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말상 ‘긴 얼굴’ 콤플렉스 극복 팁은?

짧은 얼굴을 동안으로 인식하는 것은 ‘베이비 스키마’ 때문

광고계에는 ‘광고의 3B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아기(Baby), 동물(Beast), 미녀(Beauty)가 등장하면 주목도가 높아진다는 현상으로, 광고 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유튜브 영상 등에 적용했을 때도 대중의 인기를 얻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사람들은 귀여운 생김새에 마음을 여는데, 어린아이와 동물을 좋아하는 것도 이와 비슷한 맥락이다. 1943년 동물행동학자 콘라드 로렌츠는 신체 길이에 비해 크고 둥근 머리, 큰 눈, 작은 코와 입, 통통한 볼과 몸통, 짧은 팔다리 등 아기의 특징적인 생김새를 ‘베이비 스키마(Baby schema)’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간은 후세에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 이러한 아기의 특징을 보면 보호본능이 자극돼 보살피도록 진화됐고, 아기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면 귀여움을 느끼게 된다는 이론이다.


베이비 스키마 중 하나인 둥글고 길이가 짧은 얼굴형은 성인이 되고 난 후에도 귀엽고 사랑스럽다고 느끼게 만드는 요소다. 이는 ‘동안’이라고 불리며 선호의 대상이 되곤 한다. 반면 얼굴이 긴 사람은 ‘말상’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면서 성인이 되기까지 콤플렉스를 느끼는 경우도 있다. 특히 가로보다 세로가 많이 긴 얼굴형의 경우 강하고 나이 들어 보인다는 인상을 주기 쉽다. 성장해서 이목구비가 완성된 후에도 콤플렉스인 경우가 많다.


헤어스타일, 패션, 메이크업으로 긴 얼굴형을 일정 부분 보완할 수 있다. 긴 얼굴은 세로로 길어 보이는 느낌이 인상으로 남기 때문에 길이감을 줄여주는 방식이다. 헤어스타일의 경우 얼굴의 길이감이 연장돼 보이는 긴 생머리보다는 시선이 중간에서 끊기는 단발머리가 도움 된다. 남녀에 상관없이 풍성한 펌 헤어는 볼륨감을 더해주면서 얼굴형이 둥근 듯한 인상을 만들어준다. 이마가 넓어서 얼굴이 길어 보이는 경우라면 앞머리를 내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옷은 세로 줄무늬 상의, 긴 원피스 등 길이감을 느낄 수 있는 의상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상의의 네크라인 역시 깊게 파인 브이넥보다는 둥근 라운드넥, 옆으로 긴 보트넥 등이 길이감을 줄여준다. 메이크업으로는 강조점을 달리해줄 수 있는데, 블러셔를 사용하되 광대뼈 근처에서 수평으로 발라주면 방향감을 전환시켜 얼굴이 짧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


이마와 머리카락의 경계선인 헤어라인이 평균보다 높이 올라가 이마가 넓어 보이면서 얼굴까지 길어 보이는 경우라면 모발이식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주로 탈모 유전자가 없는 머리 뒷부분에서 모낭을 채취해 탈모 부위에 옮겨 심는 방식이다.


아래턱이 발달해 얼굴이 길어 보이는 경우라면 앞턱 수술로 개선 가능하다. 절골을 통해 뼈의 길이를 줄이는 방식이다. 위턱이 과도하게 성장해 인중이 길고 부정교합까지 있다면 양악수술로 개선할 수 있다. 윗니와 아랫니가 잘 맞물리도록 아래턱 혹은 위턱과 아래턱을 함께 절골해 재배치하는 방법이다.


성형외과전문의인  오창현 대표원장은 “얼굴이 길어 보이는 원인은 선천적인 생김새부터 후천적인 변형, 부위별 특성까지 다양하다”며 “왜 얼굴이 길어 보이는지 면밀히 파악해 그에 맞는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방사선 피폭사고 대응 모의훈련 실시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은 5일 가상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선 피폭사고 재난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방사선 관련 시설에서의 피폭사고 발생을 가정해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대응 절차를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방사선 안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현장훈련의 단점인 공간 제약, 높은 비용, 인력 소모, 일회성 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가상 병원 환경인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활용했다. 플랫폼은 실제 병원 구조와 부서 위치, 환자 흐름 등을 삼차원(3D) 기반으로 디지털 공간에 구현하고, 방사선 피폭사고 발생 시 환자 이동, 진료, 보고 등의 절차를 실시간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부서의 동시 접속 및 협업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의훈련이 가능하다. 훈련은 ▲방사성동위원소 노출(핵의학과) ▲방사선발생장치 이상(진단검사의학과 혈액조사기실) ▲방사선 방어 기구 미착용(응급CT 검사실) 등 세 가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진행했다. 참여 부서는 상황 전파, 초기 조치, 원내외 보고, 오염 확산 방지, 재난환자 분류‧진료‧이송 등 정해진 절차에 따랐다. 훈련은 결과 공유 및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