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과 골프 등 평소 야외활동을 즐기는 A씨(남, 55세)는 최근 오른쪽 귀 아래에 흑갈색 점이 생긴 것을 발견했다. 대수롭지 않게 여긴 A씨는 평소와 다름없이 생활했지만 점차 빠른 속도로 점의 크기가 커졌고 피부에서 도드라지는 듯한 느낌도 받았다. 이에 병원을 찾은 A씨는 악성흑자 흑색종을 진단받았다.
피부에 발생하는 흑색종(Melanoma)은 피부와 눈의 색을 나타내는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에서 발생하는 피부암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피부암은 기저세포암으로 피부암 종류 전체의 75~80%를 차지하며, 자외선 노출이 많고 피부색이 하얀 사람에게 주로 나타난다. 전이의 가능성이 낮아 치료가 간단하며 항암치료 없이 수술로 제거해 완치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은 발병 비율이 15%이며, 수술로 치료 가능하나 드물게 전이가 되므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적은 암이지만 암 중에서 악성도가 가장 높은 암이 흑색종이다. 발병률은 5%정도이지만, 육안으로 봤을 때 점인지 암인지 구별이 잘 되지 않아 초기 진단이 어렵다.
이에 일반점과 흑색종을 구별할 수 있는 ABCDE 관찰법이 있다. 첫째, 비대칭성(Asymmetry)이다. 점은 대부분 좌우 대칭적인 형태이지만 흑색종은 비대칭적인 모양을 보인다. 둘째, 불규칙한 경계(Border irregularity)이다. 점의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고 톱니모양 등을 보이면 흑색종의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로, 다양한 색상(Color variegation)이다. 점의 색깔은 한 가지 색으로만 이루어지지만, 검은색과 갈색 등 여러 가지 색인 경우 흑색종을 의심할 수 있다. 네번째로 직경(Diameter)이다. 흑색종은 직경 6mm를 기준으로 그 이상인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진화(Evolving)이다. 이는 점의 형태가 바뀌는 걸 말한다. 점의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피가 나는 등 변화가 있다면 병원에 방문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고려대 구로병원 피부과 백유상 교수는 “흑색종은 초기에 발견하면 높은 완치율을 보인다”라며, “점이 이전과 비교해 다른 증상이 보인다면 반드시 내원해야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진단이 늦어질수록 전이 등 예후가 좋지 않기에 초기 증상이 보일 때 바로 내원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