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재료 응용분야 전문 기업인 바이오플러스(대표이사 정현규)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승인 받았다. 이에 따라 바이오플러스는 제반 사항을 준비하는 대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를 위한 공모절차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키움증권이 맡았다. 2003년 설립된 바이오플러스는 고분자 생체재료 기반의 의료기기 및 바이오 제품 전문 기업으로, 생체재료인 히알루론산(HA) 응용분야에 있어서 세계유일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 ‘MDM Tech.’를 원천 기술로 보유하고 있다. 이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생산된 제품은 점성과 탄성, 안전성, 지속성,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등이 탁월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주력 제품은 성형외과 시술 재료 더말필러(Dermal Filler)를 비롯해 유착방지제, 관절조직수복재 등이며, 이 외에도 사업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방광용조직수복재, 생체유방, 생체연골대체재, 차세대 신개념 보툴리눔 톡신 등 신제품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회사는 중국 하이난(海南)에 합자법인을 설립하고 현지에 연구소 및 생산기지와 의료기관 등 미용성형 복합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중국은 물론 홍콩, 동남아시아 등 해외 매출
서울대 연구진이 개발한 건강식품 브랜드 바이오비옴이 장 건강과 피부 건강을 위한 프리미엄 건강기능식품 2종을 새롭게 출시했다. 서울대 연구진의 스마트한 설계로 선보이는 이번 신제품 2종은 ▲특허 균주 포함 100억 CFU의 프로바이오틱스를 담아 장 건강 관리를 돕는 캡슐 타입 제품 ‘이너이뮨 포스트바이오틱스’와 ▲어린콜라겐, 비오틴, 비타민D를 1일 최대함량 100%로 담아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분말 타입 제품 ‘이너스킨 어린콜라겐’이다. 바이오비옴의 마이크로바이옴 기술력을 담아 하루 한 번 한 캡슐 또는 한 포를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장과 피부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했다. ‘이너이뮨 포스트바이오틱스’는 19종 유산균과 아연, 비타민, 셀레늄 4중 기능성을 갖춘 식물성 미니 사이즈 캡슐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다. 미국 균주 은행(ATCC)에 등록된 인체 유래 특허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함유해 유산균이 장까지 도달하고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특허 균주를 포함한 총 19종 프로바이오틱스로 구성되어 한 캡슐에 식약처 1일 권장량 최대치인 100억 CFU의 생유산균을 보장한다. 또한, 서울대 연구진이 개발한
뷰노(대표 김현준)는 지난 28일 의료·AI융합 협의회 출범식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 실증랩 개소식에서 뷰노메드 펀더스 AI™와 뷰노메드 딥브레인®을 시연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부겸 국무총리, 국회 이광재·송기헌 의원을 비롯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소속 주요 관계자가 참석해, 의료·AI융합 협의회 출범식과 의료데이터 활용 허브 조성계획 발표, 참여 기업의 솔루션 시연 등이 진행됐다. 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AI+X)는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의료 등의 분야에서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개발 및 활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당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20년 12월에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혁신을 주도할 '이머징 AI+X 톱 100’ 의100대 국내 기업 중 하나로 뷰노를 선정한 바 있다. 뷰노가 이날 행사에서 시연한 뷰노메드 펀더스 AI™(VUNO Med® – Fundus AI™)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안저 영상을 판독해, 주요 망막 질환 진단에 필요한 12가지 소견 유무와 병변의 위치를 제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이사 서범석)이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매사추세츠종합병원과 진행한 공동 연구에서 영상의학과 전문의들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보다 효과적인 흉부 엑스레이 분석이 가능하는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달 유럽 최고의 영상의학 학술지인 ‘유럽영상의학회지(European Radiology)’에 게재됐다. 하버드 의과대학 부속병원인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닌 병원 중 하나이자 세계적인 학술기관으로, 루닛과 2020년부터 연구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루닛의 폐 질환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인 ‘루닛 인사이트 CXR’이 흉부 엑스레이에서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악성 폐 결절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해당 내용은 세계적인 학술지 ‘JAMA Network Open(자마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단순 정확도뿐만 아니라, 루닛 인사이트 CXR이 실제 의사들의 흉부 엑스레이 판독 효율성에도 영향을 주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본 연구에는 3명의 영상의학과 레지던트와 5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등 8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미국 국가폐암검진연구(Nat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기업 벡톤디킨슨코리아(이하 BD코리아)가 프리필드 시린지(PFS, Pre-fillable Syringe) 생산 역량을 대폭 강화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 효율을 제고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코로나19 예방 접종 수요가 시급한 지금, 자사의 주력 제품으로 양질의 환자 진료 제공에 앞장서겠다는 각오다. 프리필드 시린지 형태의 주사기는 사전충전형 주사기로 따로 병에 약물을 담을 필요 없이 주사기 자체에 1회 분량의 약물이 들어있어 오염이나 과다투여 등의 우려가 거의 없어 환자의 안전성과 효율성 두가지 측면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기존 주사기와 비교시 원료의약품(API)과 유해 폐기물 감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프리필드 시린지 시장은 코로나19를 계기로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BD코리아는 이러한 프리필드 시린지 분야를 필두로 코로나19 극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벡톤디킨슨(BD)은 세계 최대의 주사 디바이스 제조사로서 팬데믹 위기에 조기 대응해 제조 운영을 빠르게 확장해왔다. 의료계의 백신 접종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면서 코로나19 백신이 전 세계 국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자사의 주력 제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기업 쎌바이오텍이 애플리케이션 ‘듀오락’ 오픈을 기념해 축하 쿠폰과 제품 구매 시 추가 증정 혜택을 주는 ‘여름철 민감한 장 관리 EVENT’를 실시한다. 듀오락 앱은 고객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증대하고자 개발됐다. 소비자는 듀오락의 신제품 출시, 프로모션 소식을 보다 빠르게 받아볼 수 있고, 미생물 이야기, 고객의 구매 후기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쎌바이오텍은 이번 듀오락 앱 오픈을 기념해 8월 10일까지 이벤트를 실시한다. 먼저, 듀오락 앱을 설치하면 3000원 축하 쿠폰을 증정한다. 신규 회원을 위한 축하 쿠폰 5000원과 중복 사용이 가능해 최대 8000원의 혜택을 제공한다.
