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혈액 투석 환자의 생명줄 ‘동정맥루 조성술’...혈관 손상되면 과다 출혈 위험

말기 신부전 환자의 안정적 투석 치료를 위한 필수 시술
혈액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 동정맥루 조성술은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수술이다.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말기 신부전 환자는 체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투석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때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은 바로 혈관이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혈관외과 최얼 교수는 “일반적인 정맥으로는 혈액 투석이 어렵기 때문에 굵고 혈류량이 많은 ‘동정맥루’라는 투석용 혈관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한 수술이 바로 동정맥루 조성술”이라고 설명했다.

동정맥루는 말 그대로 동맥과 정맥을 연결해 혈류가 풍부한 통로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초기에는 ‘경정맥 카테터’ 삽입을 통해 임시로 투석을 시작할 수 있으나, 감염 위험이 높아 장기간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 환자는 투석을 안정적으로 지속하기 위해 동정맥루 수술을 받는다. 동정맥루 조성술은 일반적으로 양팔이나 양다리에 가능하지만, 합병증과 수명을 고려해 보통 팔부터 고려한다. 

자가 혈관 또는 인조혈관 이용해 동정맥 연결
수술은 먼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적절한 혈관을 선택한 뒤, 부분마취 하에 피부를 절개하여 동맥과 정맥을 연결한다. 방법은 환자의 혈관을 직접 연결하는 ‘자가혈관 동정맥루’와, 인조혈관을 이용해 동정맥을 연결하는 ‘인조혈관 동정맥루’로 나뉜다. 

자가혈관 동정맥루는 감염 위험이 적지만 혈관 성숙에 6~8주가 필요하며, 인조혈관은 약 4주 이후에 비교적 빠른 사용이 가능하나 감염과 혈관 폐색 위험이 자가혈관에 비해 크다. 기존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혈관이 충분히 굵어지지 않아 재수술이 필요하거나 혈관 성숙을 돕기 위한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수술 후 관리 중요… 혈관 손상되면 과다 출혈 위험
동정맥루 수술은 급성 합병증이 없다면 일반적으로 수술 당일 퇴원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수술 후 관리가 중요하다. 자가혈관 동정맥루는 혈관이 충분히 굵어지고 단단해져야 투석 바늘을 찌를 수 있기 때문에, 손을 가볍게 쥐었다가 펴거나 고무공을 쥐었다가 펴는 운동을 하루 5회 이상 반복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술 부위 팔에는 혈압 측정, 채혈, 정맥주사 등을 삼가고, 팔짱이나 팔베개, 무거운 물건 들기, 꽉 끼는 소매나 팔찌 착용은 피해야 한다. 혈관 손상이 생기면 과다 출혈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정상적인 동정맥루는 손으로 만졌을 때 ‘윙윙’ 진동이 느껴진다. 만약 진동이 사라지거나, 팔이 붓고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이는 혈관 협착이나 폐색, 감염 등의 이상 신호일 수 있다.

동정맥루는 장기간 사용하면 좁아지거나 막히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경피적 혈관성형술이나 혈전 제거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필요시 동정맥루를 새로 만들기도 한다. 

최얼 교수는 “동정맥루는 단순한 혈관이 아니라 말기 신부전 환자의 생명줄”이라며 “수술 후 철저한 관리가 투석 치료 성공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통증만 없으면 괜찮다?… 통풍에 대한 오해와 진실 통풍은 요산 대사 이상으로 발생하는 만성질환이지만, ‘통증만 사라지면 치료도 끝난다’, ‘음식만 조절하면 괜찮다’는 오해가 많은 질환이기도 하다. 통풍 발작은 양말조차 신기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통증으로 유명하지만, 급성기 치료 후 통증이 빠르게 가라앉는 특성 탓에 완치되었다고 오인하기 쉽다. 또한 음식만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오해하기도 경우도 많은데, 요산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반드시 약물치료가 필요한 환자도 많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관절류마티스내과 김세희 교수와 함께 통풍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와 진실을 짚어본다. 요산 수치만 높아도 통풍이다? X 요산 수치가 높다고 모두 통풍은 아니다. 통풍은 단순한 수치 이상이 아닌, 요산 결정(monosodium urate)이 관절에 침착되면서 생기는 염증반응이 주증상인 질환이다. 진단을 위해서는 요산 수치가 높아야 하고, 관절 요산 결정이 침착되어 있고, 심한 통증 발작을 경험해야 한다. 다만 무증상 고요산혈증의 경우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지만, 요산 수치가 9mg/dL 이상인 경우에는 향후 통풍 발병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 통풍은 통증만 사라지면 끝이다? X 급성 통풍 발작으로 인한 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