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난치성 역류성 식도염 기능내시경으로 정확한 진단 후 맞춤형 치료 필요

역류성 식도염 환자 62%는 치료 11~13년 후 증상 재발
강남차병원 소화기병센터, 국내 최초 기능내시경 도입으로 정확한 진단, 다양한 내시경 항역류 수술법 개발

차 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원장 노동영) 조주영 교수팀(조주영, 김성환, 이아영)은 국내 최초로 기능 내시경을 도입해 역류성 식도염을 정확히 진단하고, 약제 복용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난치성 위식도 역류질환’에 스트레타 고주파 시술, 역류방지 점막절제술 (ARMS), 역류방지 점막소작술 (ARMA) 등의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한다. 

역류성 식도염은 대부분 약물로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 고용량의 약물치료에도 혹은 장기간 약물 복용에도 증상 호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증상이 있다고 약물 복용을 장기간으로 지속할 경우 위축성 위염, 철분결핍, 장의 미생물 감염 위험, 골절의 위험이 높아진다. 

약물치료 외에 역류성 식도염 치료법으로 위저부 주름술(Fundoplication)과 같은 수술적 치료부터 자기장 괄약근 강화술 (LINX), 메디거스 초음파 내시경 자동봉합기 등과 같은 내시경적 치료 등 여러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고안되고 있다. 하지만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62%는 11-13년 후 재발하거나,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되었지만 약물치료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 경우에 실제 다른 질환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15%나 된다.

강남차병원 소화기병센터 조주영 교수는 “난치성 역류성 식도염은 기능내시경으로 정확한 진단 후에 개인별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트레타 고주파 시술은 1990년대 처음 소개된 이후 수십 년 이상 전세계적으로 효과와 안정성이 입증된 치료법으로 위 식도 사이의 구조물이 저절로 열리며 발생하는 위 식도 역류에 대해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고 역류방지 점막절제술과 점막 소작술은 각각 위 식도 사이 점막을 절제하거나 아르곤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소작함으로써 섬유화를 만들어내며 효과를 나타내는 시술이다. 최근에는 항역류 점막절제술-밸브성형술(ARM-PV)과 항역류 점막소작술(ARAT)을 함께 시행하는 등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지 않은 새로운 내시경 항역류 수술들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며 역류성 식도염 수술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강남차병원 조주영 교수팀은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성과를 연구한 논문을 미국 소화기 학회의 저명한 학술지인 GI endoscopy(IF : 6.7)에 2025년 04월 게재된 논문(Comparing the feasibility, safety, and efficacy of Stretta radiofrequency and anti-reflux ablation therapy for treating patients with refractory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cohort study)을 포함하여 관련 여러 해외 유수 학술지에 논문들을 싣게 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국내 최다 환자 경험과 해외에서도 괄목할만한 관련 연구 성과를 이루어 내며 환자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최적의 치료법을 제공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한국-일본,의약품 등 분야 ...첨단기술·GMP·역량강화 등 미래 규제협력키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한·일 의약품·의료기기 분야 국장급 양자회의 및 공동 심포지엄을 7월 17일과 18일 도쿄에서 마무리하고, 양국 간 긴밀한 미래 협력의 기본 방향을 담은 ‘한일 의료제품 규제 협력 공동성명’을 7월 25일 발표했다. 식약처와 일본 후생노동성,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는 올해 MOC 체결 10주년을 맞아 아시아 규제 선도기관으로서 협력 강화 의지를 확인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첨단기술 규제 정립,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실태조사, 규제 역량 강화 등에서의 미래지향적 협력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구체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의료기기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정보 공유 비밀유지협약도 체결하여 양국의 의료제품 신뢰 체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오유경 처장은 “이번 양자회의와 심포지엄으로 양국 정부와 민간의 실질적 협력이 한층 공고해졌으며, 향후에도 국내 우수한 의료제품이 일본 시장으로 활발히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주요 수출국의 규제기관과 협력관계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1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일본제약공업협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제6차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