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스마트폰 보는 우리 아이, 시력 괜찮을까?

소아안과 전문의 강민채 교수 “시력 저하, 조기 치료가 중요 · 정기적인 검사 필수”

스마트폰과 태블릿 사용이 늘어나면서 어린이의 시력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약시, 근시, 사시는 성장과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이어지고 있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아안과 전문의 강민채 교수는 “어린이의 시력 저하는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대표적인 소아안과 질환과 예방 방법을 소개했다.

◇ 소아 시력 저하, 초기 증상으로 확인 가능
소아안과 질환 중 하나인 약시는 한쪽 눈을 자주 감거나 사물을 정확하게 잡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근시의 경우 먼 곳이 흐릿하게 보이면서 TV나 스마트폰을 가까이에서 보려는 습관이 동반된다. 사시는 두 눈의 초점이 맞지 않거나 햇빛 아래에서 한쪽 눈을 감는 등의 특징이 있다.

강민채 교수는 “어린이들이 위와 같은 증상을 보일 경우 즉시 안과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 스마트폰 사용 증가, 소아 시력 저하 원인 될 수도
소아 시력 저하는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도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에 따르면 부모 중 한 명이 근시인 경우 자녀의 근시 발생 확률이 높아지며, 양쪽 부모가 근시일 경우 그 위험도가 더욱 증가한다.

또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사용 시간 증가, 실외 활동 부족 등이 근시 진행을 가속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약시의 경우 어린 시절 시각 자극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사시는 안구 근육 및 신경 문제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 시력 저하, 조기 치료가 중요… 정기적인 검사 필수
약시는 정상적인 눈을 가려 약한 눈의 사용을 요도하는 ‘눈 가림 치료’나 아트로핀 안약 처방을 통해 약한 눈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근시는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 근시 진행 억제 치료(저농도 아트로핀 점안, 드림렌즈 등)를 활용할 수 있으며, 실외 활동을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사시의 경우 프리즘 안경 착용이나 필요 시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

강민채 교수는 “소아 시력 문제는 조기에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다”며 “각 질환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부모의 세심한 관심이 아이의 시력을 지킨다"
소아 시력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정기적인 시력 검사(3세, 6세, 초등학교 입학 전 필수), 스마트폰 사용 시간 제한(하루 1시간 이내), 독서 및 학습 시 충분한 조명 유지, 하루 최소 2시간 이상 야외 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강민채 교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사용이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서 어린이의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 부모의 관심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아이의 밝은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 올바른 시력 관리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당부했다.


[소아 안과 질환 증상 및 치료법 정리]

1. 약시, 근시, 사시의 초기 증상

<약시 초기 증상>
• 한쪽 눈을 자주 감거나 한쪽 눈으로만 보려 함
• 물체를 잘못 잡거나 깊이 감각이 떨어짐
• 사물을 볼 때 고개를 기울이거나 눈을 비비는 습관
• 특정 거리에서만 사물을 보려고 하는 경향

<근시 초기 증상>
• 먼 곳의 글씨나 사물이 흐릿하게 보임
• TV나 스마트폰을 가까이에서 보려는 습관
• 눈을 자주 찡그리거나 비빔
•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쉽게 피로감을 느낌

<사시 초기 증상>
• 눈이 서로 다른 방향을 보고 있음
• 햇빛 아래에서 한쪽 눈을 감거나 고개를 기울임
• 시선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두 개로 보이는 증상이 있음
• 사물을 정확히 보지 못해 자주 넘어짐

2. 소아 시력 문제의 원인

① 유전적 요인
정확한 유전자가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연구에 따르면 부모 중 한 명이 근시가 있는 경우 자녀가 근시가 될 확률이 높아지며, 양쪽 부모 모두 근시가 있는 경우 자녀의 근시 위험도가 더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② 환경적 요인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사용 시간이 증가하면서 근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실외 활동이 부족하면 눈의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근시 진행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③ 시각 발달 문제
약시는 어린 시절에 시각 자극이 부족하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사시나 심한 굴절 이상(고도 원시, 고도 난시 등)이 있으면 한쪽 눈의 시력 발달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④ 안구 근육 및 신경 문제
사시는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나 신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뇌와 시각 신호 전달 과정의 이상이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3. 치료법 및 예방 방법

<약시 치료>
• 눈 가림 치료(Patching Therapy): 정상적인 눈을 가려 약한 눈의 사용을 유도
• 아트로핀 안약 처벌치료(Penalization): 시력이 좋은 눈에 산동제인 아트로핀을 점안하여 흐리게 하여 시력이 약한 눈의 사용을 유도
• 적절한 안경 처방: 굴절 이상을 교정하여 양안 시력 균형 맞추기

<근시 치료>
• 안경 및 콘택트렌즈: 적절한 교정 도수의 안경 사용
• 근시 진행 억제 치료: 저농도 아트로핀 점안액, 드림렌즈(각막굴절교정렌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