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구름조금동두천 20.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9.4℃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1.7℃
  • 맑음울산 18.7℃
  • 맑음광주 22.0℃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9.8℃
  • 구름조금제주 18.4℃
  • 맑음강화 17.5℃
  • 맑음보은 19.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4℃
  • 맑음경주시 23.6℃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건양의대 김안과병원, ‘외안부’ 주제 제12회 안과학 심포지엄 개최

건양의대 김안과병원(김용란)은 오는 24일 오전 9시 30분부터 망막병원 명곡홀에서 ‘외안부’를 주제로 제12회 안과학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대한안과학회 이사장인 김만수 가톨릭의대 교수, 고려의대 김효명 교수, 연세의대 김응권 교수 등 관련 분야의 국내 대표적인 학자들이 발표자 및 좌장으로 참여한 가운데 주요 외안부질환인 안구건조증, 헤르페스 각막염, 공막염 등에 대해 안과적인 접근법과 함께 연계 진료과(류마티스내과, 가정의학과, 마취통증학과)적인 방법의 접근법에 대해 깊이 있는 고찰이 이뤄지게 된다.

이번 심포지엄의 연수평점은 4점이며, 참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김안과병원 의국사무실(02-2639-7811~12)로 신청하면 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연제는 다음과 같다.(각 세션 괄호 내는 좌장)

◈SESSION 1: Dry eye syndrome의 기초와 치료(고려의대 김효명, 김안과병원 김병엽)
▶안구건조증의 기초와 이해(건양의대 고병이) ▶마이봄선 질환의 기초와 이해(고려의대 송종석) ▶안구건조증의 치료: 인공누액의 종류 및 선택(경북의대 김홍균) ▶안구건조증의 치료: Steroids, Cyclosporine A, Mucin Secreter의 특징 및 적용(전남의대 윤경철) ▶안구건조증의 Special Treatment(김안과병원 정재림)

◈SESSION 2: 전신질환과 안구건조증(고려의대 김효명, 김안과병원 김병엽)
▶안과수술(각막굴절수술, 백내장) 후의 건성안 양상 및 치료(울산의대 김명준) ▶류마티스 질환과 건성안(건양의대 류마티스내과 정청일) ▶건성안과 연관된 기능성 복합식품의 효과(이동환가정의학과의원 이동환)

◈SESSION 3: Herpes Keratitis(연세의대 김응권)
▶Special Lecture: Herpes keratitis의 기초와 이해(가톨릭의대 김만수) ▶Herpes keratitis의 치료와 예방(가톨릭의대 정소향) ▶Herpes Zoster의 통증치료(연세의대 마취통증의학과 윤경봉)

◈SESSION 4: Episcleritis와 Scleritis의 치료(가톨릭의대 김만수)
▶Special Lecture: Episcleritis와 Scleritis(연세의대 서경률) ▶Treatment(medical+surgical) (서울의대 현준영)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뇌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 전신 암 재발 시... MnZn-SPION-7 나노물질 이용한 암 치료 시대 열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