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30.2℃
  • 흐림강릉 30.7℃
  • 구름많음서울 31.6℃
  • 흐림대전 26.9℃
  • 흐림대구 25.7℃
  • 흐림울산 23.6℃
  • 흐림광주 23.7℃
  • 흐림부산 23.4℃
  • 흐림고창 24.5℃
  • 제주 23.3℃
  • 구름많음강화 27.4℃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6.1℃
  • 흐림강진군 22.3℃
  • 흐림경주시 26.5℃
  • 흐림거제 22.7℃
기상청 제공

인삼사포닌 체내흡수율 높인 노하우 국가 인증 획득

일화, 인삼농축액 제조 기술로 ‘신기술 인증’

 인류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일화(www.ilhwa.co.kr, 대표 이성균)는 인삼 사포닌의 체내흡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국내 최초의 인삼농축액 제조 기술로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인증’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일화의 40년 넘는 인삼연구를 통해 개발된 ‘펙티나아제 처리에 의한 IH-901 함유 인삼농축액 제조 기술’은 인삼 사포닌에서 추출한 항당뇨 및 항암 신물질 IH-901을 함유하는 인삼농축액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신기술이다.

특히 기존 인삼농축액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던 체질 및 체내환경에 따른 인삼 사포닌 흡수율 차이를 극복, 사포닌을 최종 대사물질인 IH-901로 전환시켜 인삼의 우수 성분을 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해 신기술이 접목된 신제품 출시가 기대되고 있다.

금번 신기술을 통해 개발한 IH-901을 함유하는 인삼농축액은 현재 농식품부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으로 건국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남성 난임 개선 임상시험 중이며, 호주의 다국적 기업인 SFI, 미국 코네티컷 대학과 함께 항비만, 항당뇨, 운동능력향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전세계 11개국 선도 제약사가 설립한 NHSF(Natural Health Science Foundation)와 함께 전세계적인 코마케팅(Co-Marketing)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중국, 홍콩, 대만을 비롯한 중화권에 신제품 출시를 위한 제품화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본 기술이 적용된 인삼농축액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아 국내 및 미국특허를 획득하였으며 기타 주요 국가에도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일화 이성균 대표는 “국내 최초로 인삼제품을 해외에 수출하고 인삼 연구에 앞장서 온 일화는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제품을 선보여 대한민국 대표 인삼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신기술(NET) 인증은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 대학 등에서 개발한 신기술의 우수성을 인증함으로써 신기술 상용화와 기술거래를 촉진하고 그 기술을 이용한 제품의 신뢰성을 제고시키는 국가인증 제도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의대, 아프리카·아시아 감염병 전문가 키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열대의학교실·열대의학연구소(김형표 주임교수·박순정 소장)는 지난 24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 하일수 이사장)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정혜진 팀장) 감염병 전문가과정(공통과정-정책)’ 입교식을 개최했다. 탄자니아·우간다 등 아프리카 4개국, 우즈베키스탄·캄보디아 등 아시아 4개국 현지에서 감염병 대응(역학, 임상진단 및 치료, 질병진단 및 연구 분야)을 담당하는 보건부 공무원과 의사 총 37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해 감염병대응 역량 향상을 지원한다. ‘이종욱펠로우십’은 개발도상국 의료인력 양성에 대한 故이종욱 WHO 사무총장의 뜻을 이어받아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이 국내 유수 병원에 위탁하는 보건의료인력 초청 연수 프로그램이다.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에서 11억 4천만 원을 지원받아 12개월 동안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연세의대가 대표기관으로 명지병원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7주 동안 심화과정(역학, 임상진단 및 치료, 질병진단 및 연구)을 운영하게 된다. 한국의 감염병 대응 경험과 현황, 코로나19 교훈과 미래 다가올 신종감염병 대응 전략, 역학조사와 백신 전략, 감염병 관련 인력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