세계적인 눈 건강 전문 기업 바슈롬코리아(대표이사:김형준)가 23일(금) 울트라 원데이 렌즈와 관련해 스페셜한 릴레이 구매 이벤트(이하 울트라 좋-트-라 이벤트)를 실시한다. 지난 7월 1일 새롭게 리뉴얼한 바슈롬 앱을 통해 울트라 원데이 렌즈를 구매 시 마다 경품이 지급되는 소비자 참여형 구매 릴레이 이벤트가 진행된다. 먼저 7월 23일부터 9월 12일까지 바슈롬 앱을 통해 울트라 원데이 렌즈 30개입을 첫 구매(STEP1) 와 두번째 구매(STEP2) 시, 각 STEP에 따라 경품을 지급한다. 이어 9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세번째(STEP3) 구매할 경우, 울트라 원데이 렌즈 최대 20알(5알짜리 4팩)을 보너스 렌즈로 증정하고, 추가로 경품을 받을 수 있는 기회에 자동으로 응모하게 된다.
㈜클리오라이프케어의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트루알엑스(TRUE RX)’에서 ‘탄력 단백질’이라 불리는 엘라스틴을 핵심 성분으로 한 이너뷰티 제품인 ‘리치엘라스틴’을 출시했다. 리치엘라스틴은 주원료인 엘라스틴가수분해물을 1포에 300mg함유하고 있으며, 원료 또한 청정 북극해 대구로만 만든 미국산 엘라스틴을 사용했다. 엘라스틴과 함께 부원료로 피부 진피 3대 요소인 콜라겐, 히알루론산까지 모두 포함하였으며 밀크 세라마이드와 비타민 A, C까지 담았다. 엘라스틴의 데소모신과 이소데스모신 1%를 함유한 엘라스틴 원료를 사용하고, 생산과정의 편리를 위한 식품첨가물 14가지는 과감히 배제하였다.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8년 만에 처음으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승인하면서 치매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번 높아졌다. 우리나라 치매환자 증가율은 연평균 16%에 달할 정도로 가파르며, 치매 유병률 역시 높아 65세 이상 노인의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다. 치매는 초기에 발견 시 증상을 완화 및 경과를 둔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 더욱이 국가 치매 관리비용도 2019년 연간 16.5조 원에서 2040년 약 63.1조 원까지 증가 할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그러나 문제는 치매는 조기 진단이 매우 어려운 질환이라는 것이다. 우리 뇌는 인지기능의 문제가 발생하기 전부터 신경퇴화로 인한 뇌 위축이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를 미리 발견하지 못해 진단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신경퇴화로 인한 뇌 위축은 뇌 MRI 검사를 통하여 어느 정도 그 위축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뇌 MRI를 통한 치매 조기 진단의 가능성이 확인된 가운데, 글로벌 의료인공지능 선도 기업 뷰노가 뇌 MRI를 기반으로 의료진의 치매 진단을 돕는 뷰노메드 딥브레인®과 뷰노메드 딥브레인 AD™의 상용화에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병리 및 병리진단의 선두기업 ㈜딥바이오(대표 김선우, 이하 딥바이오)는 하버드 의과대학 산하 기관인 다나-파버 암센터와 전립선암 진단 연구 협약을 맺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연구는 ‘아프리카계 남성과 전립선암(MADCaP, Men of African Descent and Carcinoma of the Prostate) 컨소시엄’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다나-파버 암센터 종양학 교수이자 하버드 T.H. 챈 보건대학원 역학과 교수 티모시 레벡(Timothy Rebbeck)이 이끄는 이번 프로젝트는 딥바이오의 인공지능 전립선암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DeepDx® Prostate가 병리 진단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해당 알고리즘과 병리학자의 진단 결과를 비교한다. 연구에 사용되는 전립선암 디지털 병리 이미지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있는 8개 연구소에서 제공된다. 김선우 딥바이오 대표는 “암 치료 및 연구를 선도하는 다나-파버 암센터와 함께 의미 있는 연구에 기여하게 돼 영광이다”며, “DeepDx® Prostate가 병리학자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해 암 진단에 있어 보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