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유래 소포(CDV: Cell Derived Vesicles)기반 신약 개발 기업 (주)엠디뮨이 미국 법인을 설립하여 미국 유수 대학의 지원 대상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엠디뮨 배신규 대표는 “엠디뮨이 지분 100%를 보유한 바이오드론 테라퓨틱스(Biodrone Therapeutics Inc.)를 미국 시애틀에 설립했다”며 “향후 기술 수출 및 미국 유수 연구기관과의 협업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법인의 대표는 2월 영입한 엠디뮨 CSO(최고과학책임자)인 오승욱 박사가 겸임한다. ‘바이오드론’은 엠디뮨이 주요 국가에 상표권으로 등록한 당사 플랫폼 기술의 명칭이다. 바이오드론 테라퓨틱스가 소재한 시애틀 지역은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본사가 위치하는 등 연구개발 기업이 다수 포진되어 있으며, 노벨상 수상자를 12명 배출한 워싱턴 주립대(UW) 중심의 바이오텍 클러스터 또한 잘 갖추어져 있다. 세포 치료제 개발로 유명한 시애틀제네틱스, 주노 테라퓨틱스, 세계 3대 암연구기관인 프레드허칫슨 암연구소 등이 위치해 있다. 한편 바이오드론 테라퓨틱스는 UW의 지원대상 우수 스타트업에 선정되어 지원센터 내 입주 공간을 비롯한 각종 지원을 받게
미국 워싱턴DC와 메릴랜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미 생명과학인협회 (Korean-American Professional Association in Life Sciences, KAPAL)는 오는 11월 7일에서 8일까지 제 5회 카팔 연례학회를 개최한다. 카팔연례학회의 특징은 1) 미국 및 다국적기업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콜라보의 성과를 창출, 2) 한국혁신기업들의 미국진출에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진출을 위한 전략지식공유, 3) 미국 FDA 연사들과 승인과 절차에 대한 특별 세션와 패널토론 등이 있다. 올해로 5회를 맞는 이번 학회는 주미 한국대사관, 충청북도, 코트라 워싱턴사무소가 공동주최를 한다. 특히 올해에는 메릴랜드 주지사 래리 호건의 환영사와 함께 메릴랜드 경제부와 많은 미국기업들의 참여로 더욱 큰 협력과 지원성과가 예상된다. 2018년에는 한국과 미국에서 총50여개가 넘는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였고 250여명이상이 등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기조연설자은 삼성 바이오 에피스의 고한승대표,브리지바이오US의의 이용희부사장, 미FDA에 시니어 어드바이저의 에드워드 바샤 박사가 발표를 한다. 미국 컨설팅, CRO, 로펌 등과 한국 충북에서 참여하는 5개
엔지켐생명과학 (대표 손기영, 183490)은 10월 26일~30일 (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미국-유럽연합종양학회의 '분자표적 및 암치료법에 관한 국제학회'(2019 AACR-NCI-EORT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lecular Targets and Cancer Therapeutics)에서 임상 2상 진행중인 신약물질 EC-18의 호중구감소증 중간결과와 항암 및 항암전이 효능 연구성과를 발표해 전세계 제약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고 31일 밝혔다.'분자표적 및 암치료법에 관한 국제학회'는 미국암학회(AACR)와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학회(EORTC) 등 세계 최고 권위의 3대 암연구기관이 공동주최한 정기학술행사로, 글로벌제약사가 연구중인 첨단 항암제 신약개발 현황과 성과를 집중 공개해 암치료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학회로 손꼽힌다.엔지켐생명과학은 이번 학회에서 신약개발물질 EC-18의 first-in-class 작용기전을 토대로 글로벌 2상 임상 프로그램인 항암치료에 의해 유발되는 호중구감소증 (Chemotherpay-induced Neutropenia, CIN)의 중간결과, 항암 및 암전이억제 치료제로서의
