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환자 발생이 심상치 않다.
4-11월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SFTS는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데 올들어 벌써 32명의 환자가 발생 36명(‘13)→55명(‘14)→79명(‘15)→165명(‘16)→32명(‘17.6.27 기준, 잠정통계)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개 나타났다.
올해 32명의 SFTS 환자가 보고되어 전년 동기간에 비해 50% 이상 증가하였으며 사망자도 전년 동기간에 비해 160% 이상 증가하였다.
-연령별 환자 발생수
연도 | 연령별 환자 발생수 | ||||||||
계 | 10세미만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세이상 | |
계 | 335 | 0 | 2 | 12 | 6 | 20 | 67 | 83 | 145 |
2013 | 36 | 0 | 0 | 1 | 0 | 1 | 6 | 11 | 17 |
2014 | 55 | 0 | 0 | 4 | 1 | 4 | 12 | 14 | 20 |
2015 | 79 | 0 | 2 | 4 | 3 | 5 | 11 | 17 | 37 |
2016 | 165 | 0 | 0 | 3 | 2 | 10 | 38 | 41 | 71 |
SFTS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므로, 참진드기가 활동하는 4-11월에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고, 특히 고령자는 감염되면 사망률이 높아 야외활동 시 주의가 필요하다.‘13-’16년 역학조사 분석 결과, 사망자의 평균 연령은 72.9세로 전체 환자 평균 연령 62.9세보다 10세 정도 높다.
농작업 시에는 작업복, 장갑, 장화를 올바르게 착용해야 하며, 등산, 벌초 등 산과 관련된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 외출 후 목욕 등 진드기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개요
구 분 | 내 용 |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 ▫법정감염병(제4군)-2013년 지정 ( ICD-10 A98.8 ) ▫참진드기 활동이 활발한 4-11월 사이에 환자 발생 ▫국내에서는 2013년 5월 최초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16년까지 총 335명의 환자 발생 (’16년은 잠정통계) |
병원체 | ▫SFTS 원인바이러스(SFTS virus, Bunyaviridae family) |
감염경로 | ▫주로 SFTSV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서 감염, 환자 혈액 및 체액에 대한 직접적 노출에 따른 전파 가능성 존재 ▫주요 매개체 :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
잠 복 기 | ▫6-14일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38℃이상의 고열과 위장관계 증상(오심‧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이 주증상임 ▫출혈성 소인, 다발성장기부전 및 사망에 이르기도 함 - 혈소판‧백혈구 감소에 따른 출혈성 소인(혈뇨, 혈변 등) 발생 - 피로감, 근육통, 말어눌‧경련‧의식저하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 동반 - 다발성장기부전 동반 가능 ▫주요 검사소견 -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 - 혈청효소 이상 : AST, ALT, LDH, CK 상승 |
진 단 | ▫환자 검체(혈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유전자 검출 ▫혈청학적 진단 : 급성기에 비해 회복기의 IgG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 |
치 료 |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 |
환자 관리 | ▫환자격리 : 필요없음, 혈액 및 체액 노출 주의 * 직접적 감염환자 혈액 노출에 따른 전파 의심 사례 보고, 의료진은 표준주의지침 및 비말·접촉주의지침 준수 ▫접촉자격리 : 필요없음 |
예 방 |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야외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지 않기, 눕지 않기 - 돗자리 사용, 사용 후 세척하고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일상복과 작업복을 구분하여 입기 ▫야외활동 후 - 옷을 털고 세탁하기, 샤워‧목욕하기 -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기 |
한편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최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농업인 등 고위험군의 진드기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