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지방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소가 탄생했다.비만 전문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업 ㈜365mc 네트웍스는 (주)모닛셀을 설립하고 ‘365mc 흡입지방 분석 의학연구소 (이하 흡입지방 연구소)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인체 지방에만 집중하는 전문 연구소 설립은 365mc가 세계 최초다.365mc는 지방흡입 수술과 지방흡입 주사 람스(LAMS)를 통해 연간 30여톤의 인체 지방을 추출하고 있다. 연구소는 인체 추출지방을 통해 ▲인체 지방 성분분석 ▲지방세포와 비만치료 메커니즘 분석 ▲인종·성별·체질 등 개인 맞춤형 지방흡입 수술법 개발 등 연구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전세계 지방흡입 시장 규모는 22조 1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그만큼 지방흡입은 대중적인 비만치료, 체형개선 수술로 자리잡았고,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한 지방흡입 수술 방법에 대한 연구는 현재 중요한 의료 이슈다. 지방흡입 신기술 연구를 위한 승부수, 흡입지방 연구소이번 흡입지방 연구소 개소는 인체 지방 연구를 통한 비만 치료 및 지방흡입 신기술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한 365mc의 승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정현호 연구소장은 “365mc가 시행하는 연간 5만건 이상의 시술에서 추출되는 인
'환자안전을 위해 직원·환자·보호자 모두가 함께 해요’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안영근)이 최근 ‘With Safty’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환자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전남대병원 의료질관리실(실장 정인석 흉부외과 교수) 주관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환자확인에 동참해 원내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안전문화 형성의 일환으로 열렸다. 특히 의료진 등 직원 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는데 더욱 주력했다. 이번 행사는 환자안전을 위한 나의 다짐행사, 환자안전 스피크 업(Speak Up) 캠페인, 환자안전 우수부서 포상부문 총 3부로 나뉘어 진행됐다. ‘다짐행사’는 지난 24일부터 이틀간 병원 내 명학회관 지하식당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을 위한 나의 다짐을 작성해 추후 추첨을 통해 선물을 증정하는 것으로, 안전에 대한 마인드를 고취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어 28일에는 병원 외래와 각 병동의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리플렛과 각종 홍보물을 배부하며 환자안전을 강조하는 스피크 업(Speak Up) 캠페인을 전개하고, 우수부서에 대한 시상도 함께 진행한다.
유난히 배앓이가 잦은 사람들이 있다. 수시로 찾아오는 복통에, 심할 땐 하루에도 몇 번씩 설사를 하는 통에 배변 때마다 심한 고통을 호소하곤 한다. 이때 대개는 과민성대장증후군을 떠올리지만, 최근 들어 크론병을 진단받는 이들이 늘고 있다. 크론병은 아직 일반에 생소한 질병이다. 그나마 몇 해 전 가수 윤종신과 개가수(개그맨+가수) 영기가 투병 사실을 공개하며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지정선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설사나 복통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 과음, 과식,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과민성대장증후군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증상이 자주 반복되면 크론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며 “특히 점액변, 혈변, 메스꺼움, 발열, 식욕부진, 체중감소, 피로감 등이 동반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크론병 환자 최근 4년간 34% 급증… 젊은층 발병률 높아= 크론병(Crohn’s disease)은 대표적인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크론병이란 이름은 1932년 미국 의사 크론이 처음 보고한 데서 유래했다. 비슷한 증상의 만성 염증성 장질환인 ‘궤양성 대장염’과 비교되지만 병변의 위치, 범위, 특징에서 차이가 있
헨켈홈케어코리아(대표 김광호)가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모기제로캠페인’을 진행한다. 헨켈홈케어코리아는 22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헨켈홈케어코리아 본사에서 김광호 대표와 대한적십자사 조남선 혈액관리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모기 감염 예방 캠페인 진행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헨켈과 대한적십자사는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상승, 해충 수 증가, 이를 매개로 한 전염병 확대 가능성에 공통의 목적과 관심을 가지고 국민들의 위생적이고 건강한 일상 생활을 위해 모기 감염 예방을 취지로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1999년 인구 10만 명당 727명이던 자궁내막암 환자 수는 매년 꾸준히 늘어 2018년에는 3,182명을 기록했다. 이는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 가운데 10위에 해당하는데, 산부인과에서 다루는 암 가운데 자궁경부암에 이어 2위를 차지한다. 자궁내막이란 임신 시 태아가 착상이 되는 자궁의 가장 내측 벽을 구성하는 조직이며, 생리할 때 탈락이 되어 혈액과 함께 나오는 부위이기도 하다. 자궁내막암이란 바로 이 자궁내막에서 생긴 암으로 자궁체부(몸통)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000년대 초반부터 최근까지 자궁내막암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는 자궁경부암과 대조를 이룬다. 저출산, 식생활 변화가 환자 증가의 주원인젊은 비만여성에서 특히 증가 자궁내막암 환자 증가 추세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첫째는 임신과 출산을 하지 않는 여성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데, 이것이 여성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궁내막암의 위험인자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자궁내막암은 대부분 여성호르몬, 그 중에서도 에스트로겐이라는 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 노출 기회가 많아지거나
