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 (금)

  • 구름조금동두천 10.7℃
  • 흐림강릉 3.0℃
  • 맑음서울 9.5℃
  • 구름많음대전 9.6℃
  • 구름많음대구 10.5℃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8.9℃
  • 구름많음부산 14.1℃
  • 구름많음고창 6.4℃
  • 구름많음제주 10.1℃
  • 맑음강화 8.8℃
  • 흐림보은 7.1℃
  • 구름많음금산 8.2℃
  • 구름많음강진군 10.4℃
  • 흐림경주시 12.3℃
  • 구름조금거제 13.3℃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나보다 늙은 내 혈관, 활성산소가 문제

나이 들면 두꺼워지는 혈관, 항산화시스템 복구가 관건

직장인 김지은 씨(여, 37세)는 최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게시된 ‘나의 혈관나이 체크리스트’에 재미삼아 체크를 해 보았다가 예상 밖의 결과를 얻었다. 김씨의 혈관 나이는 실제 나이보다 10살 이상 많은 40대 후반으로 나타났다. “술, 담배도 하지 않고 건강검진도 꼬박꼬박 받아 왔는데 (혈관 노화가 이렇게 진행됐다는 것을) 믿기 어렵다”는 김 씨는 “조만간 혈관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병원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혈관나이, 실제나이보다 늙은 경우 많아

특별히 혈관계 질환을 앓지 않거나 자각증상이 없었다고 해도 혈관나이가 실제나이보다 많은 경우가 적지 않다. 혈관의 노화는 일반적으로 16세 이후부터 시작된다. 피부가 노화되는 것처럼 혈관 내피세포 역시 노화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끊임없이 혈액이 흐르며 일으키는 파동이 혈관노화를 촉진시킨다. 물론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 혈관노화는 더욱 가속화된다.

혈관노화는 혈관이 딱딱해진 정도를 일컫는다. 혈관 내벽에 쌓인 노폐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혈관 경화가 심화되면 혈관의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 같은 상태를 ‘혈관노화’라고 부르는 것이다. 노화의 정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동맥 맥파의 속도를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맥파 속도가 빠를수록 혈관 경화가 진행된 것으로 본다. 동맥의 탄성도 자체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역시 동맥의 탄성계수를 측정해 동맥이 경직된 정도를 파악한다.

최근에는 경동맥 단층 초음파를 통해 내중막두께를 측정하는 방법도 도입됐다. 혈관 내벽에 쌓인 과산화지질로 인해 혈전이 생겼을 때, 혈관 내벽은 부풀어오르고 내부 공간도 급격히 좁아진다. 내중막두께가 두꺼울수록 혈관노화가 심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항산화시스템 복구 위해 SOD 섭취해야

혈관 내 과산화지질 량에 관여하는 것이 바로 활성산소다. 활성산소로 인한 신진대사 저하는 과산화지질 대사량을 떨어트려 혈관 내에 과산화지질이 쌓이도록 한다. 활성산소가 생성되는 것을 막을 방법은 없지만 체내 항산화시스템을 복구해 활성산소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는 있다. 활성산소가 발생할 때 인체는 자체적으로 항산화효소를 만들어 내 산화스트레스에 대응한다. 다만 이 같은 항산화효소 생성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저하돼 활성산소 대응력이 약화된다. 때문에 항산화효소인 SOD를 섭취하거나 체내에 주입함으로써 인체의 항산화시스템 복구를 도와야 한다.

연세중앙내과 조세행 원장은 “식품을 통해 항산화 물질을 섭취하거나 일반적인 항산화제를 복용하는 것은 즉각적으로 활성산소에 대응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스트레스나 기타 여러 가지 활성산소 발생 요소들을 관리하면서 동시에 항산화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는 항산화SOD를 섭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산화스트레스 예방대책”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외상성 뇌손상 경험한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껑충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는 같은 나이의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약 1.9배 높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외상성 뇌손상 후 1년이 지나도 뇌졸중 위험이 크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청장년층은 혈당·혈압·콜레스테롤 등 뇌졸중 위험 요인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국립교통재활병원 연구소) 이자호 교수·최윤정 연구교수팀이 전국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후향적으로 비교한 연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와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이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부터 심한 경우 뇌부종, 지속적 혼수,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을 포함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청장년층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뇌졸중은 고령층의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최근 청장년층에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50대 미만의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18-49세 인구 104만명의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