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6 (목)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고려대 여성의학사연구소, 제2회 정기 심포지엄서...故이호왕 교수 역할 학술적 조명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소장 신규환의인문학교실 교수)가 지난 5월 31(고려대 의과대학 문숙의학관 1층 윤병주홀에서 제2회 정기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편성범 학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 및 연구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 미생물학의 발전과 이호왕을 주제로 한국 미생물학 역사 속 이호왕 교수의 역할과 연구를 학술적으로 조명했다.


고대의대 이호왕 명예교수는 바이러스의 병원체 규명을 비롯해 진단법백신까지 모두 개발한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한국을 대표하는 의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이다신증후군출혈열 병원체인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예방백신 및 진단법을 개발해 세계 의학발전과 인류 건강복지에 기여했다특히 2021년에는 노벨 생리의학상 유력 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편성범 학장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은 세계적인 의사과학자 이호왕 교수님의 선구적인 연구를 계승해감염병 연구신약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여성의학사연구소가 고대의대 발전에 선구자적 역할을 해준 인물들을 계속해서 조명해 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심포지엄은 이호왕 교수의 계보를 잇고 있는 고대의대 미생물학교실 송진원 교수의 기조 강연 한국 미생물학과 이호왕의 기여로 시작됐다송진원 교수는 이호왕 교수님께서는 과학자에게 우연은 노력한 자에게 따르는 선물이다’, ‘평생 연구할 수 있는 세계적인 미해결 과제를 선택하라라고 말씀하셨다, “연구자로서의 성실성과 인류사적 난제를 해결하려는 진취성이 교수님을 세계적인 학자로 만든 것이라고 말하며 후학들이 배워야 할 연구 자세를 강조했다.


이어 한국 미생물학의 발전과 그 계보(인제의대 박지영 교수한국 바이러스학 연구의 스페셜리스트이호왕(전북대 신미영 교수유행성출혈열과 근현대 동아시아(서울의대 이규원 교수) 이호왕의 유행성출혈열 백신 연구네트워크(고려대 여성의학사연구소 조희수 학예사등 강연과 토론이 진행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완치 없는 치매, 그렇다면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기억력 감퇴는 물론 언어, 판단력, 계산 능력,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병으로 누구나 걸릴 수 있다. 무엇보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통제 불가능한 말과 행동으로 가족에게 짐이 된다는 점이 큰 두려움을 준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국내 60세 이상 치매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며, 2050년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6%대 치매 유병률 또한 2050년에는 1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치매 환자의 약 27%가 경도인지장애를 진단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경도인지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시기임을 기억해야 한다. 박정훈 신경과 전문의는 “치매는 초기에 건망증과 증상이 비슷해 본인이 알아채기 어렵고,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회피하고 치료를 미루다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라며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없으므로 중증 치매로 이환 되기 전 병증을 늦출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