표적치료제 신약개발 전문기업 보로노이는 29~30일(현지시간은 28~2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암학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학회(EORTC) 공동 주최 ‘분자 타겟 암 치료(Molecular Target and Cancer Therapeutics)학회’에서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 연구 성과를 첫 발표해 세계 각국 연구자들이 큰 관심을 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이날 AACR 대표인 마가렛 포티 박사는 보로노이 포스터 발표장 사진을 트위터에 올리며 “분자 타겟 암 치료에 대한 최근 연구성과가 게재된 타겟19 세션들에 많은 관심이 쏟아졌다”고 언급했다.실제 이날 보로노이 포스터 발표에는 수많은 연구자들이 끊임없이 몰려와 회사 연구진들에게 많은 질문을 했다. 이번에 발표된 보로노이의 신약후보물질 개발에 참여한 김성환 박사는 “폐암 분야 최고 권위자인 파시 야니 하버드 의대 교수(사진 3)와 AACR 대표인 마가렛 포티 박사 등 많은 분들 앞에서 신약후보물질을 첫 공개해 기쁘다”며 “가능한 빠른 속도로 개발을 완료해 환자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보로노이의 신약후보물질은 비소세포성 폐암 중에서도 아직 치료제
美 바이오 투자사들이 비알콜성지방간염, 구강점막염 치료제로 개발중인 엔지켐생명과학의 신약물질 'EC-18'의 파이프라인을 주목하고 나섰다. 코스닥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한국거래소가 유망 코스닥기업 10개사를 초청, 지난 23일 미국 보스턴, 24일 뉴욕서 개최한 '2019년 하반기 코스닥 글로벌 IR 컨퍼런스'에서 신약후보물질 'EC-18'의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와 구강점막염(CRIOM)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소개한 결과, 현지 투자사로부터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고 29일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이틀간 1:1 미팅 형태로 진행된 이번 투자설명회에서, 신약개발물질 'EC-18'의 first-in-class 작용기전을 토대로 한 '비알코올성지방간염', '항암-암전이억제 치료제'(Cancer Metastasis) 개발 프로그램과, 글로벌 2상 임상 프로그램인 '구강점막염', '호중구감소증'(CIN), '급성방사선증후군'(ARS) 치료제의 개발 경과를 집중 소개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엔지켐생명과학은 23일 미국 바이오테크의 요람인 보스턴 바이오 투자기관과 가진 미팅에서 세계적인 권위의 日 SMC 연구소에서 실시한 비알콜성지방간염 비
(주)에스바이오메딕스(대표 강세일)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김동욱 교수팀이 공동연구로 진행 중인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연구가 “2019년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국가지원 연구과제 총 6만3000여 개 중 부처별 추천 과제들을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하여 결정되었다. 우수성과 100선 중 생명 및 해양 분야에는 총 23개 과제가 체택되었다. 선정된 성과명은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s)로부터 고효율 신경세포분화방법을 이용한 난치성 세포치료제 개발”이다. 연구내용은 저분자화합물을 사용하여 두 가지 특정 신호 전달체계(BMP와 Activin/Nodal signaling pathways)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전분화능 줄기세포(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내배엽과 중배엽성 세포 분화를 강력히 차단하고, 신경세포를 고수율로 분화 유도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보편적인 신경세포 분화 방법 개발을 바탕으로 한다. 표준화가 매우 쉬우며, 신경세포로의 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국제 줄기세포 포럼에 의해 국제 표준화 프로토콜로 채택되었던 기술로 현재 유럽 11개국과 미국, 일본, 한국 등에 특허로 등록되어 있다.
