 간 기능적 불균형이 건강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기능적 불균형이 높으면장내 미생물군의 다양성이 적은 반면특정 유해군이 과도하게 증식한다.

 

이창균 교수는 염증성장질환은 진단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보니 다양한 검사를 통해 통합적으로 판단을 내려야 하는 불확실성과 환자의 번거로움이 존재했다며 이번 연구는 염증성장질환의 새로운 진단 도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앞으로 다각도적인 연구를 수행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진단 기준을 마련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경동맥 협착증 스텐트 삽입 후 1년 이상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 관행...바뀌나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신경과 유준상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서권덕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연구를 통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의 적정한 기간을 제시했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받을 수 없는 경동맥 협착증 환자에게 주로 시행한다. 스텐트 삽입술 후에는 스텐트 내 혈전증, 허혈성 뇌졸중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아스피린을 포함한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을 권고한다. 이 경우 합병증 예방에는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출혈 위험은 커진다.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이중 항혈소판제는 관행적으로 1년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기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아직 없다. 이에 연구팀은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를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기간에 따라 구분해 허혈성 뇌졸중 및 주요 출혈(뇌출혈, 수혈을 동반한 장 출혈)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에는 2007년부터 2019년 사이에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데이터를 사용했다.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기간은 단기(3~6개월), 장기(6개월 이상)로 나누고, 시술 후 3개월부터 15개월 사이 발생한 허혈성 뇌졸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