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일일하우, 4월 ‘지구의 달’ 맞아 비건 체험하는 ‘브랜드데이’ 이벤트 실시

삼일제약의 웰니스 푸드 브랜드 일일하우가 ‘지구의 달’인 4월을 맞아 비건 식품을 체험할 수 있는 ‘일일하우 브랜드데이’ 이벤트를 오는 15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환경 보호에 관심이 높아지는 4월을 맞아 고객들이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됐다.


이벤트 기간 동안 일일하우 공식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일일하우 프로틴밀(24개입)’을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일일하우 비건젤리 한 팩(14개입)’을 랜덤 증정한다. 일일하우 비건젤리는 설탕, 색소, 합성 향료, 보존료 무첨가 제품으로 ‘비거니즘’ 초심자도 간편하게 비건 라이프를 시작할 수 있다.


일일하우는 삼일제약이 론칭한 웰니스 푸드 브랜드로, 비건 인증을 획득한 100% 식물성 건강식품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다. 대표 제품으로는 마시는 비건 프로틴 음료인 ‘일일하우 프로틴밀’과 비건 귀리 음료인 ‘일일하우 오트리치’ 2종이 있다.


일일하우 프로틴밀은 단백질은 높이고 지방은 낮춘 ‘고단저지’의 식사 대용 단백질 음료다. GMO 프리 대두단백·완두단백·쌀단백을 적정비율로 혼합해 식물성 단백질만으로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갖춘 100% 완전 단백질 식품이다. 18가지의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하며 1회 제공량(250ml) 당 22g의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하루 한 팩만 섭취해도 식약처 일일 권장량의 40%를 충족시킨다.


일일하우 오트리치는 100% 식물성 귀리 음료로 귀리가 12% 함유돼 있으며 유당과 설탕,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이 없는 안전한 식품이다. 설탕 없이 효소분해 과정만으로 귀리 본연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단맛이 나기 때문에 체중관리에도 좋다.


일일하우는 대표 제품 외 비건젤리 3종인 ‘비건 파이토 콜라겐 부스터 석류’, ‘비건 히알루론산 코코넛’, ‘비건 히알루론산 알로에’도 함께 선보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 수거·폐기 사업 실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가정에서 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의 오‧남용과 불법 유통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한약사회 및 한국병원약사회와 협력하여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을 실시한다. 해당 사업은 참여약국이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은 환자에게 수거·폐기 사업을 안내하고 사용 후 남은 의료용 마약류를 반납받는 사업으로, 6대 광역시, 부천·전주시, 수원특례시 등 총 9개 지역 100개 약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국민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수거량을 높이기 위해 마약류 의약품을 반납하는 국민에게 친환경 가방도 증정한다. 이와 더불어 5개 종합병원 내 약국에서 펜타닐 등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는 환자에게 ▲처방받은 마약류의 안전하고 적절한 복용법 교육을 강화하고 ▲인근 지역의 수거·폐기 사업 참여약국을 안내하여 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의 반납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에 많은 국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마약류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은 해당 지자체별로 운영 중인 폐의약품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의 지정된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이 환자에게 면역항암제가 효과 있을까?’...의사와 AI 간 정밀 의료 협업 시대 개막 연세의대가 암환자 조직 병리 사진을 분석해 면역항암제 효과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위장관외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진과 함께 암세포를 분석해 면역항암제에 효과를 보이는 유형인지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npj 디지털 메디슨(npj digital medicine, IF 15.2)’ 최신호에 게재됐다. 면역항암제는 체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다.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와는 서로 다르다. 그렇기에 환자의 암세포 안에서 보이는 유전적 특성이 적합하지 않으면 면역항암제의 효과가 없다.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보이는 위암, 대장암 환자는 ‘MSI-H(고빈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의 특성을 가진다. 유전자 돌연변이의 양이 많은 MSI-H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외부 침입자’로 더욱 쉽게 인식하게 할 수 있어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 기존에는 MSI-H 보유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세포 조직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 등을 사용했지만, 암세포 내에서 MSI-H가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