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조리로봇 4종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 7월 10일, 푸드코트에서 돈까스, 라면 등을 자동으로 조리하는 로봇 4종에 대해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지난해 11월, 식품접객업소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자동화 식품용 기기의 위생안전관리 강화와 조리로봇 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 기준에 국제 통용 기준(NSF)의 주요 요소를 반영한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 기준’을 마련하고, 올해 2월에는 조리로봇용 그리퍼 바 등 3개 제품을 인증한 바 있다.

이번에 인증된 제품은 ‘쉐프로봇테크’에서 개발한 조리용 로봇으로, 돈까스, 라면, 우동, 한식 등 총 23개 메뉴를 키오스크 주문부터 조리, 배식까지 전 과정을 평균 3분 이내에 자동으로 완료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인증받은 로봇은 양식 조리로봇, 라면 조리로봇, 우동 조리로봇, 한식 조리로봇이다.





(4) 양식조리로봇

(5) 라면조리로봇

(6) 우동조리로봇

(7) 한식조리로봇

인증 제품을 사용하는 음식점 등은 해당 제품이 인증받았다는 내용을 표시하거나 광고할 수 있어, 소비자 입장에서 제도에 대한 이해도와 음식점 선택권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 현황 : 7(‘25.7월 기준)>

(1호 및 2) 전기 초음파 튀김기 1/2 (인증업체 : 태인이엔디)

(3) 그리퍼 바: 로봇 팔 연결 부속품(조리도구 집게용도) (인증업체 : 한국로보틱스)

(47) 양식, 라면, 우동, 한식 자동 조리 로봇 (인증업체 : 쉐프로봇테크)


2025년 7월 기준, 식품용 기기 안전관리 인증 현황은 총 7종이다. 1호 및 2호는 전기 초음파 튀김기 1구, 2구 제품(㈜태인이엔디), 3호는 조리도구 집게 역할을 하는 로봇 팔 연결 부속품인 그리퍼 바(한국로보틱스), 4호부터 7호까지는 양식, 라면, 우동, 한식 자동 조리로봇(쉐프로봇테크)이다.

식약처는 이번 인증과 관련해 퀴즈 이벤트도 7월 15일부터 8월 17일까지 진행한다. QR코드를 스캔해 참여할 수 있으며, 정답자 중 200명을 추첨해 편의점 모바일 쿠폰(5천원)을 증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블로그 ‘식약놀이터’에서 확인 가능하다.

인증 제품은 심사기관의 미국 본사(NSF, UL) 홈페이지에 인증 목록으로 등재되며, 국내 인증 규격과 미국 인증 규격이 동일한 항목에 대해서는 상호 동등성도 확보돼, 국제적 공신력은 물론 국내 조리로봇 산업의 성장과 수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돼지나 소의 심낭 및 판막, 인체 이식 상용화 길 열리나...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심장 수술에 사용되는 이종조직판막(동물의 심장판막 조직)에서 면역 거부반응의 원인이 되는 성분(이종항원)을 제거하고, 사람 세포를 공배양하여 체외에서 살아 있는 조직처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재세포화(Recellularization)’ 가능성을 입증한 것으로, 심장판막 질환으로 반복적인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길을 열었다. 현재 심장 수술에서는 돼지나 소의 심낭 및 판막 조직이 이식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직에는 사람에게는 없는 이종항원(α-Gal, Neu5Gc 등)이 남아 있어 인체 내에서 면역 거부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염증, 석회화, 조직 손상 등이 발생하며 결국 이식 실패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특히 소아 환자의 경우 성장 과정에서 이식된 판막이 함께 발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교체 수술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항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판막을 환자의 몸속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게 할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소영 연구교수, 소아청소년과 김기범 교수, 소아흉부외과 임홍국 교수 연구팀은 동물 심장판막에서 α-Gal과 Neu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