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는 상반기 23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1 국내 R&D 투자 현황’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1년 회원사들이 국내 R&D에 투자한 금액은 2,4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5.3%로, 역시 지난 2010년 0.5%정도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다국적 제약사 본사의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 역시 2010년 15.6%에서 2011년 14.6%로 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어 국내 R&D 투자 비율에 감소율은 타 국가의 감소율보다 낮아, 여전히 임상 R&D의 대한 국내 많은 투자들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임상이 차지하는 비중과 연구인력의 숫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은 국내 임상 수준의 향상과 그 가능성을 믿고 국내 R&D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려는 회원사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된다.
국내 R&D 투자비의 세부 항목별 비중을 살펴보면, 임상시험 관련 전체 직접비의 비중이 49.4%로 지난 해 대비 12.8%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상~3상까지의 임상시험의 경우, 투자액이 7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0.3% 소폭 증가하였으며, 전체 임상시험에서 신규연구과제개발이 차지하는 건수 역시 지난 해에 비해 45건이 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임상시험 전체에서 초기 임상시험인 1상과 2상 임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30.8%로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초기 임상은 기술집약적이며 다년간의 연구경험 축적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준의 임상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제반 시스템이 중요한 단계이므로 이는 국내 임상 수준의 향상을 의미한다.
한편, 다국적 제약사의 본사 R&D 국내 연구인력은 2011년 현재 893명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하였으며 이 중 92.2%는 전문연구원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체 직원의 12.5%를 차지하는 정도이다. 2011년 다국적 제약사가 실시한 임상시험 활동에 참여한 환자 수 역시 30,003명으로 전년 대비 4.6%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료비 절감으로는 “OECD Health Data 2011” 및 “2011년 국가 암등록•통계사업 안내 기준”으로 최대 964억원 정도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에 대해 KRPIA의 이규황 부회장은 “투자비가 전년도에 비해 소폭 하락한 부분이 있지만, 전 세계 시장의 평균으로 보았을 때 다국적 제약사의 한국 내 투자 활동에 대한 의지는 여전히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다만 여전히 국내 약가 정책에 있어 신약 가격에 적정한 가치를 부여하는 방안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 최근 몇 년 간 다국적 제약사의 R&D 투자가 감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 중국 등 신흥 시장의 임상 경쟁력이 더욱 강화된다면 국내 R&D 투자 규모가 더욱 감소될 가능성이 높아 신약의 가치 보상을 위한 근본적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