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총장 김진상) 한의과대학 김호철 교수가 9월 25일 중국 장시성 난창에서 열린 ‘2025 상하이협력기구(SCO) 전통의학 및 전통의학산업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맡았다. SCO는 중국, 러시아, 인도, 중앙아시아 주요국 등 유라시아 9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다자 협력체다. 안보·경제만이 아니라 보건·의료와 문화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전통의학을 중심으로 정책·산업·교육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김 교수는 ‘From Tradition to Innovation(전통에서 혁신으로)’이라는 제목으로 연설을 진행했다. 전통의학이 수천 년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해 온 소중한 지혜임을 강조하면서도, 오늘날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산업적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와 제도적 승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 모델로 ‘iMED 플랫폼’을 소개했다. iMED는 Interpretation(전통 이론의 과학적 해석), Material(원료의 표준화와 품질 규격화), Extract(추출·가공의 과학과), Data(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을 통한 근거 구축)라는 네 단계를 거쳐 전통지식을 현대 과학의 언어로 번역하고 산업화할 수 있게 하는 접근이다. 그는 iMED가 특정 국가의 도구가 아니라 SCO 회원국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국제 협력 플랫폼임을 강조하며 전통의학의 세계화를 위한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어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개발된 어린이 키 성장 기능성 원료 HT042를 비롯해 위 건강 소재 HT074, 간 건강 소재 HP426 등 연구 성과와 산업화 사례를 소개했다. 특히 HT042가 2014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세계 최초로 어린이 키 성장 기능성을 인정받은 원료로 승인된 과정은 참석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김 교수는 전통지식이 과학적 검증을 거치면 산업적 성공과 글로벌 시장 진출로 이어질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교육 분야 주제 토의 참여, 한국 한의학교육 제도와 현황 소개, 현지 언론 관심도
기조연설 이후 열린 오후 주제 토의 시간에는 교육 분야가 다뤄졌다. 김 교수는 한국의 한의학교육 제도와 한의학의 과학 교육 현황을 소개하며 토의를 이끌었다. 그는 한국의 6년제 한의학 교육과정, 기초와 임상의 균형, 연구 방법론 교육 등을 설명하면서 “전통이론과 현대 과학적 사고가 접목된 교육이야말로 미래세대가 국제 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이라고 강조했다. 이튿날에는 강서중의약대학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한국 한의학의 과학과 과정과 연구 성과, 국제 협력의 비전을 공유하며 현재 학생들과 심도 있는 질의응답을 나누기도 했다.
기조연설 이후 열린 오후 주제 토의 시간에는 교육 분야가 다뤄졌다. 김 교수는 한국의 한의학교육 제도와 한의학의 과학 교육 현황을 소개하며 토의를 이끌었다. 그는 한국의 6년제 한의학 교육과정, 기초와 임상의 균형, 연구 방법론 교육 등을 설명하면서 “전통이론과 현대 과학적 사고가 접목된 교육이야말로 미래세대가 국제 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이라고 강조했다. 이튿날에는 강서중의약대학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한국 한의학의 과학과 과정과 연구 성과, 국제 협력의 비전을 공유하며 현재 학생들과 심도 있는 질의응답을 나누기도 했다.