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3 (월)

  • 맑음동두천 24.2℃
  • 맑음강릉 24.1℃
  • 맑음서울 24.0℃
  • 맑음대전 25.0℃
  • 맑음대구 25.5℃
  • 맑음울산 20.3℃
  • 맑음광주 25.2℃
  • 맑음부산 21.5℃
  • 맑음고창 21.8℃
  • 맑음제주 21.4℃
  • 맑음강화 20.7℃
  • 맑음보은 23.8℃
  • 맑음금산 24.0℃
  • 맑음강진군 25.8℃
  • 맑음경주시 23.9℃
  • 맑음거제 21.2℃
기상청 제공

기타

알코올폐해 감소 위한 지역사회중재사업 심포지움 개최

서울특별시,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병관리청과 함께 ‘고위험음주 및 음주 폐해 예방’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노마드(NoMAD, No More Alcohol till Drunk, 이하 노마드) 프로젝트’가 ‘알코올폐해 감소를 위한 지역사회중재사업의 이론과 실제’ 심포지움을 11월 1일(수) 오후 1시부터 서울시청 지하2층 태평홀에서 개최한다.

심포지움은 서울특별시와 질병관리청, 노마드 프로젝트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행사로 알코올 폐해예방을 위한 노마드 프로젝트의 단기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 보고와 지역사회중재사업의 실제 수행방법의 공유를 목적으로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장래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다. 

심포지움1부에서는 김광기 보건복지부 음주폐해예방위원회 위원장을 좌장으로 가톨릭의대 정신과학교실 이해국 교수가 알코올폐해 감소를 위한 근거기반 정책과 사업을 주제로 발표를 시작하여, 이어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선진 교수가 중랑구 노마드(NoMAD) 프로젝트의 성과를 주제로 한 발표에 이어 여러 전문가가 참석해 다양한 관점에서 노마드 프로젝트에 대한 논의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어지는2부에서는 '환경변화 접근 전략 중심의 지역사회중재사업 기획, 실행, 평가' 워크숍으로 가톨릭 의대 예방의학교실의 조선진 교수의 노마드 프로젝트 개발과 사단법인 자살예방행동포럼 라이프의 신윤재 사무국장의 외식업소 만취예방프로그램, 중독포럼 김미현 연구원의 동네의약기관 고위험음주 선별 및 조언 프로그램에 이어 사업의 효과성 평가를 담당한 중앙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성병찬 교수의 발표가 이어진다.

이번 심포지움을 기획한 노마드 프로젝트의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선진 교수는 “지난 2021년 대한민국에서는 처음으로 중랑구에서 지역사회환경 중재를 중심으로 하는 ‘노마드 프로젝트’를 통해 음주폐해 예방과 건전한 지역 음주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번 심포지움을 통해 노마드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향후 전국 어디에서나 기본적인 매뉴얼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확산함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폐해 예방에 앞장서고 대한민국 음주문화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조현병 증상 새로운 원인 지표, 뇌 속 ‘반응성 별아교세포’ 활성 증가...새 치료제 개발 단초 되나 조현병의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다가선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조현병 환자의 뇌에서 ‘반응성 별아교세포’의 활성 증가를 뇌영상 촬영을 통해 최초로 밝혀냈다. 이 별아교세포들이 조현병의 병리생리에 관여하며, 특히 전측대상피질에서 반응성 별아교세포 활성화가 큰 환자일수록 조현병 증상이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연구는 반응성 별아교세포가 조현병 환자의 뇌에서 어떻게 활동하는지를 시각화하고, 이 세포들이 조현병의 양성 증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현병 연구에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김민아 교수팀이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통해 측정한 뇌 속 반응성 별아교세포의 활성 증가와 조현병 환자에서 환청, 망상 등 양성 증상 심각도와의 연관성을 밝혀낸 연구결과를 13일 발표했다. 과거에 정신분열병으로도 불렸던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및 행동과 같은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대표적인 중증 정신질환이다. ‘별아교세포’는 뇌세포의 절반을 차지하는 주요 신경교세포로,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노폐물 제거 및 식세포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세포들은 뇌의 글루타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