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무지외반증 환자 매년 증가,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생활습관이 더 중요

발은 우리 몸을 지탱하고 균형을 잡아주며 보행의 근간이 되는 가장 중요한 신체 부위 중 하나다. 게다가 발가락 하나에 문제가 발생되면 걸음걸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무릎과 허리 등 다른 관절 부위의 문제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발 변형 질환은 적절한 치료가 꼭 필요하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무지외반증이 있다.


발목, 무릎, 허리 등 2차 질환 유발하는 무지외반증
이름부터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질환인 무지외반증은 말 그대로 엄지발가락(무지)이 바깥쪽으로 휜 상태(외반)를 의미한다. 즉,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쪽으로 휘면서 엄지발가락의 관절 부분이 바깥으로 돌출되는 질환이다. 주된 증상으로는 돌출된 엄지발가락 관절 부위가 신발에 자극을 받아 두꺼워지고 염증이 생겨 극심한 통증이 유발된다. 심한 경우 두 번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과 겹쳐지거나 관절이 탈구되기도 한다.


서울부민병원 관절센터 정훈재 병원장은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변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보행이 야기될 수 있는데, 발목이나 무릎, 허리까지 엄청난 스트레스를 가해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무지외반증 환자는 약 22% 증가할 정도로 매년 발병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무지외반증은 질환에 대한 이해와 예방 활동이 꼭 필요하다.


무지외반증, 신발 착용 등 생활 습관 개선이 더 중요해
무지외반증의 발병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신발 착용이나 생활 습관에 의한 후천적인 요인 등 다양하다. 선천적으로 엄지 발가락이 바깥으로 휘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평발인 경우에도 무지외반증이 더욱 쉽게 발병될 수 있다. 평발은 발 아치가 적절히 유지되지 않는, 보행 시 지면에 닿는 발바닥의 면적이 일반인에 비해 상당히 넓은 축에 속한다. 따라서 평소 발 안쪽에 체중 부하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 압력이 누적되면 자연스럽게 엄지발가락 변형이 가속화 되어 무지외반증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무지외반증은 잘못된 신발 착용 등의 후천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병되는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하이힐과 같이 몸이 앞쪽으로 쏠려 엄지발가락에 과도한 압력을 주는 신발이나 앞 코가 뾰족하고 매우 꽉 끼는 구두를 장기간 착용하는 경우도 대표적인 발병 원인으로 꼽힌다.


서울부민병원 관절센터 정훈재 병원장은 “예전에는 주로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질환으로 인한 통증과 불편함으로 호소했지만, 최근에는 하이힐이나 롱부츠를 즐겨 신는 젊은 여성들과 키 높이 깔창, 앞 코가 뾰족한 구두를 착용하는 20-30대 남성들이 늘어나면서 무지외반증 발병 연령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쪼그려 앉는 자세의 경우 엄지발가락 쪽에 체중의 90% 정도가 실리기 때문에 무지외반증이 발생될 소지가 높다. 특히 야구에서 장시간 쪼그린 자세를 취하는 포수나 발레리나의 경우에도 상당히 많이 발병되고 있다.


