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문정림 의원, “2014년 상반기, 초등학교·군대 결핵 유입 급증” 지적

“근본적 원인 파악 후 집단시설에 준한 결핵 관리 집중해야”

새누리당 문정림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은 집단시설의 결핵 역학조사 전수조사가 시작된 2013년 이후(2013년~2014년 상반기) ‘초등·중등·고등·대학교 및 군대에서의 결핵 집단 발병 현황’을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집단시설에 대한 결핵 확산 방지도 중요하지만, 결핵 유입 방지책이 더욱 시급하다고 지적하였다.

문정림 의원은 그 근거로 올해 상반기 학교 및 군대에서 결핵 발생 시설 수와 환자 수가 증가했다는 점을 지적하였으며, 특히 초등학교와 군대에서의 결핵이 증가가 뚜렷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2013년 96개 학교에서 96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에 비해 2014년 상반기 61개 시설에서 62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전년도 대비 금년 상반기에만 결핵 발생 학교 수가 27.1%, 환자 수가 29.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참고자료 1]

군대의 경우 2013년 305개 시설에서 342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에 비해, 2014년 상반기 180개 시설에서 203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전년도 대비 금년 상반기에만 결핵 발생 시설 수가 9.0%, 환자 수가 9.4%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참고자료 1]

문 의원은 “작년 상반기에 비해 올해 상반기 결핵 발생 건수가 집단시설인 초등·중등·고등·대학교 및 군대 중 초등학교와 군대에서 급증한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정부는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초등·중등·고등·대학교 및 군대에서의 결핵 발생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2013년 시설당 결핵 발병 환자 수가 1.19명(2128개 시설, 결핵 발병 환자 2525명)인 것에 비해 2014년 시설당 결핵 발병 환자 수가 1.12명(1134개 시설, 결핵 발병 환자 1265명)으로 나타나, 결핵의 확산 방지에 있어서는 개선된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참고자료 2] 문 의원은 “전년도 대비 금년도 상반기에 시설당 결핵 환자수가 줄어든 것은 집단시설 내에서 결핵이 발생한 경우, 초기 진단과 함께 확산 방지책이 작동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문 의원은 “결핵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 잘 관리되지 않는다면 기하급수적으로 전염될 위험이 있다.”라고 강조하며, “특히 면역력이 낮거나 천식으로 인해 폐기능이 저하된 경우 등 위험군에게 전염될 시에는 생명에 중대한 위해를 끼치는 질병인 만큼, 집단시설 내 결핵이 유입되지 않도록 철저한 역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유입되더라도 결핵이 확산되지 않도록 정기적인 결핵검진, 환자 치료, 환자 격리 등에 대한 내용을 항시적·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참고자료 1] 2013년~2014년 상반기 학교·군대 내 결핵 발생 시설 및 환자 수

표1: <2013년~2014년 상반기 학교·군대 내 결핵 발생 시설 및 환자 수>

연도

구분

학교

군대

결핵 발생 시설 수 비교

‘13년

시설(수)

96

214

574

939

305

13년 상반기 (단순추정)

시설수/2

48

107

287

469.5

152.5

‘14년 상반기 (1.1~6.28)

시설(수)

61

96

314

483

180

13~'14년 시설수 증감율

27.1%

-5.1%

4.7%

1.4%

9.0%

결핵 발생 환자 수 비교

‘13년

환자(명)

96

233

806

1,048

342

13년 상반기 (단순추정)

환자수/2

48

116.5

403

524

171

‘14년 상반기 (1.1~6.28)

환자(명)

62

102

358

540

203

13~'14년 환자수 증감율

29.2%

-6.2%

-5.6%

1.5%

9.4%

- 설명 -

○ 올해 상반기 학교 및 군대에서 결핵 발생 시설 수와 환자 수가 모두 증가했다. 특히 초등학교와 군대에서의 결핵이 급증하였다.

○ 초등학교의 경우 2013년 96개 시설에서 96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에 비해 2014년 상반기 61개 시설에서 62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결핵 발생 초등학교 수는 27.1% 증가, 초등학교 내 결핵 환자는 29.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 군대의 경우 2013년 305개 시설에서 342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에 비해, 2014년 상반기 180개 시설에서 203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결핵 발생 시설 수는 9.0%, 환자는 9.4%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자료 2] 2013년~2014년 상반기 학교·군대 내 시설당 결핵환자 수

구분

학교

군대

시설 전체

합계 수치

환산

‘13년

결핵 발생 시설 및 발생 환자 수

시설(수)

96

214

574

939

305

2128

1134

환자(명)

96

233

806

1,048

342

2525

1345.6

시설당 환자수

1.00

1.09

1.40

1.12

1.12

1.19

 

‘14년 상반기 (1.1~6.28)

결핵 발생 시설 및 발생 환자 수

시설(수)

61

96

314

483

180

1134

2128

환자(명)

62

102

358

540

203

1265

2373.8

시설당 환자수

1.02

1.06

1.14

1.12

1.13

1.12

 

표2: <2013년~2014년 상반기 학교·군대 내 시설당 결핵환자 수>

- 설명 -

○ 초등·중등·고등·대학교 및 군대에서의 결핵 발생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2013년 시설당 결핵 발병 환자 수가 1.19명(2128개 시설, 결핵 발병 환자 2525명)인 것에 비해 2014년 시설당 결핵 발병 환자 수가 1.12명(1134개 시설, 결핵 발병 환자 1265명)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