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토)

  • 흐림동두천 2.4℃
  • 맑음강릉 8.5℃
  • 구름많음서울 3.9℃
  • 구름많음대전 8.5℃
  • 구름많음대구 8.8℃
  • 구름많음울산 9.6℃
  • 구름많음광주 7.3℃
  • 구름많음부산 10.5℃
  • 구름많음고창 7.3℃
  • 흐림제주 10.3℃
  • 구름많음강화 2.3℃
  • 구름조금보은 6.6℃
  • 구름조금금산 8.2℃
  • 구름많음강진군 9.2℃
  • 구름많음경주시 10.1℃
  • 구름조금거제 9.9℃
기상청 제공

동구바이오제약, 대박 터지나..투자사 희소식 이어저

피코엔텍, 파킨슨병 치료 美 특허 획득
큐리언트, WHO 국제회의서 신약 '텔라세벡' 효능 입증

동구바이오제약이 지난해 전략적으로 투자한 바이오 벤처기업 피코엔텍이 최근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동구바이오제약의 성공적 투자에 대한 시장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피코엔텍은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독자적인 ALDH(알데히드 탈수소) 효소 기반 기술로 미국 특허를 획득하였다. 이 기술은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과 운동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피코엔텍은 최근 자사의 ALDH기반 물질이 파킨슨병 환자들 사이에서 손떨림과 같은 운동장애 완화 효과가 입소문을 타면서 2022년 연 매출 약 5억 원에서 2023년 21억 원, 2024년에는 63억 원(잠정)으로 급성장하는 성과를 냈다.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과 함께 진행 중인 정식 임상시험 결과가 올해 하반기에 발표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파킨슨병 치료제로의 공식적인 효능 입증 및 시장 확대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동구바이오제약이 최대주주로 있는 바이오 벤처기업 큐리언트 역시 최근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큐리언트는 자체 개발한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신약 후보물질 '텔라세벡(Telacebec)'의 허가임상 중간 데이터를 WHO(세계보건기구)가 주관한 '제2회 피부 소외열대질환(NTDs) 회의'에서 발표한다. 텔라세벡은 부룰리궤양, 한센병, 결핵 등 소외열대질환을 혁신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약으로, 기존 치료제 대비 짧은 치료 기간과 높은 효능을 입증하며 큰 기대를 받고 있다. 큐리언트는 최근 국제기구 TB얼라이언스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호주에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신약 허가임상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 전망이 밝다.

큐리언트는 텔라세벡의 우수한 임상 효능을 바탕으로 신약 허가에 대한 불확실성을 완전히 해소하고, 구체적인 허가 일정 수립에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TB얼라이언스와의 협력과 호주 바원 헬스 감염병 전문의인 다니엘 오브라이언 박사의 리드로 진행 중인 호주 임상시험은 소외열대질환 환자의 치료 효능뿐 아니라 안전성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동구바이오제약은 바이오 벤처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자 성과는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피코엔텍과 큐리언트와 같은 유망 기업들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지원하며 향후 국내 바이오 산업 발전 및 해외시장 진출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앞으로도 다양한 바이오 벤처와의 지속적인 협력 및 투자를 통해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외상성 뇌손상 경험한 청장년층... 뇌졸중 위험 껑충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는 같은 나이의 일반인보다 뇌졸중 발생 위험이 약 1.9배 높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외상성 뇌손상 후 1년이 지나도 뇌졸중 위험이 크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한 청장년층은 혈당·혈압·콜레스테롤 등 뇌졸중 위험 요인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국립교통재활병원 연구소) 이자호 교수·최윤정 연구교수팀이 전국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후향적으로 비교한 연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와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에 발생하는 손상이다. 비교적 경미한 뇌진탕부터 심한 경우 뇌부종, 지속적 혼수, 뇌출혈, 두개골 골절 등을 포함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청장년층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뇌졸중은 고령층의 질환으로 인식되지만, 최근 청장년층에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50대 미만의 외상성 뇌손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위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18-49세 인구 104만명의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