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지난 2일부터 6일까지 개최된 ‘2023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ASCO)’에서 2건의 포스터(poster) 발표를 통해 난소암 1차 유지요법에 대한 제줄라®(성분명 니라파립)의 추가 시사점과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공개된 2개의 데이터는 △글로벌 3상 임상 PRIMA 연구 중 제줄라® 환자군에서 확인한 장기 무진행생존기간(PFS, Progression-Free Survival)에 대한 예측 변수 확인 및 △중국 내 3상 임상 PRIME 연구 중 측정 가능한 잔류 병변(MRD, Measurable Residual Disease)을 가진 진행성 난소암 환자에 대한 제줄라®의 유효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이었다. ,
첫 번째 데이터인 PRIMA 후속 연구(post hoc) 결과에 따르면, 제줄라®로 난소암 1차 유지요법 시 BRCA 변이 및 HRD(상동재조합결핍, 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 유무, FIGO 병기 단계, 일차 종양 부위, 그리고 기저상태에서 비표적 병변(non-target lesions) 수 등이 장기 무진행생존기간에 대한 예측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제줄라® 환자군 중에서도 BRCA 변이 또는 HRD 양성에 해당하는 환자는 무진행생존기간이 2년 이상으로 장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BRCA2 유전자 변이 양성 및 HRD 양성이 확인된 환자군(n=47)에서 다른 하위집단 환자군에 비해 높은 교차비(OR, Odds Ratio)가 확인돼, 해당 환자군에서 제줄라®의 우수한 치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시사점이 제시됐다 (OR=10.75; 95% CI, 5.158-22.407, P<0.0001).
또한, 두 번째 데이터인 3상 PRIME 연구의 후속 하위 분석(post-hoc subgroup analysis) 결과에서는 제줄라®의 유의미한 항종양활성(antitumor activity)과 그에 따른 무진행생존기간 연장 효과가 확인됐다. 수술 및 1차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 이후에 측정 가능한 잔류 병변을 가진 난소암 환자 73명을 제줄라® 환자군(n=47)과 위약군(n=26)으로 분류해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을 분석한 결과, 제줄라® 환자군은 57.4%, 위약군은 30.8%로 나타났다 (Odds Ratio=3.20; 95% CI, 1.11-9.11). 본 분석에서 확인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edian PFS)은 제줄라® 환자군에서 22.3개월 (8.7–not estimable)로 위약군 8.3개월 (5.6–11.0) 대비 약 3배 연장된 효과를 보였다 (Hazard Ratio: 0.36; 95% CI, 0.19–0.71).
무엇보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BRCA 변이 및 HRD 양성인 환자군에 대한 제줄라®의 유의미한 임상적 치료 효과가 확인됐다. 잔류 병변이 확인된 환자들 중에서도 gBRCA(생식선 BRCA) 변이 양성인 제줄라® 환자군의 객관적 반응률은 69.2%로 위약군 37.5% 대비 높은 결과를 보였다. 더욱이 HRD 양성인 제줄라® 환자군의 객관적 반응률은 61.3%로 이 역시 위약군의 객관적 반응률 29.4%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2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김재원 교수(대한부인종양학회 회장)는 “잔류 병변이 남아있는 난소암 환자에게 있어 PARP 억제제의 항종양활성은 질환 진행을 지연시키고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을 늘리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특히, 이번 후속 연구를 통해 난소암 치료의 주요 바이오마커로 꼽히는 BRCA 변이와 HRD 양성 환자에서 제줄라®의 치료 예후 개선 등 장기적인 치료 이점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