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걸을 때마다 저릿한 다리, 척추관협착증...대표 증상 9가지

복부 코어 강화 운동, 척추 건강 예방에 효과적

만약 걸을 때마다 다리가 저릿하거나 당긴다면 일상에서도 불편함을 느끼기 마련이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듯이 아파서 중간에 앉아서 쉬지 않을 수 없는 경우도 생기는데, 대부분은 피로나 혈액순환 장애를 의심하게 된다. 그러나 충분한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계속해서 반복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이라는 허리 질환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척추관이란 척추뼈 속에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러한 척추관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져서 신경이 눌리는 것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한다. 흔한 원인으로는 노화에 의해 척추관 내부의 벽을 이루는 구조물이 두꺼워지거나 척추뼈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눌린 신경은 해당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신경을 통한 순환에 장애가 생기며 특히 보행 시에 통증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부터 엉덩이, 다리까지 서서히 증상이 진행되는 병이다. 보행 시 느끼는 불편함으로 많은 환자들이 원인을 허리라고 생각하지 못하며, 일부는 증상이 심해졌다가 완화되는 경우가 있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실제로 증세가 나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방치하면 보행 불능이나 하지마비로까지 진행될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당장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된다면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

  1. 보행 시 허벅지와 종아리가 터질 듯이 당기고 아프다.
  2. 몇 분 이상 걸으면 통증으로 멈춰 쉬어야 한다.
  3. 허리와 다리뿐만 아니라 허벅지와 종아리, 발끝까지 저리다.
  4. 다리 전체에 힘이 빠지고 마비가 온 듯한 느낌이 든다.
  5. 다리가 가늘어지고 힘이 약해진다.
  6. 가만히 있을 때 통증이 약하고 움직이면 심해진다.
  7. 서 있을 때 증상이 심해지고, 앉거나 허리를 굽히면 완화된다.
  8. 어느 정도 움직이면 허리 통증이 약해지고 부드러워진다.
  9. 자다가 다리가 저려서 깨곤 한다.

최원서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다리가 뻣뻣하고 저린 느낌을 혈액순환 장애로 여겨서 방치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보행 시 불편함을 단순한 피로감으로 오인하지 않고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신경외과 전문의와 함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평소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걷기나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나 복부 코어를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이 척추 건강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