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이 유난히 나온 남자들이 있다. 단순히 살이 쪄서 가슴 부위가 강조된 것이라 여기기 쉽지만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 체중 감량을 해도 증상이 쉽게 호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 만약 다이어트를 해도 가슴이 비정상적으로 돌출되어 있다면 여성형 유방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여성형 유방이란 남성의 가슴 부위가 여성의 유방 형태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 유선조직 증식이 활발하게 이뤄질 때 육안으로 눈에 띄게 가슴 형태가 도드라지는 것. 줄여서 여유증(이하 여유증)이라고 하기도 한다.
2011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의하면 남성 유방비대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07년 8640명에서 2011년 1만1070명으로 연평균 6.4% 증가했다. 특히 10대가 약 3천1백명(28.6%), 20대가 약2천2백명(20%)으로 전체 진료환자 중 10-20대가 48.6%에 달해 눈길을 끈다.
여유증의 원인은 갑상선 기능저하나 약물 남용 등으로 인한 에스트로겐과 아드로겐 호르몬의 불균형, 스테로이드 부작용, 환경호르몬 등 다양하나 최근 증가 원인은 서구화된 식생활과 과체중 등으로 추정된다. 주로 사춘기 이후 증상이 나타나는데 최근 아동 및 청소년 비만이 늘어나면서 10-20대 여유증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인 것.
보건복지부지정 외과전문병원 민병원 김종민 대표원장은 “청소년기의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로 치료를 원하는 경우가 많으나 체중 조절로 호전될 수도 있고 사춘기 여유증의 90%는 일시적인 증상으로 시간 지나면 자연적으로 없어지게 된다”며, “하지만 약 10% 정도는 성장이 끝나도 가슴 모양이 남아 있거나 크기가 커지기도 하기에 성인이 된 후에도 증상이 계속 된다면 외과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마른 체형인데 가슴이 나와 있거나 청소년기에 커진 가슴이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고 운동을 해도 변화가 없다면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유두 주변을 손가락으로 만져볼 때 딱딱하게 만져지는 것이 있거나 유두가 약 6mm, 유륜이 30mm 이상인 경우에도 여유증일 가능성이 높다.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나 미적인 이유나 불편함으로 시술을 원한다면 유방엑스선이나 초음파를 통해 정확한 진단 후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김종민 원장은 “드물지만 남성에게도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기에 유두 아래쪽 멍울이 잡히면 암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유증인 경유가 대부분”이라며 “여유증은 크게 유선조직형 여유증과 지방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성여유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형에 따라 유선제거술 및 지방흡입술을 적절히 시행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예방법은 명확하지 않으나 청소년기 과체중이나 비만을 막기 위해 평소 꾸준히 유산소 운동을 하고 기름기가 많거나 육류 위주의 식단은 피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