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의료기기 부작용 갈수록 늘어 최근 4년간 6배 이상 증가

의료기기 부작용 조치, 인체에 위해성을 가진 3-4등급 의료기기 33% 달해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이 2015년 국정감사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기 안전성 모니터링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의료기기 부작용 신고건수는 2011년 717건에서 2014년 4,556건으로 4년간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기기 부작용 신고건수

연도

2011

2012

2013

2014

최근4년간

(2011-2014)

증가율

2015

(7.31 기준)

부작용 보고건수

717

2,397

4,130

4,556

635.4%

2,643

문정림 의원실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재구성

 

 

「의료기기 안전성 모니터링센터」는 의료기기 부작용 사례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 전국 지역별 거점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11년 6개소를 지정운영하기 시작하여, (2012년 10개소, 2013년 12개소)2015년 16개소로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표2].「의료기기 안전성 모니터링센터」를 통해 수집된 부작용 사례는 의료기기로 인한 피해 확산 방지 및 허가 시 예상하지 못했던 부작용을 통해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실마리 정보로 사용되고 있다.


-의료기기 안전성정보 모니터링센터 부작용 보고 건수

개소

지역

거점병원

2013

2014

2015

7.31 기준

1

서울

세브란스병원

109

210

185

2

삼성서울병원

141

145

76

3

고려대학교구로병원

122

146

76

4

부산

부산대학교병원

142

186

94

5

대구

영남대학교병원

131

130

88

6

인천

인하대학교병원

-

-

35

7

광주

전남대학교병원

130

175

82

8

울산

울산대학교병원

-

-

91

9

경기

동국대학교일산병원

115

124

90

10

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

128

173

75

11

아주대학교병원

131

149

107

12

강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245

268

181

13

충북

충북대학교병원

-

-

37

14

충남

단국대학교병원

149

132

75

15

전북

전북대학교병원

137

198

92

16

전남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

61

 

 

소계

1,680

2,036

1,445

이에 2011년에 비해 2014년 의료기기 부작용 신고 건수가 6배 증가한 것은 2011년부터 운영된 전국 지역별 거점 종합병원을 중시으로 한 『의료기기 안정성 모니터링 센터』의 역할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최근 3년(2013~2015.7.)간 ‘등급별 의료기기 부작용 신고사례에 대한 조치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혈관 내 튜브 카테터 등 잠재적 위해성이 낮은 의료기 등급인 2등급 의료기기의 부작용 사례가 284건, 55.2%로 가장 많았으나, 인공신장기 등, 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3등급 의료기기의 경우 87건, 16.9%, 인공수정체, 자궁 내 피임기구 등, 고도의 위해성을 가진 4등급 의료기기의 경우가 82건, 15.9%의 부작용이 확인되었다.

 <의료기기 등급분류>
 ○ 사용목적과 사용시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 등 차이에 따라 품목별로 등급을 분류하여 고시로 지정 관리  
 ○ 등급분류 기준
   · 1등급 :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는 의료기기(예:수술용가위)
   · 2등급 : 잠재적 위해성이 낮은 의료기기(예:주사기)
   · 3등급 : 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예:인공신장기)
   · 4등급 : 고도의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예:이식형심장충격기)
 * <참고> 의료기기법 제3조 및 동 시행규칙 제2조등



따라서 잠재적 위험성이 있는 의료기기의 부작용신고 및 조치를 통해 의료기기를 사용한 시술을 받게 되는 국민안전을 위해서는 의료기기 안정성 모니터링 센터의 역할강화와 이에 따른 조치가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문정림 의원은 “의료기기 부작용으로 인한 환자와 의료인의 피해를 줄이고, 향후 출시되는 의료기기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의료기기 안전성 모니터링센터」를 통한 의료기기 부작용 보고와 확인이 중요하다”며, “이러한 성과를 지속극대화할 수 있는「의료기기 안전성 모니터링센터」 역량 강화 및 지원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문정림 의원은, 식품의약품 안전처에 중증도 이상의 위해성을 가진 3, 4등급 의료기기에 대한 부작용 사례(약 33%)에 대해서는 신속한 조치를 취할 것을 주문하였으며, 의료기기 등급별 부작용 보고 사례를 상세히 분석․검토하여 의료기기의 등급별 안전성을 확보하라고 촉구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