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7.0℃
  • 구름조금강릉 -4.6℃
  • 구름조금서울 -7.7℃
  • 대전 -5.9℃
  • 구름많음대구 -4.1℃
  • 구름많음울산 -3.2℃
  • 광주 -4.9℃
  • 구름많음부산 -0.8℃
  • 흐림고창 -6.0℃
  • 제주 0.8℃
  • 구름조금강화 -9.1℃
  • 구름많음보은 -5.5℃
  • 흐림금산 -6.8℃
  • 흐림강진군 -2.7℃
  • 흐림경주시 -2.9℃
  • 구름많음거제 -0.2℃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동절기 복병 뇌경색 · 뇌출혈 .. 예방은?

금연은 뇌혈관 건강필수, 과도한 음주도 혈압 상승 적정 음주 유지해야

겨울철이 되면 뇌혈관질환 환자가 증가하는 시기이다. 찬 공기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시켜 뇌경색(뇌졸중)이나 뇌출혈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겨울철에는 뇌혈관질환 위험이 급격히 증가할까? 기온이 낮아지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하고, 혈액이 끈적해져 혈전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뇌혈관을 손상시킬 위험성을 높이는데, 특히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더 큰 주의가 필요하다. 

 

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5가지 건강 수칙에는 먼저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 규칙적인 측정과 약물 복용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 뇌혈관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고혈압으로, 혈압을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필요하다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혈압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으니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콜라겐과 오메가-3 섭취와 균형 잡힌 식단이다. 콜라겐은 혈관 벽의 탄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오메가-3 지방산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연어,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 견과류, 그리고 콜라겐이 풍부한 식품(예: 돼지 족발, 닭발, 해조류)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도 중요한데, 운동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혈압을 안정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겨울철에는 주 2회 이상 30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실내에서 하는 것이 좋고 걷기, 실내 자전거, 스트레칭 등이 적합하며, 기온이 낮은 날에는 야외 활동을 피해야 한다.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에 체온 유지에도 주의해야 한다. 외출 시에는 보온에 신경 쓰고, 따뜻한 옷을 착용하는 것을 권한다. 갑작스러운 찬 공기 노출은 혈관 수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실내와 외출 전후로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뇌 MRI 포함한 정기 건강검진이 중요하다. 뇌혈관질환은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특히 고위험군이라면 뇌 MRI나 MRA(뇌혈관 촬영)를 정기적으로 시행하여 미리 혈관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또한 담배는 혈관 벽을 손상시키고 혈압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금연은 뇌혈관 건강을 위해 필수이며, 과도한 음주도 알코올은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 음주를 유지해야 한다. 무엇보다 스트레스는 혈압과 혈당을 상승시키는 주요 요인이므로 적절한 휴식과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다.

 

 최윤혁  신경외과 전문의는 “겨울철은 뇌혈관질환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로, 건강한 생활 습관과 적절한 관리는 뇌혈관질환의 위험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라며, “이번 겨울, 혈압 관리, 식단 조절, 규칙적인 운동, 체온 유지, 그리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뇌혈관을 튼튼히 지켜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긴 연휴 후에도 계속 피곤하다면 ...‘만성 피로 증후군’ 의심 긴 명절 연휴가 지나면 많은 사람들이 명절 후유증을 호소한다. 장시간의 음식 준비, 장거리 운전, 가족 모임에서의 긴장과 스트레스는 우리 몸에 피로를 쌓이게 만든다. 하지만 충분히 쉬어도 피로가 풀리지 않고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한 피로감을 느낀다면, 단순한 피로를 넘어선 문제일 가능성을 의심해야 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만성 피로 증후군’이다. 만성 피로 증후군은 명확한 의학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속적이고 심각한 피로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질환의 가장 큰 특징은 충분히 쉬어도 피로가 해소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일상적인 활동조차 어렵게 만들며, 기억력과 집중력 장애, 두통, 인후통, 림프샘 압통, 근육통과 다발성 관절통, 수면 후에도 상쾌하지 않은 느낌, 운동 후 심한 권태감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이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만성 피로 증후군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박세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만성 피로 증후군은 여러 가지 감염, 극심한 스트레스, 독성 물질 노출, 중추신경계 장애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특히 여성과 노인에서 더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