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맑음동두천 15.8℃
  • 구름많음강릉 17.1℃
  • 맑음서울 15.4℃
  • 맑음대전 15.8℃
  • 맑음대구 18.2℃
  • 맑음울산 18.3℃
  • 맑음광주 17.1℃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4.8℃
  • 맑음제주 16.8℃
  • 맑음강화 10.7℃
  • 맑음보은 16.3℃
  • 맑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7.9℃
  • 맑음경주시 19.0℃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백신 분야 외국규제당국자 초청 국제워크숍 개최

해외 진출 희망국 규제당국자 초청으로 국내 백신 수출 적극 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국내 백신의 글로벌 신뢰도를 높이고 수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오는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14년 백신분야 외국 규제당국자 초청 국제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 워크숍은 WHO, 국제 백신연구소 뿐만 아니라 국내 백신 제조사가 진출을 희망하는 해외 7개국(브라질, 에콰도르, 이란, 파키스탄, 인도, 대만, 태국)의 규제당국자를 초청하여 국제 조달시장 정보 및 잠재적 수출국의 관련 규제정보 등을 제공하여 국내 제조 백신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또한, 최근 인도 등 신흥국에서 제조한 저가 백신이 WHO 인증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백신 수출의 전략도 논의된다. 
    
이번 워크숍의 첫째 날(24일) 워크숍은 서울 서초구 소재 서울팔래스호텔에서 개최되며 ▲백신의 안전관리 정책 방향 ▲국내·외 백신의 최신 개발 동향 및 이슈 ▲각국의 백신 규제 등에 대해 논의될 계획이다.
 

둘째 날인 25일에는 충북 오송, 식약처로 해외 규제당국자를 초청하여 국가검정센터 방문 등 국내 백신의 안전관리체계를 중점 안내하고, 셋째날인 26일에는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SK케미칼(주)’ 백신 공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12년 기준으로 세계 백신 시장 규모는 약 352억달러 규모이며 연간 10~16% 정도 성장하고 있으며 `17년까지 567억달러(약 68조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백신 시장 규모는 `13년 기준으로 약 4,100억원(생산단가 기준,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자료)이며, 최근 6년 간 연 평균 9% 성장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자체 생산 가능한 백신은 B형간염백신 등 총 8종(B형간염백신, 일본뇌염(사)백신, 신증후군출혈열백신, 수두백신, 인플루엔자백신, 장티푸스백신, Hib 백신, 두창백신)이며 특히, 인플루엔자 백신, 수두 백신, B형 간염백신 등이 주력 수출 품목이다. 
   
식약처는 `11년부터 백신분야 해외 규제당국자 초청 워크숍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국내 백신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해 오고 있으며, 그 성과로 국내 의약품 수출액 1위는 퀸박셈주(DTwP-Hib-HepB, 5가 혼합백신)이며, 기타 백신의 지난해 수출량도 `12년에 비해 약 134%나 늘었다.  
   

식약처는 이번 ‘14년도 백신분야 외국 규제당국자 초청 국제 워크숍’이 국내 백신의 국제적 신뢰를 높이고, 국내 백신 업계와 수출 희망국의 규제당국자 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류로 국내 백신의 글로벌 시장 진출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세부행사일정

시간(Time)

내용(Content)

발표자(Speaker)

/Organizer

24일

(1일차)

09:30 - 10:00

30분

등록(Registration)

바이오의약품정책과

(서울)

10:00 - 10:10

10분

환영사(Welcoming remarks)

김진석

식약처 바이오생약국장

10:10 - 10:20

10분

축사(Congratulatory remarks)

장정호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10:20 - 10:30

10분

사진 촬영

 

Session 1. 국내·외 백신의 안전관리 정책 방향(Vaccine Safety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In and Outside of Korea)

 

 

10:30 - 11:00

30분

한국의 백신 안전관리 정책 방향(Vaccine management policies of Korea)

이승훈

바이오의약품정책과장,MFDS

 

11:00 - 11:40

40분

WHO의 안전관리 정책방향(Vaccine management policies of WHO)

신진호

(WHO 서태평양사무국)

 

11:40 - 13:00

80분

점심 식사(Lunch break)

 

 

Session 2. 백신의 최신 개발 동향 및 이슈(Issues on Recent Vaccine Development)

 

13:00 - 14:00

60분

국내 백신의 최신 개발 동향 및 이슈(Korea’s latest vaccine development trends and issues)

김훈

(SK케미칼)

 

14:00 - 15:00

60분

해외 백신의 최신 개발 동향 및 이슈(Overseas latest vaccine development trends and issues)

Dr. Sudeep Kothari

(IVI, 국제백신연구소)

 

