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한국보건의료연구원, 3년간 정부 출연금 32억 더 타내

부족한 자체 수입을 국비로 충당받아온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자체 예상 수입을 줄이는 방법으로 국비 32억원을 더 타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 비례)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연구원)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를 제출받아 29일 이 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자체 수입으로 운영비를 사용하고, 부족분을 국비에서 지원받고 있다.

 

이 같은 방식을 수지차 보전방식이라 하는데, 이 같은 방식으로 예산을 충당하는 공공기관은 자체수입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빠짐없이 자체 예산 계획에 반영하여 정부 출연금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해당 공공기관의 실제 수입이 더 늘어난 만큼, 출연금을 적게 지급하여 국비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에도 연구원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자체수입 323,800만원을 누락하여, 정부에 그 만큼의 출연금을 받아서 사용했다.

 

연도별로는 201238,800만원, 2013158,700만원, 2014126,400만원 등이다.

 

연구원은 더 받아낸 출연금으로 사옥 이전 보증금 및 이전비용에 65,500만원, 외부 컨설팅에 12,000만원 등의 명목으로 사용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201510출연·출자금 예산편성 및 관리실태감사결과보고서를 통해 문제를 지적하고, 향후에는 자체수입을 누락하여 임의로 집행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 조치했다.

 

최도자 의원은 연구원이 더 받아 사용한 출연금은 국민들의 혈세라며 내년 연구원 예산 지원 시 일부 감액 등 불이익을 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자체수입 누락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12

2013

2014

388

1,587

1,263

3,238

전년 이월금(잔액) 수입)

297

1,498

1,057

2,852

이자수입 등 사업외 수입

91

89

206

386

이자수입

34

37

44

115

교육사업 수입

28

31

32

91

잡수입

29

21

130

180

출처보건복지부

) 전년도 결산 결과 정부출연금을 포함한 세출예산 잔액 및 사업외수입 등의 누적액(결산잉여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 실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