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링거인겔하임은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 대한 대규모 연구인GLORIA™-AF 등록 임상 프로그램의 1단계 연구 결과, 뇌졸중 예방 약물 치료가 필요한 불규칙한 심장박동(심방세동, 또는 AF) 환자의 치료 패턴에 있어 전세계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보여졌다고 밝혔다.
GLORIA™-AF 등록 임상 프로그램의 1단계는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가 승인 되기 전인4 2011년 5월에서 2013년 1월까지 약 1년 반 동안 9개국에서 수집된 데이터이며, 그 결과 뇌졸중 위험이 있는 심방세동 환자의 대다수가 아세틸살리실산(ASA)*과 같은 항혈소판 치료요법으로 치료받거나, 혹은 뇌졸중 예방 치료를 전혀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심방세동 환자는 치명적인 뇌졸중을 앓게 될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심장리듬 질환인 심방세동은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으면 뇌졸중 발병 위험을 5배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전을 용해시켜 혈액을 묽게 만드는 혈액희석제를 통한 치료는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에 필수적인 치료옵션이다.
최근 치료 지침에 따르면 뇌졸중 위험이 있는 심방세동(AF) 환자는 아세틸살리실산 (ASA)과 같은 항혈소판 치료요법 대신 와파린이나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NOAC)를 통해 뇌졸중을 예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와파린은 치료 범위가 좁고 투여 제한이 많아 중국을 포함한 일부 지역에서는 사실상 크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심방세동 환자들은 적절하게 뇌졸중 예방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LORIA™-AF 등록 임상 프로그램의 1단계는 중등도 이상의 뇌졸중 위험을 가진 새롭게 진단된 1,063명의 심방세동(AF) 환자가 등록했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만, 연구 기간 동안 참여한 많은 나라에서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가 승인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의 사용 패턴이 데이터에 반영되기는 힘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