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토)

  • 구름조금동두천 7.0℃
  • 구름조금강릉 5.6℃
  • 구름조금서울 6.5℃
  • 구름많음대전 6.5℃
  • 구름많음대구 11.4℃
  • 구름많음울산 11.5℃
  • 광주 4.1℃
  • 흐림부산 10.6℃
  • 흐림고창 5.1℃
  • 흐림제주 10.1℃
  • 맑음강화 5.8℃
  • 흐림보은 5.2℃
  • 흐림금산 4.7℃
  • 흐림강진군 6.0℃
  • 구름많음경주시 12.1℃
  • 흐림거제 10.0℃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앙골라에 대한민국 선진의료 진출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앙골라 의료 교류 협약 체결...4월 본격적인 실무 협의를 통해 앙골라 진출 시작

심장전문병원인 세종병원과 대한민국 유일의 의료복합체 메디플렉스 세종병원을 운영중인 혜원의료재단(이사장 박진식)이 아프리카 앙골라 대사관과 26일(월) 협약을 체결, 아프리카 지역 의료 교류의 출발을 알렸다.


이번 협약식에는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 박진식 이사장, 박경서 국제진료센터장, H. E. Albino Malungo(알비누 말룽구) 주한 앙골라 대사, Jairo Edgar Neto Gouveia(자이로 에드가르 네토 고베이아) 주한 앙골라 대사, REI홀딩그룹 홍순봉 회장 외 10여 명이 참석했다.


아프리카 앙골라는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 중 하나로 선진 의료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번 앙골라 대사관과의 협약은 대한민국과 앙골라 양국의 의료 교류 활성화를 위한 시작으로 앙골라 대사관, UAE자본계투자회사인 REI홀딩그룹,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 3자 간의 협약으로 진행됐다.


협약을 통해 향후 앙골라 심장병 어린이를 위한 의료 자선 봉사활동을 개시하고, 지속적인 의료 교류를 통해 양국 간의 우의를 다질 예정이다. 4월에는 앙골라 보건부를 비롯한 앙골라 국가 정부와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 REI홀딩그룹을 필두로 대한민국과 앙골라 간 선진 의료교류를 위한 본격적인 실무 협의를 착수할 계획이다.


알비누 말룽구 주한 앙골라 대사는 “몇 년 전, 한국에서 수술을 받으면서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직접 경험한 바 있다”며, “앙골라 지역 환자들이 대한민국, 특히 세종병원의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 박진식 이사장은 “세종병원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상호 교류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국내 의료기관을 대표하여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로 삼고, 앞으로도 많은 부분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은 1989년부터 해외 의료나눔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으며, 지난해 12월 11일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지역 투자청과 협약을 체결, 중동 지역 병원 진출을 위한 서막을 연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외상성 뇌손상 경험한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껑충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는 같은 나이의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약 1.9배 높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외상성 뇌손상 후 1년이 지나도 뇌졸중 위험이 크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청장년층은 혈당·혈압·콜레스테롤 등 뇌졸중 위험 요인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국립교통재활병원 연구소) 이자호 교수·최윤정 연구교수팀이 전국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후향적으로 비교한 연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와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이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부터 심한 경우 뇌부종, 지속적 혼수,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을 포함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청장년층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뇌졸중은 고령층의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최근 청장년층에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50대 미만의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18-49세 인구 104만명의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