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환자 유치 사업이 빠른 성장을 거듭하며 창조경제의 핵심동력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한국이 동북아시아의 의료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의료기관 규제 완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의료관광비자 확대 등 국가 차원의 전략적 접근 및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원내부대표)은 보건복지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외 환자 유치와 관련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4년간 해외환자 수는 약 2.5배, 진료수익은 약 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의원은 유치기관이 수도권에 몰려 있고, 유치실적 및 진료수입이 상위 10개 기관에 집중된 점을 고려하여, 동북아시아 의료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략과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의 분석에 의하면, 2012년 유치한 해외환자는 전년 대비 30.4% 증가한 15만 9,464명이고, 진료수입이 전년 대비 48% 증가한 2,673억 원이었다.
문정림 의원은 “해외환자 유치사업은 우수한 우리의 의료기술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낸 창조경제의 대표적 사례로, 외국인 환자의 국적이 2012년 189개국인 점에 달한 점, 미·중·일 편중현상이 완화되고 중동, 중앙아시아, 동남아 등 신흥국가의 환자수가 급증한 점을 고려, 해외 환자 유치시 국가별 대책을 마련해야만 하며, 유치 의료기관이 수도권에 집중된 점, 상위 10개 기관의 유치실적 비율이 26.1%이면서, 진료수입이 40.2%인 점을 고려하여, 지역 편중 완화와 상위기관의 환자 유치 및 수입 점유를 분산 확대하는 등, 해외환자 유치사업의 새로운 성장과제를 포착,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