표적치료제 신약개발 전문기업 보로노이는 오는 2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미국암학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학회(EORTC) 공동 주최 ‘분자 타겟 암 치료(Molecular Target and Cancer Therapeutics) 학회’에서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 연구 성과를 최초 공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되는 보로노이의 신약후보물질인 VRN071961은 비소세포성 폐암 중에서도 아직 치료제가 없어 의료 수요가 큰 EGFR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에 의한 폐암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EGFR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는 정상 EGFR과 단백질 구조가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그동안 이 돌연변이만 선택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기 힘들었다. 보로노이 신약후보물질은 EGFR Exon 20 insertion 돌연변이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약효와 내약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로노이는 학회에서 VRN071961 물질의 우월한 선택적 저해효과를 다양한 실험으로 검증한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VRN071961 경쟁 물질로는 일본 다케다가 개발 중인 TAK-788과 미국 스펙트럼이 개발 중인
세포 유래 소포(Cell Derived Vesicles, CDV)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난치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주)엠디뮨(대표이사 배신규)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에 줄기세포 CDV를 치료제로 적용하는 국내 특허를 취득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독자 공정으로 제조한 CDV를 난치질환인 만성폐쇄성폐질환에 적용하여 등록받은 세계 최초의 사례이다. 이를 계기로 향후 CDV를 활용한 다양한 난치질환 치료제 개발에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이번에 특허 등록된 CDV는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것으로, 줄기세포가 갖는 재생효과를 보유함과 동시에 투여 경로 등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OPD는 환경오염 등의 영향으로 유병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지만, 한번 손상된 폐 세포를 재생시키는 치료법이 없어 완치가 불가능한 대표적 난치질환이기 때문에 CDV의 재생효과에 거는 기대가 크다. 이번 특허는 서울아산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공동 출원한 것이며 향후 사업화 권리는 엠디뮨이 보유한다. CDV는 세포 유래 소포(Extracellular vesicles: 이하 EV)의 일종으로, EV는 세포로부터 분비되거나 혹은 추출할 수 있는
GSK(한국법인 사장 줄리엔 샘슨)는 자사 로타바이러스 백신 ‘로타릭스’의 우수한 예방효과를 입증한 벨기에와 브라질의 리얼월드 데이터(Real World Data, RWD)가 제품설명서 사용상 주의사항 항목에 추가됐다고 밝혔다. 벨기에와 브라질에서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백신 도입 후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예방효과를 살펴본 결과 로타릭스 2회 접종 후 로타바이러스 장염으로 인한 입원에 있어 각각 90%, 75.8% 효과를 나타냈으며, 주요 혈청형인 G2P[4]에 대한 예방효과 역시 각각 85%, 75.4%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벨기에와 브라질은 모두 영유아 국가예방접종사업(NIP,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에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포함되어 있다. 벨기에는 유럽 연합 중 최초로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영유아 예방접종에 포함시킨 국가로 2006년 11월부터 부분적으로 급여를 적용했으며, 브라질은 벨기에보다 앞서 2006년 3월부터 로타릭스로 영유아 예방접종을 시작했다. 벨기에 연구진은 2008년 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벨기에 내 39개 병원에서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으로 입원한 215명의 환자군과 276명의 대조군(2006년 10월 1일
씨엘바이오 신약 후보물질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가 당뇨병, 간손상 질환 치료제 물질특허에 이어,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물질특허를 추가로 확보했다. 중견바이오기업 씨엘바이오(대표 최종백)는 당뇨병 및 간손상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 바이오 신물질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CL-K1)가 아토피 피부질환 치료원료로 효과를 인정받아 특허청으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물질특허를 취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취득한 특허는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 균주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다. 씨엘바이오는 당뇨, 간손상 치료제 신약에 이어, 2027년 18조원 규모의 글로벌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강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씨엘바이오 '세리포리아 라마리투스'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보다 비타민, 마그네슘, 칼슘 등이 각각 5.5배, 8배, 4.2배 이상 많고, 피부개선에 뛰어난 베타글루칸, 세포외 다당체(EPS)와 혈당조절 및 항당뇨 유효성분인 5-디하이드로에르고스테롤, DMC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씨엘바이오는 기존 락세라타 균주에서 발견되지 않은 '5-하이드록시-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