발바닥 굳은살로 무지외반증 여부 확인, 수술적 치료는 겨울이 多
무지외반증 초기에는 볼이 넓고 편한 신발을 착용하거나 필요 시 발 모양을 교정해줄 수 있는 특수 깔창 등 보존적 치료법만으로도 더 이상의 발 변형을 막고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만일 육안으로 보았을 때 엄지발가락의 변형이 어느 정도 관찰되거나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긴다면 무지외반증을 의심하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서울부민병원 관절센터 정훈재 병원장은 “무지외반증이 발병되면 엄지발가락의 체중 부하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자연히 두 번째, 세 번째 발가락 쪽으로 체중이 과도하게 부하된다”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 이 부위의 중족골 아래 발바닥 쪽에 굳은살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겼다면 무지외반증의 가능성이 높으며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하지만 휘어지고 구부러진 정도가 심해 일상 생활이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면, 발의 정렬과 모양을 바로 잡아주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여름철에는 샌들이나 슬리퍼 등 맨발로 다녀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회복 기간 등을 고려해 수술적 치료는 오히려 겨울에 더욱 많이 이루어진다. 또 수술 기법도 재발률을 현격히 낮출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과거에는 튀어나온 뼈만 깎는 수술을 시행했지만 최근에는 돌출부의 뼈를 자르는 것 이외에 뼈의 정렬을 잡아주는 절골술, 인대수술 등의 작업을 같이 시행하며, 주변의 인대나 근육, 관절주머니 등을 함께 교정해 발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당일 보행이 가능한 무지외반증 수술은 대체적으로 수술 2~3일 후 퇴원이 가능하며, 신발 보조기 착용과 함께 서서히 체중 부하를 늘리며 관절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재활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특히 발은 타 관절에 발은 뼈가 작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무지외반증은 여러 뼈와 인대의 밸런스가 무너져서 생긴 3차원적인 변형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반드시 족부를 전문으로 다루는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우유, 발효유 등 유가공품 중... 거짓보고·원재료 일부 미표시 등으로 적발 된 6곳은 어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여름철 유가공품 안전관리를 위해 우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등을 제조하는 유가공업체와 우유류 판매업체(우유 대리점 등의 형태로 직접 마실 수 있는 유가공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영업) 등 총 846곳을 대상으로 7월 7일부터 25일까지 17개 지자체와 집중 점검한 결과,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을 위반한 6곳을 적발하여 관할 지자체에 행정처분 등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에는 영유아가 섭취하는 분유 생산업체와 부적합 이력이 있는 업체도 포함했으며, 점검과 함께 유통 중인 유가공품을 수거하여 살모넬라 오염 여부와 잔류물질 및 영양성분 함량 검사를 실시했다. 위반 사항은 품목제조 거짓보고와 원재료 일부 미표시 1곳, 원료 출납서류 일부 허위 작성 등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2곳, 자가품질검사 미실시 1곳, 건강진단 미실시 1곳, 소재지 변경 미신고 1곳이다. 위반 업체에 대해서는 관할 지자체가 행정처분 후 6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해 개선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유, 아이스크림 등 유가공품 642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대장균군이 초과 검출된 8개 제품(농후발효유 5건, 발효유 1건, 가공치즈 1건, 가공버터 1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 자녀 위한 ‘피닉스 슈퍼캠프’ 실시 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는 임직원 자녀 대상 피닉스 슈퍼캠프를 실시했다고 18일 밝혔다. 피닉스 슈퍼캠프는 동아제약, 동아에스티, 동아쏘시오홀딩스 등 동아쏘시오그룹 임직원을 위한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생애설계지원프로그램은 ▲건강 ▲가족 ▲여가 ▲재무 ▲은퇴 등 생애 기초 5대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그룹 구성원 각자의 삶의 단계에 맞춘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가족 친화 대표 프로그램인 피닉스 슈퍼캠프는 임직원 자녀의 자신감과 학습 동기를 북돋우고, 부모와 자녀의 유대감 형성을 위해 마련했다. 피닉스 슈퍼캠프는 동아쏘시오그룹 상주 인재개발원에서 진행했다. 임직원 초등학생 자녀는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2박 3일간, 중학생 자녀는 13일부터 16일까지 3박 4일간 교육을 받았다. 동아쏘시오그룹은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이끄는 피닉스 슈퍼캠프’를 슬로건으로 ▲인성 ▲학습법 ▲삶의 기술 세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인성 영역에서는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지는 자세, 배움을 위한 태도 형성을 목표로 하며, 학습법 영역에서는 재미를 느끼며 스스로 공부하는 능동적인 학습법을 지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헬리코박터균 제거했더니,"골다공증 예방"...당뇨·고지혈증 등 전신 질환에도 영향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연구팀(김예진 전문의, 최용훈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 교수)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받을 시 골다공증 발병률이 크게 감소하며, 특히 50세 이상 여성에서 예방 효과가 뚜렷하다고 밝혔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위에 서식하며 만성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을 유발하는 유해균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구강을 통해 주로 전파되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이 보균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유병률은 2017년 기준 16세 이상에서 44%에 이른다. 과거 헬리코박터균은 소화기계에 국한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됐으나, 최근에는 △전신 염증 △산화 스트레스 △호르몬 조절 교란 등을 유발해 전신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따라 제균 치료에 대한 인식도 크게 바뀌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김나영 교수 연구팀이 헬리코박터 감염과 당뇨병·고지혈증 등 다양한 대사 질환의 연관성을 규명했으며, 제균 치료가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골다공증과 헬리코박터균 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골다공증은 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