에이치엘사이언스(대표 이해연)는 관절 및 연골 건강기능제품인 “관절연골엔 우슬조인트 100”이 국제품질평가기관인 몽드 셀렉션 (Monde Selection)의 “2021 금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관절연골엔 우슬조인트 100”은 회사가 독자 개발한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으로, “우슬등 복합물(HL-JOINT 100™)”이 주원료이다. “우슬등 복합물(HL-JOINT 100™)”은 식약처가 국내 최초 및 유일하게 인정한 관절 및 연골 건강 개별인정형원료다. 국내 대학병원에서 한국인 대상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차별화된 과학적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되고, 관절연골건강의 글로벌 특허를 받은 단 하나의 매우 차별화된 혁신기술이다. “우슬등 복합물(HL-JOINT 100™)”은 동물실험결과, 염증활성을 억제하고 연골세포수를 증가시키며, 연골두께를 증가시킨 혁신기술이다. 골관절염유도동물모델을 통한 연구결과, Cox2, PGE2 억제를 통한 항염효과, MMP-2, 9 억제를 통한 연골보호효과 및 Type Ⅱ 콜라겐, 콘드로이친 합성증가를 통한 연골재생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전방십자인대 및 내측 반월판 부분절제로 관절염이 유도된 동물실험에서 200mg/kg씩 5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회장 김흥권)가 엔에이치엔고도(주)(대표 이윤식)에서 기부한 4백만 원 상당의 생수를 코로나19 전담병원에 지원했다. 엔에이치엔고도(주)는 밤낮으로 애쓰고 있는 전담병원 의료진과 코로나19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이번 생수 기부를 마련했다. 적십자 서울지사는 3월 17일(수)부터 19일(금)까지 3일에 걸쳐 에브리워터 2L(6개입) 400세트와 500ml(20개입) 1,500세트를 코로나19 전담병원인 서남병원에 전달했다. 생수를 받은 서남병원 의료진은 “코로나19 최전선에서 분투하고 있는 의료진과 감염병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을 위한 엔에이치엔고도와 적십자의 온정에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이번 생수 기부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지친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큰 힘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동구바이오제약의 계열사이자 펩타이드 신약개발기업 ㈜노바셀테크놀로지(이하 노바셀)은 이태훈 대표이사를 재선임하고 이사진을 대폭 보강했다. 최근 연구개발 핵심 인력 보강에 이어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최고전략책임자(CSO) 등 이사진을 강화함으로써 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연내 성공적인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노바셀은 29일 정기주주총회를 통하여 이태훈 대표이사의 중임과 강인중 부사장(CFO)의 사내이사 선임 안건을 결의하였다. 기타비상무이사로는 황만순(CSO)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이사와 이해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좌교수/이노테라피 CTO를 선임하였다. 감사로는 김석민 신정회계법인 대표를 선임하였다. IPO를 이끌 CFO로 영입된 강인중 부사장은 삼일회계법인 상무파트너 등 업계에서 오랫동안 재무전문가로서 활동해왔고 K-바이오의 성장가능성 및 미래 성장동력원 경로를 확인하여 노바셀테크놀로지에 합류를 결정하였다. 그간 노바셀의 외부감사 및 감사로서 재직하며 회사의 발전을 공유해온 강인중 부사장은 “노바셀은 글로벌을 공략할 수 있는 핵심기술 및 물질을 보유한 몇 안되는 바이오기업으로 투자전문가, 상장전문가로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접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2월 2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34명, 해외유입 사례는 22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89,676명(해외유입 7,046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1,79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2,450건(확진자 41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44,241건, 신규 확진자는 총 356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364명으로 총 80,697명(89.99%)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37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35명,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03명(치명률 1.79%)이다.
명지의료재단(이사장 이왕준)이 지난 25일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에이치엘비그룹(회장 진양곤)과 의료분야 공동 연구 및 사업화를 위해 상호 협력키로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오전 명지병원 뉴호라이즌힐링센터에서 가진 협약식에는 명지병원에서 이왕준 이사장과 김진구 병원장, 박상준 연구부원장 등이, 에이치엘비그룹에서는 진양곤 회장과 에이치엘비생명과학 한용해 사장, 에이치엘비 장인근 바이오 전략기획상무 등이 참석했다. 명지병원과 제천 명지병원, 엠제이셀바이오, 캔서롭 등 명지의료재단 관계기관은 에이치엘비, 에이치엘비생명과학, 에이치엘비제약, 에이치엘비셀, 신화어드밴스, 화진메디칼, 단디바이오사이언스 등 에이치엘비그룹의 계열 및 관계사와 기초 및 임상 연구개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의료산업 관련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과 기술교류 ▲의료산업 연구 개발의 사업화 지원을 위한 공동 협력 ▲장비 및 시설의 공동사용과 연구개발인력의 교류 ▲국제컨퍼런스 및 세미나, 학술대회 등 공동개최 ▲의료산업의 진흥•발전을 위한 경영, 기술개발, 품질향상, 임상시험 등을 위해 필요한 사업 추진 ▲기타 양 기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등에 공동 노력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