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구름조금동두천 15.2℃
  • 맑음강릉 17.5℃
  • 구름조금서울 15.7℃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5.3℃
  • 구름많음울산 14.9℃
  • 맑음광주 14.3℃
  • 구름조금부산 13.8℃
  • 구름조금고창 13.3℃
  • 구름많음제주 13.8℃
  • 맑음강화 13.1℃
  • 구름조금보은 12.6℃
  • 구름조금금산 13.4℃
  • 맑음강진군 11.1℃
  • 구름많음경주시 14.5℃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보건복지부

치매 환자 조호 지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행”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동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보급으로 치매 환자 조호 지원에 앞장서

병원에 가야하는 날을 스마트폰이 챙겨준다면?
약 먹을 때가 되었다고 핸드폰 알람이 알려준다면?
환자를 돌보다 어려운 점이 있을 때 핸드폰으로 곧장 전문가 상담을 받을 수 있다면?

어르신을 돌보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필요하다고 느꼈을 기능일 것이다.  '동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기능들을 지원한다.

인구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치매 환자 수는 2012년에 54만 명이 넘었고, 2014년 61만 명, 2024년에는 1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계된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수 역시 2012년 23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어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치매관련시설에서 치매 환자를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조호자(가족, 요양보호사 등)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행>을 지난 5월 26일 출시하였다.

<동행>의 8가지 주요 기능은, ▶치매상담콜센터나 치매정보365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전문적 상담을 받을 수 있는 1)상담하기, ▶익명으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2)소통하기, ▶환자 상태를 기록하는 등 자신만의 조호일기를 적을 수 있는 3)조호다이어리, ▶조호자에게 꼭 필요한 치매 환자 조호방법 교과서 4)조호도우미, ▶처방받은 약 내용을 저장해놓고, 투약 시간에 알람을 받을 수 있는 5)투약알람, ▶예약해 놓은 병원진료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는 6)예약정보, ▶치매 캠페인 안내/신청 공간인 7)동행캠페인, ▶치매 관련 기관을 검색 할 수 있는 8)관련기관검색이다.

김기웅 중앙치매센터장은 “<동행>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분들이라면 가족, 시설 종사자 모두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적극적인 이용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동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구글-플레이스토어, T-스토어, 네이버-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