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장애인개발원 등 기관장 임금인상률 30%

김성주의원,“공공기관으로서 책무는 외면한 채 기관장 임금만 올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김성주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전주 덕진)은 1일, 국정감사를 받는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들을 상대로, 비정규직 비율, 장애인 고용률, 기관 평가 결과와 성과급 및 임금인상률을 통해 운영상 책무를 다하고 있는지 점검했다.

➀ 비정규직 현황 - 보육진흥원 46.5%, 보건복지인력개발원 64.2%, 장애인개발원 66.4%
 보육진흥원은 ‘13년에는 정규직보다 무기계약직과 비정규직이 두 배 가까이 많았고, 정규직의 수와 비중을 늘리고 비정규직 수를 줄이려는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율은 10%안팎이며 무기계약직 전환율도 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이 더욱 많았다. 정규직 비율이 ‘13년 40%에서 ’15년 9월 35.8%로 낮아지고 있었으며, 심지어, 올해 개원한 자활연수원의 경우 직원 19명 전원이 계약직으로 구성되어있는 상황이었다.
 

장애인개발원은 ‘13년 정규직 42% 비정규직 58%, ’14년 정규직 38.8% 비정규직 61.2%, ‘15년 정규직 33.6% 비정규직 66.4%으로 해마다 비정규직의 비중이 늘고 있었다. 무기계약직 전환비율은 최근 3년간 94.4%로 준수하지만, 비정규직 비율이 과도하게 높았다.


➁ 장애인 고용률 – 보육진흥원, 보건복지인력개발원, 장애인의무고용률 미준수
보육진흥원은 ‘12년 장애인 고용률이 1.33%에 불과했고, ’13년에도 1.57%으로 의무고용률을 달성하지 못했다. ‘14년은 2.08%였으며, 올해 역시 8월말 기준 2.85%에 불과했다.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13년에는 장애인고용률이 3.4%로 의무고용기준을 준수했다. 그러나, ‘14년과 올해까지는 상시근로자수가 늘었음에도 장애인 고용이 늘지 않아, ’14년 2.1%, 올해 8월 기준 2.3%로, 의무고용 비율을 지키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개발원의 경우 장애인 정책개발과 자립지원의 중추기관인만큼 타 기관보다 높은 수준의 장애인고용률을 달성하고 있으나, ‘13년 13.8%에 달하던 장애인고용률은 올해 8월 8.3%로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는 문제가 발견됐다.


➂ 기관 평가 결과와 성과급 및 임금인상 – 기관장 임금인상률, 직원에 비해 높아 
각 기관의 경영평가 결과 및 성과급을 살펴본 결과,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은 ‘13년 B를 받아 기관장 약 3700만원, 직원 약 1억2천(평균 80만원)의 성과급을 받았으며, ‘14년에는 C를 받아 기관장은 6백만원 줄었지만, 직원은 약 4천만원(평균27만4천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개발원은 ‘13년 A, ’14년 B를 받았지만 오히려 원장의 성과급 금액은 상승했다. 이에 대해 장애인개발원 측은 ‘13년 당시 부족한 예산으로 인하여 성과급마저 제대로 지급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최근 5년 간, 기관장과 직원, 무기계약직의 임금인상률을 비교한 결과, 보육진흥원장과 장애인개발원장은 각각 31.5%, 37.2%나 임금이 인상된 반면, 직원은 각각 13.8%, 22.8% 인상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인개발원의 무기계약직 임금인상률은 6%에 지나지 않아 무기계약직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짐작케 하였다.
 

보건복지인력개발원의 경우, 직원 평균 임금 인상률이 기관장 보다 높은 25.3%였고, 무기계약직의 경우도 24.6%나 돼, 하후상박의 원칙을 나름 이행하고 있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