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0.8℃
  • 구름조금강릉 6.7℃
  • 연무서울 4.3℃
  • 박무대전 4.3℃
  • 박무대구 3.9℃
  • 맑음울산 4.0℃
  • 맑음광주 6.9℃
  • 구름많음부산 6.3℃
  • 구름많음고창 5.5℃
  • 구름많음제주 9.6℃
  • 맑음강화 2.7℃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1.8℃
  • 맑음강진군 5.2℃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4.5℃
기상청 제공

난치성 뇌전증, 로봇 수술시대 열려

뇌전증 고주파절제술 국내 처음 시행 ..SEEG 심부전극의 급여 시급

보건복지부 지정 뇌전증지원센터(센터장 홍승봉교수, 삼성서울병원)는 세계 최고의 ROSA 뇌전증 수술 로봇이 올해 4월 14일에 정부 지원으로 국내 처음으로 도입되어서 5월6일에 로봇 수술을 이용하여 국내 최초로 고주파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ROSA 뇌전증 수술 로봇은 오차 범위가 0.3mm로 다른 종류의 로봇들(1-2mm)에 비하여 정밀도가 세계최고이고, 또한 수술시간을 1/3로 단축시킨다. 뇌에는 수천 개의 뇌혈관이 있기 때문에 뇌출혈을 피하면서 심부전극 10개 이상을 뇌 안의 목표 지점들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정확도와 수술시간 단축이 생명이다. 뇌전증 수술을 잘하기 위해서는 한명의 뇌전증 환자에게 심부전극을 10-20개 삽입하여야 한다.


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SEEG 심부전극은 아직도 치료재료 등재와 의료보험의 적용이 되지 않아서 환자들이 로봇수술을 받는데 매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명이 위험한 중증 뇌전증 환자들을 위하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빠른 급여화가 절실하다.


4월 26일에 로봇 수술을 받은 환자는 왼쪽 뇌에 넓게 대뇌피질 기형이 있는 환자로 14개의 심부전극을 삽입하였다. 기존 방법으로는 10시간 가까이 소요되어 하루에 모두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ROSA 수술로봇을 이용하여 2시간 내에 모두 삽입할 수 있었다.


뇌전증 고주파절제술은 ROSA 로봇 수술로 찾은 뇌전증 발생부위를 고주파(radiofrequency)를 이용하여 열응고를 시켜서 병변을 제거하는 최신수술법으로 머리에 1mm 구멍만 뚫고 시행할 수 있다.


ROSA 뇌전증 수술 로봇은 미국과 유럽에 약 100대, 중국 등 아시아에 20대가 운영되고 있으나 한국에는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또한 뇌전증지원센터는 한국의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에게 처음으로 소개되는 로봇 수술의 성공률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뇌전증 로봇 수술의 세계최고 전문가인 프랑스의 Kahane교수, 이탈리아의 Stefano교수와 매달 원격 화상회의를 하고 있다.


뇌전증 로봇 수술을 받기 원하는 환자들은 뇌전증도움전화 1670-5775로 연락하면 된다. “뇌전증도움전화”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뇌전증 환자에 관한 의료 및 사회복지 전반에 대하여 상담하고 지원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대한의사협회, 산불재난현장에서 진료 봉사 산불 피해지역 주민들의 건강상태를 살피기 위해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지역의사회들, 그리고 자원봉사에 나선 의료진들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의협은 경북지역 등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불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재난현장의 고통을 분담하고, 피해지역 주민들과 공무원들의 질병치료 등 건강문제를 살피기 위해 ‘긴급재난의료지원단’을 구성, 운영중에 있다. 앞서 의협 산하 경상북도의사회, 안동시의사회 등 지역 의료계에서 산불피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의료봉사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중앙회인 대한의사협회에서 긴급 지원단 파견으로 든든하게 힘을 보탰다. 지원단은 의사, 간호조무사, 행정직 등 자원봉사자들이 동참해 매일 순번제로 팀을 이뤄 운영중이다. 경북 안동의 ‘안동체육관’ 을 거점 진료소로 삼고 재난지역에 대한 의료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진료버스에 검사 및 진료와 처방에 필요한 의료·구호 물품을 구비하고 있고, 현장에서 각종 의약품 및 보급품 등을 원활히 조달하여 진료에 차질 없도록 하고 있다. 특히, 체육관 내 진료소 의료지원 외에도 차량으로 환자들을 직접 찾아가는 방문진료 등 다양한 유형으로 재난지역에 양질의 의료지원을 펼치고 있다. 의협 긴급재난의료지원단장을 맡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