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와 레저.신간

정병수작가 “환자 쾌유·힐링 기원” 사진작품 화순전남대병원에 기증

내몽골 초원풍경 등 30여점 선봬

  


 올해 고희를 맞아 ‘예술인 가족전’을 열고 있는 정병수 사진작가가 최근 암환자들의 쾌유와 힐링을 기원하며 작품 2점을 화순전남대학교병원(원장 신명근)에 기증했다.


  기부작품은 전북 임실 국사봉 인근의 구름바다와 내몽골 패상지역의 초원 풍경을 담은 것들이다.

  정병수 작가는 지난 5일부터 오는 30일까지 화순전남대병원 2층 아트 로비에서 여동생인 정해은 동양화가, 조카인 김수진 서양화가와 함께 이색적인 가족 전시회를 열고 있다.


  ‘풍경·자연…아름다운 세상 속으로’라는 주제로 사진과 함께 동양화·서양화 등 30여점의 작품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전 화순읍장 등 35년간 공직자로 근무했던 정병수 작가는 한국사진작가협회 초대 화순군지부장을 맡는 등 활발한 작품활동을 병행했다. 재임중 ‘세량지’ ‘환산정’ ‘사랑나무’ ‘운주사’ 등 화순의 숨겨진 매력들을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기도 했다. 지난 2012년 미국 CNN은 ‘세량지’를 ‘한국내 꼭 가봐야 할 50곳’ 중 한 곳으로 추천한 바 있다.
     
  동생인 정해은 동양화가는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심사위원 등을 역임했다. 정해은 화가의 딸인 김수진 서양화가는 지난 2018년 광주 유스퀘어 금호갤러리 청년작가 전시공모에 선정되는 등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병수 작가는 “화순전남대병원 착공 당시 화순군청 계장으로 근무했다. 허허벌판에서 글로벌 암병원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지켜봐왔다. 뿌듯하고 감개무량하다”며 “30여년간의 작품활동을 결산하는 의미를 담아, 이곳에서 전시회를 열고 작품도 기부하려 한다. 환자들의 쾌유와 정서적인 치유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미소지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신신제약, 비염·코감기 증상 완화 4계절 상비약 ‘알레노즈캡슐’ 출시 신신제약은 알레르기성 비염, 코감기, 부비동염(축농증) 등으로 인한 다양한 비염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제 ‘알레노즈캡슐’을 출시했다. 최근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커지고 공기가 건조해지면서 비염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특히 환절기에는 알레르기 원인 물질이 급격히 증가하고, 실내외 온도 차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받기 쉬워 증상이 악화되기 쉽다. 이로 인해 구분이 어려운 알레르기성 비염과 코감기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하나의 제품으로 폭넓은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수요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해 신신제약은 알레르기성 비염과 코감기 증상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알레노즈캡슐’을 선보였다. 질환의 구분이 어렵더라도 손쉽게 복용할 수 있어, 환절기뿐 아니라 연중 활용 가능한 4계절 상비약으로 안성맞춤이다. ‘알레노즈캡슐’은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 메퀴타진을 비롯해 ▲콧물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벨라돈나총알칼로이드,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의 글리시리진산, ▲코막힘 개선을 돕는 슈도에페드린염산염, ▲진정 작용으로 인한 졸음을 완화하는 무수카페인 등 5가지 복합 성분으로 구성됐다.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