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결핵환자 완만한 감소 추세 여성 보다 남성 유병율 높아

의보공단, 장기간 입원 치료 70대 이상 가장 많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이용하여 입원 및 외래로 3회 이상 방문한 건강보험 결핵환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7년 345,226명, 2008년 342,891명, 2009년 330,383명으로 점점 감소되는 형태가 나타났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결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를 보면, 전체가 680명이었고, 성별로는 여성이 588명, 남성이 772명으로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결핵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가 현저히 많았다.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인구 10만명당 결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현황을 살펴보면, 2009년 기준으로 20세 미만이 190명, 20~29세가 717명, 30~39세 648명, 40~49세 608명, 50~59세가 761명, 60~74세가 1,320명, 75세 이상에서 2,064명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결핵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보험료 분위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 수준별로 인구 10만명당 결핵으로 진료받은 환자 현황을 보면, 2009년 기준으로 소득 1분위(저소득층)에서 649명, 2분위에서 644명, 3분위에서 657명, 4분위에서 644명, 5분위(고소득층)에서 666명으로 나타나, 소득 수준별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가입형태별로 인구 10만명당 결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의 현황을 보면, 2009년 기준으로 직장 가입자(피부양자 포함)(620명)에 비해 지역가입자(789명)가 결핵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가 많았다.

최초 결핵 발생시점이 2008년인 환자를 기준으로 치료기간(9개월 미만, 9개월 이상)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치료기간이 9개월 미만은 인구 10만명당 58.2명, 9개월 이상은 29.7명으로 나타났다.

치료기간이 장기화(9개월 이상)되는 결핵환자는 인구 10만명당 여성이 26.5명, 남성이 32.9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치료기간이 장기화(9개월 이상)되는 결핵환자는 인구 10만명당 20세 미만이 6명, 20~29세가 31.1명, 30~39세가 28.7명, 40~49세가 26.7명, 50~59세가 37.4명, 60~74세가 60.5명, 75세 이상이 90.9명으로 연령이 증가될수록 치료기간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0대에 비해 60~74세가 약 2배, 75세 이상에서 약 3배 높음)

소득수준별로 치료기간이 장기화(9개월 이상)되는 결핵환자는 인구 10만명당 소득 1분위(저소득층)에서 31.5명, 2분위에서 29.4명, 3분위에서 30.7명, 4분위에서 29.8명, 5분위(고소득층)에서 32.3명으로 소득수준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형태별로 치료기간이 장기화(9개월 이상)되는 결핵환자는 인구 10만명당으로 직장가입자(피부양자 포함)(28.0명)에 비해 지역가입자(32.6명)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그린제약,의약품 제조업자 등의 준수사항 위반 으로...다수 품목 행정 조치 받아 그린제약(충북 음성 소재)이 의약품 제조업자 등 준수사항 위반으로 다수의 품목이 1개월 제조업무정지 및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과징금 처분.14,100,000원이 부과된 제품은 '그린관장약(농글2025'으로 그린제약의 효자 품목으로 알려지고 있다.제조업무정지 1개월(2025. 4. 28. ~ 2025. 5. 27.) 대상품목:은 그린나잘스프 레이모이쳐액(옥시메타졸린염산염), 그린오피에이액(오토프탈알데하이드), 그린클로르헥 시딘크림(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포비돈브러쉬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세 정액(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스틱스왑(포비돈요오드) 그린포비돈요오드액, 그린헥시디 놀액, 그린헥시디놀액2%, 그린헥시가글액0.12%(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 딘브러쉬액(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그린헥시딘세정액4%(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액), 그린헥시딘스틱스왑액, 그린헥시딘액 5%(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아나프리스프 레이, 아크원팁스왑액(살리실산) 등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그린제약은 "약사법 제38조 제1항 및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제48조제9 호가목[별표1]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등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홈페이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