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글로벌 성장전략 모색

K-BD Group 2019년 제1회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전략 포럼 성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동연)은 국내 산·학·연·벤처·스타트업 사업개발 전문가 단체인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산하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연구회(연구회장 이재현)(이하 K-BD Group) 주관으로 개최한 “2019년 제1회 제약·바이오 사업개발전략 포럼”을 4월 18일(목)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포럼은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기술라이센싱 전략과 사례”를 주제로 개최되었으며, 산·학·연·벤처·스타트업 등 관계자 130여명이 참석해 큰 호응을 받았다.


이재현 K-BD Group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한 이날 포럼은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술이전 동향과 전략 ▲기술이전 및 협력을 통한 신약개발 사례와 시사점 등 두 가지 세션으로 진행되었다.


세션에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전문가의 ▲글로벌 기술라이센싱 동향과 전망 ▲한국MSD의 인라이센싱/협력 전략 ▲글로벌 진출을 위한 국내 제약사의 전략적 제휴 방안 ▲에이비엘바이오의 항체 신약 개발 전략 및 기술이전 성공 사례 ▲제약기업의 기술이전 전략과 성공 사례 ▲글로벌 기술도입을 통한 신약개발 전략과 사례 등 6개 주제발표가 진행되었다.


아울러, 이번 제1회 사업개발 전략 포럼과 병행하여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국내 최대 바이오헬스산업 전시회인 “제9회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KOREA PHARM & BIO 2019)”을 후원 개최하고, K-BD Group 중점 사업인 국내외 산·학·연·벤처·스타트업·투자 등 공조를 통한 혁신성과 사업화 가속화의 일환으로 “벤처·스타트업 공동 홍보관” 운영을 통해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 및 투자기관 대상으로 홍보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벤처·스타트업 공동 홍보관”은 지난 4월 16일(화)부터 18일(목)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5홀에서 누리사이언스, 뉴로벤티, 오투엔비, 코넥스트, 테크블랙홀, 펩토이드, 하이펩코리아 등 바이오헬스분야 유망 벤처·스타트업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공동연구/기술이전/투자유치 촉진 및 투자기관 연계 모색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친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산모 노령화, 난임 치료 증가로 늘어나는 ‘이른둥이’ .."신체발달 미숙 등 합병증 발생 위험성 높아" 2.5kg미만 또는 재태기간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신생아를 이른둥이라고 한다. 올해 3월 출생아수가 증가했다는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지만, 여전히 출생율은 낮은 상황. 한 명의 아이도 소중하지만 이른둥이의 비중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른둥이 증가추세산모의 노령화, 난임 치료 증가 WHO보고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약 1,500만 명의 아기가 이른둥이로 태어나며 그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른둥이 출산의 원인은 다태아 임신, 당뇨병 및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 감염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국내의 경우 결혼 연령 증가에 따른 산모의 노령화 및 임신 합병증의 증가, 그리고 난임의 증가와 이에 따른 난임 시술에 의한 다태아 증가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른둥이란 임신기간 37주 미만에 태어나거나 출생 체중이 2.5kg미만인 신생아를 말한다. 이른둥이는 보통 면역체계가 약하고, 신체장기가 미숙한 상태로 태어나기 때문에 호흡기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낮은 재태주수·저체중일수록 사망률 높아신체발달 미숙해 다양한 합병증 발생할 수 있어 의학의 발달로 이른둥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