15:00 - 15:30

30분

Coffee Break

 

 

Session 3. 각국의 백신 규제 소개(백신의 임상시험기준 및 면제기준 등을 중심으로)

(Introduction of Overseas Vaccine Regul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15:30 - 16:00

30분

Vaccine regulatory trends of a participant country

 

Brenda Gomes Valente

(ANVISA, 브라질)

 

16:00 - 16:30

30분

Saeedeh Fakhrzadeh

(Food and Drug organization, 이란)

 

16:30 - 17:00

30분

Amjad Abdulla

(ARCSA, 에콰도르)

17:00 - 17:10

10분

Bathroom Break

 

17:10 - 17:40

30분

Vaccine regulatory trends of a participant country

Chi,Jo-Feng

(FDA, 대만)

17:40 - 18:10

30분

Ajimeer Ramkishan

(CDSCO,인도)

 

18:10 - 18:40

30분

Faisal Shahzad

(Drugs regulatory Authority, 파키스탄)

 

18:40 - 20:00

80분

만찬(Dinner)

 

25일

(2일차)

08:00 - 10:00

 

이동(서울 → 오송)

바이오의약품정책과

(버스 이용)

(오송)

Session 4. 한국의 백신 안전관리 소개(Korea’s Vaccine Regulation and Management Policies)

 

10:00 - 10:10

10분

환영 인사말씀(Opening remarks)

손여원 부장

(바이오생약평가부)

10:10 - 10:20

10분

MFDS 조직 및 업무 소개

김지애 주무관

(바이오의약품정책과)

 

10:20 - 10:50

30분

한국의 백신 허가·심사 제도(Korea’s vaccine review/evaluation systems)

김도근 연구관

(생물제제과)

 

10:50 - 11:20

30분

시판 후 안전관리 제도(National lot release and PMS)

김은주 사무관

(바이오의약품품질관리과)

 

 

11:20 - 11:50

30분

한국 예방접종 정책 및 백신 안전관리(Korea’s immunization policies and vaccine management)

양태언 연구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12:00 -13:30

90분

점심식사(Lunch break)

 

 

Session 5. 한국의 백신 품질보증 시스템(Korea’s Vaccine Quality Assurance Systems)

 

13:30 - 14:00

30분

국가 표준품 운영(National reference materials) 및 WHO 협력센터 성과 소개

김지현 연구관

(생물의약품연구과)

 

14:00 - 14:30

30분

국가출하승인제도 운영(National lot release tests of vaccines)

오호정 연구관

(국가검정센터)

 

14:30 - 15:00

30분

Coffee Break

 

 

Session 6. 초청 강의(Special Lecture)

 

15:00 - 16:00

60분

백신 제조와 최신 GMP 동향(Vaccine manufacturing and latest GMP trends)

식약처 이정길 자문관

 

Session 7. 한국의 백신 안전관리시스템 견학(Tour of Korea’s Vaccine Management Systems)

 

16:00 - 16:30

30분

한국의 백신안전관리 시스템 견학(Tour of Korea’s Vaccine Management Systems)

국가검정센터

 

16:30 - 16:40

10분

폐회사(Closing remarks)

손여원 부장

(바이오생약평가부)

 

16:40 ~

 

이동(오송 → 서울)

바이오의약품정책과

(버스 이용)

26일

(3일차)

Session 8. 백신 안전관리 현장 견학(Vaccine Manufacturing Site Visit)

(SK

케미칼)

9:00 - 17:00

 

국내 우수 백신시설 견학 등(Tour of a vaccine manufacturing site)

바이오의약품정책과

(버스 이용)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건강한 해외여행 위한 검역, 국민 생각 공모전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한 정보활용, 자발적 검역 참여와 신고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4월 7일(월)부터 4월 27일(일)까지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한 검역, 국민 생각 공모전」을 개최한다. 질병관리청은 전국 13개 검역소와 함께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한 해외감염병 정보제공, 분기별 중점검역관리지역을 지정하여 집중검역을 실시하고 있으며,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❶해외감염병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한 사례, ❷해외감염병 예방을 위한 캠페인 방안, ❸검역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계기, ➍입국할 때 자발적 신고를 유도할 수 있는 아이디어 등 국민들이 생각하는 건강한 해외여행을 주제로 누구나 쉽게 검역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하여 개최된다. 공모분야는 영상(숏폼), 포스터(이미지), 수기 총 3개 분야이며, 응모자격은 국적·연령에 대한 참가 제한이 없어 세대와 세계를 아우르는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공모전 운영사무(kdcakmj1339@naver.com)으로 참가신청서와 콘텐츠를 제출하여 참가할 수 있다. 최종 수상작은 5월 12일(월) 발표되며, 부문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