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북대학교병원 국현 교수, 쾰른대성당서 한국작곡가 최초로 연주

630여년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작곡가 음악 초연돼

독일 쾰른대성당의 630여년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인 작곡가의 종교 미사곡이 연주돼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작곡가가 전문 음악인이 아닌 대학병원 교수로 알려져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전남대학교병원 및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약리학교실 교수로 활동 중인 국 현 교수. 국 교수가 작곡한 ‘어린이 합창을 위한 작은 미사(Missa brevis)’는 지난 달 30일 오후 6시 쾰른 대성당의 초청으로 저녁 기도회(Musikalische Abendgebet) 예배에서 초연됐다. 한국인 작곡가의 작품이 쾰른 대성당에 초청돼 연주된 것은 처음이다. 

쾰른 대성당은 630여년 동안에 걸쳐 완공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성당으로 로마 카톨릭 교회의 상징이다. 쾰른 대성당은 매주 저녁 음악과 함께 예배를 드리는 것이 전통이며, 그동안 주로 바흐·모차르트·멘델스존 등 작곡가들의 종교곡들이 연주됐다. 가사는 물론 음악적인 부분까지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별된 음악만이 연주된다. 

이날 국 교수의 작품인 ‘어린이 합창을 위한 작은 미사’는 도르트문트 청소년 합창단(Akademie für Gesang NRW)이 불렀으며 피아노 배선경, 오르간 다비드 키퍼, 장구 김남숙과 함께 정나래와 죌로 다부토비치의 지휘로 연주됐다.

국 교수와 도르트문트 청소년 합창단은 지난 2022년 독일에서 열린 ‘2022 젊음의 노래’ 경연대회에서 국 교수의 곡으로 아카펠라상 특별상과 작곡상을 받으며 인연이 이어지고 있다. 도르트문트 청소년 합창단은 쾰른 대성당의 요청을 받았으며, 국 교수에게 미사곡 작곡을 요청해 부르게 됐다. 

국 교수가 작곡한 ‘어린이 합창을 위한 작은 미사’는 성당의 미사에 쓰이는 곡으로서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Kyrie) ▲대영광송(Gloria) ▲거룩하시도다(Sanctus) ▲축복의 노래(Benedictus)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 등 5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장구와 함께 연주된 ‘축복의 노래’는 세계 많은 나라의 동요에서 쓰이는 돌림노래 형식을 민요가락에 담아 표현하는 등 한국의 예술혼을 가득 담고 있다. 

이에 따라 도르트문트 청소년 합창단은 쾰른 대성당 연주를 시작으로 ▲9일 독일 뮌헨 헤어클레스잘(Herkulessaal) ▲14일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대성당에서 연주됐으며, 오는 9월 8일엔 도르트문트 콘서트홀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국 교수는 전남대병원과 전남의대 교수로서 대한민국 과학기술한림원,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 우리나라 과학 의학 분야의 선도과학자 중의 한 명이다. 특히 국 교수는 별도의 음악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370여곡이 넘는 곡을 작곡, 24장의 합창 및 독창 음반을 냈으며, 50곡이 넘는 곡이 다수의 미국출판사에서 발표됐다. 이로 인해 그의 합창곡들은 독일, 미국, 일본, 필리핀, 스페인, 캐나다, 중국, 프랑스, 벨기에 등 전 세계적으로 연주되고 있다.

국 교수는 “아마추어 작곡가로서 부족한 부분이 있겠지만 합창으로서 한국의 K-class의 영역을 더욱 다양화하고 넓혀보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 교수가 작곡한 ‘어린이 합창을 위한 작은 미사’는 유튜브(youtube.com/watch?v=0JCn3sh66p8)에서 볼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가볍게 여긴 어지럼증, '이것' 이상 신호일 수 있어 일상 속에서 한두 번 느끼는 어지럼증은 대부분 피로나 빈혈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증상이 반복되거나 도는 듯한 느낌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생리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어지럼증은 자신이나 주변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상태를 포괄하는 용어로, 두통과 함께 신경과 외래에서 가장 흔히 호소 되는 증상 중 하나다. 대부분은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는 뇌질환이나 심혈관계 이상 등 중대한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다. 나승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은 단일 질환이 아닌 여러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상태”라며 “특히 반복되거나 강도가 심하고, 복시 등 다른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경우 전정질환 또는 뇌졸중 등 신경계 이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어지럼증은 생리적 요인부터 말초 전정기관 이상, 중추신경계 질환, 심혈관 및 자율신경계 이상, 심리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말초성 어지럼증 질환으로는 전정기관의 이석이 잘못된 위치로 이동해 발생하는 이석증(양성돌발성체위현훈), 내림프액 이상으로 인한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