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맑음동두천 15.8℃
  • 구름많음강릉 17.1℃
  • 맑음서울 15.4℃
  • 맑음대전 15.8℃
  • 맑음대구 18.2℃
  • 맑음울산 18.3℃
  • 맑음광주 17.1℃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4.8℃
  • 맑음제주 16.8℃
  • 맑음강화 10.7℃
  • 맑음보은 16.3℃
  • 맑음금산 15.7℃
  • 맑음강진군 17.9℃
  • 맑음경주시 19.0℃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비만, 알코올 지방간 위험 최대 13배 높아

강북삼성병원 조용균교수, 비만하면 지방 대사에 장애 생겨

알코올 섭취와 비만은 알코올 간손상의 위험을 높이고 간질환의 진행을 빠르게 하는 등 안 좋은 방향으로 시너지를 일으킨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은 과체중이면서 음주량이 많으면 남성은 약 2배 이상, 여성은 약 11배 이상 알코올 지방간 위험이 높다고 밝혔다. 특히 BMI 25 이상의 비만 여성은 최대 13배까지 위험했다.
 

과음하는 사람의 80~90%에서 발생하는 알코올 지방간은 중성지방이 간 무게의 5% 이상 초과 할 때 알코올을 많이 섭취 할수록 중성지방의 합성 촉진과 에너지 대사작용이 낮아지면서 발생한다.
 

알코올 지방간의 진단은 상복부 초음파에서 지방간이 보이고, 혈청 AST/ALT가 300IU/L를 안 넘으면서, AST/ALT가 2 이상일 때 내린다.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조용균교수는 “비만하면 지방 대사에 장애가 생기면서 지방이 더 많이 모이게 되고 지방간과 지방간염으로 갈 위험이 높아진다.”며, “살찐 사람이 술을 마시면 지방간염으로 진행이 빨라지면서 알코올성 간질환 위험에 쉽게 노출 되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
 

이번 연구는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검사를 받은 20~64세의 성인 남녀 중 과거 질병력과 약물 복용력이 없는 건강한 29,281명(남성 14,388명, 여성 14,893명)을 대상으로 4년간의 알코올 지방간 발생여부로 확인했다. 연구 기간 동안 한 번 이상 알코올 지방간이 발견된 사람은 4,889명으로. 남성   3,497명, 여성 1,392명이었다.
 

비만과 음주량에 대한 알코올 지방간 발생 위험은 체질량지수(BMI)와 2013년 대한간학회 알코올 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음주량 위험수준 4단계를 기준으로 측정했다.
 

키와 몸무게로 계산한 체질량 지수(kg/m2)는 WHO 아시아 태평양 가이드라인 기준에 따라 23미만은 정상, 23이상~25미만은 과체중, 25이상은 비만이다.

음주량은 1일 알코올 섭취량 기준으로 남성은 적정 40g 미만, 위험 40~60g, 유해 60g 이상으로 분류하고, 여성은 적정 20g 미만, 위험 20~40g, 유해 40g 이상으로 구분했다.
 

조교수는 “소주 1잔(50ml)에 알코올 8g이 들어있으므로 하루에 남성은 5잔, 여성은 2.5잔 미만을 지키고, 남성 7.5잔, 여성 5잔 이상은 피하는 건강한 음주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건강한 해외여행 위한 검역, 국민 생각 공모전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한 정보활용, 자발적 검역 참여와 신고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4월 7일(월)부터 4월 27일(일)까지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한 검역, 국민 생각 공모전」을 개최한다. 질병관리청은 전국 13개 검역소와 함께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한 해외감염병 정보제공, 분기별 중점검역관리지역을 지정하여 집중검역을 실시하고 있으며,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❶해외감염병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한 사례, ❷해외감염병 예방을 위한 캠페인 방안, ❸검역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계기, ➍입국할 때 자발적 신고를 유도할 수 있는 아이디어 등 국민들이 생각하는 건강한 해외여행을 주제로 누구나 쉽게 검역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하여 개최된다. 공모분야는 영상(숏폼), 포스터(이미지), 수기 총 3개 분야이며, 응모자격은 국적·연령에 대한 참가 제한이 없어 세대와 세계를 아우르는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다. 참가 희망자는 공모전 운영사무(kdcakmj1339@naver.com)으로 참가신청서와 콘텐츠를 제출하여 참가할 수 있다. 최종 수상작은 5월 12일(월) 발표되며, 부문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