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24.0℃
  • 흐림강릉 27.1℃
  • 서울 25.1℃
  • 대전 22.6℃
  • 대구 23.3℃
  • 울산 22.9℃
  • 광주 23.8℃
  • 부산 22.9℃
  • 흐림고창 25.3℃
  • 제주 28.2℃
  • 흐림강화 23.5℃
  • 흐림보은 22.7℃
  • 흐림금산 22.1℃
  • 흐림강진군 24.5℃
  • 흐림경주시 23.6℃
  • 흐림거제 24.5℃
기상청 제공

어지럼증 10명 중 4명...말초전정기관 이상으로 발생

어지럼증(dizziness)은 자신과 주변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을 말한다. 두통과 함께 신경과를 찾는 환자가 호소하는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로 대부분 경과가 양호하지만, 간혹 어지럼증 자체가 중요한 신경학적 질환일 수 있어 원인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최근 어지럼증 환자 수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어지럼증 환자 수는 2023년 101만5119명으로 2014년 73만6635명 대비 10년 만에 약 38%가 증가했다. 

나승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은 시각, 전정기관, 감각계의 변화가 발생하거나 해당 기관 또는 중추신경계에 질환이 발생했을 때 나타난다”며 “△차멀미, 뱃멀미와 같은 생리적인 현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내이의 기능 변화로 생기는 이석증,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과 같은 전정기관 이상에 의한 어지럼증 △뇌종양, 뇌졸중, 파킨슨증. 소뇌 실조 등의 퇴행성질환으로 인한 어지럼증이 있다”고 했다. 

어지럼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기립성 저혈압, 기립성 빈맥 증후군으로 인한 기립성 어지럼 △심장질환, 뇌혈관 협착으로 유발되는 뇌 혈류 부족 △당뇨병 △미주신경성 실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율신경계 이상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또는 공황장애와 같은 심리적 증상으로도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다.

어지럼증의 약 40%는 말초전정기관 이상으로 발생한다.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귀 안쪽에 위치한 내이의 전정기관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석증이 대표적이다. 이석증은 대부분 자발적으로 나타나지만, 두부 외상이나 전정신경염 이후 이차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불규칙한 생활습관, 피로, 스트레스 등도 원인이 된다. 이석증은 개인에 따라 증상과 정도가 다양하다. 전조증상 없이 갑자기 어지럼을 느끼는데 주로 뒤로 누울 때, 누워서 몸을 옆으로 뒤척일 때 어지럼을 느낀다. 메스꺼움, 구토가 동반되기도 한다. 어지럼의 지속시간이 짧고 대부분 2주 이내로 증상이 회복되지만, 재발이 되고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이석증은 고개 위치를 바꿔가며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을 전정기관으로 이동시키는 이석치환술로 치료할 수 있다.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타민 D 보충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중추성 어지럼증은 뇌신경과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에서 비롯되는 어지럼증이다. 이 경우에는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복시,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편마비, 발음이 어눌해지는 구음장애,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는 언어장애, 균형을 잡지 못하는 실조증과 같은 국소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어지럼, 구토만 나타나는 뇌질환도 있어 증상이 지속된다면 진료가 필요하다. 

나승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은 원인이 다양한 만큼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신경학적 진찰과 전정기능검사, 뇌혈류 검사나 뇌영상검사, 자율신경계 검사, 동적 평형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질환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어지럼증의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일으킬 만큼 반복, 지속적이라면 장기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는 만큼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음주, 비만 등 동맥경화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아 뇌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나승희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이라고 하면 대부분 빙글빙글 도는 증상으로 생각하지만, 오히려 심한 회전성이 동반되지 않아도 혼자 걸을 수 없을 정도의 균형장애가 있다면 더 심각한 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며 “특히 팔다리 감각 이상, 발음 이상, 안면 마비 등 뇌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뇌혈관질환으로 심한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장마철에 심해지는 불면증...왜? 주말부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된다. 장마철이 되면 햇빛량이 줄어들면서 잠자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저하되고, 이로인해 불면증 환자가 급증하게 된다. 이런 계절성 불면증은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만성불면증이나 우울증으로 발전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장마철 불면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날 잠을 잘 못 잤더라도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오전에는 최대한 밝게 생활하고 저녁에는 어둡게 생활하여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를 돕는다. 장마철에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도 늘어난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낮에는 괜찮다가, 잠들기 전 하체에 불편한 감각이 느껴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하는 질환으로 다리를 움직이지 않으면 심해진다. 특히 주로 다리에 벌레가 기어다니는 느낌, 쑤시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 등 환자에 따라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불안증후군도 햇빛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흐린 장마철에는 증상이 심해진다. 아침에 해를 일찍 보느냐에 따라 숙면의 정도도 달라진다. 우리의 뇌신경에는 식사, 수면 등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생체시계가 있다. 이 생체시계는 빛에 의해 조절된다. 한진규 전문의는“아침에 빛을 보지 않으면 진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